효율적 조경공사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과업범위설정관련 기초 연구

A Fundamental Research on Scope Definition for Efficient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Project

  • 주상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Joo, Sang-Hy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발행 : 2008.08.31

초록

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공사 프로젝트는 그 공정상의 특수성과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공정관리나 프로젝트관리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건축이나 토목 프로젝트 관리 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과업범위설정에 대한 개념을 조경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유익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파업범위설정은 적용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나 시간적 투자 없이 간단한 절차를 통해 시행해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과업범위설정과 관련된 절차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는 매우 실질적이라는 점이다. 본 연구는 국내 조경공사 프로젝트 수행 시 수반되는 과업범위설정 과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효율적인 조경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과업범위설정을 돕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조경공사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문헌 연구와 설계사례 분석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3개 분야 8개 부분의 50개 요소를 조경프로젝트 성공요소로 도출하게 되었다. 도출된 요소들은 조경공사 프로젝트 참가자들 간의 과업범위설정 수준을 향상시키며 효율적인 조경 공사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iffering from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are far from efforts in operation and project management.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worthwhile to adopt scope definition from project management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in some respects. First, scope definition is able to be conducted through a simple procedure without additional investment in capital and time. Second, the output produced by scope definition is very substantial. The research scrutinized scope definition procedures accompanied by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 execution and derived various methods in order to help scope definition for efficient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design case study, and an exert interview, the project success element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3 sections, 8 categories and 50 elements, grounded on the theoretical base of PDRI. The elements are expected to pave a way to an adequate level of scope definition among participants of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and contribute in efficient project execu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본학(2004) 공정관리의 중요성 및 문제점. 월간 조경시공 통권 제6호
  2. 김지홍, 이경태, 이상철(2002) 정부계약 건설공사 특성 및 시공업체 특성이 공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계학연구 (27)4: 173-200
  3. 대한주택공사(2005) 공동주택 공사감독핸드북 조경. 서울: 도서출판 건설도서
  4. 이명우, 구본학, 김성용, 김현, 나정화, 박문호, 이관규, 이상석, 임상신, 장동수, 조용현, 조태동, 조현길, 주신하, 허준, 홍광표(2008) 조경계획 1‧2. 서울: 기문당
  5. 이상석(1994) 조경공사 현장 집단과 공정관리 가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10)12: 245-257
  6. 이상석, 최기수(1995) 조경시설공사 품질관리요인의 작용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2: 155-162
  7. 이용훈, 이기의, 서옥하(2000) 조경공사의 설계와 시공일치를 위한 최적 모형. 한국조경학회지 (28)4: 105-115
  8. 임승빈, 주신하(2006) 조경계획․설계. 서울: 보문당
  9. 정대기, 김예상(1998) 설계도서를 중심으로 한 설계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4)5: 363-370
  10. 정대용(2001) 공사비용 절감을 위한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평가 항목 설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동범 역(1993) 조경설계의 기본요소. Norman K. Booth, Basic Elements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서울: 대우출판사
  12. 한국조경학회(2003) 조경공사표준시방서. 서울: 문운당
  13. 한국조경학회(2007) 조경설계기준. 서울: 기문당
  14. 한재구, 서상욱(1999) 건축프로젝트의 설계․시공 품질정보전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9)1: 543-548
  15. Ashley, D., Jaselskis, E., and Lurie, C. B.(1987) The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18(2): 69- 79
  16. Broaddus, J. A.(1995) Managing Inputs to Design for Project Success : Participant Handbook.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17. Chalabi, A. F., B. J. Beaudin, and Salazar(1987) Input variables impacting design effectiveness - source document 26.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18. Cho, C. S.(2000) Development of the 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 (PDRI) for Building Project.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19.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1987) Input variables impacting design effectiveness - publication 8-2.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20.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1994) Pre-project planning; Beginning a project the right way-CII publication 39-1.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21. Freeman, M. and P. Beale(1992) Measuring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23(1): 8-16
  22. Gibson, G. E. and P. Dumont(1996) 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 Research Report 113-11,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23. Gibson, G. E. and M. R. Hamilton(1994) Analysis of pre-project planning effort and success variables for capital facility projects - source document 105.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24. Gibson, G. E., J. H. Kaczmarowski, and H. E. Lore(1995) Pre-project planning process for capital faciliti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21(3)
  25. Gibson, G. E., A. L. Tortora, and C. T.(1994) Perceptions of project representatives concerning project success and pre-project planning effort-source document 102.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26. Gibson, G. E., Y. Wang, C. S. Cho, and M. P. Pappas(2006) What is preproject planning, anyway?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January. pp. 35-42
  27. Griffith, A. F., G. E. Gibson, M. R. Hamilton, A. L. Tortora, and C. T. Wilson(1999) Project success index for capital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13(1): 39-45 https://doi.org/10.1061/(ASCE)0887-3828(1999)13:1(39)
  28. Hackney, J. W.(1992) Control & Management of Capital Projects (2nd ed.). New York; McGraw-Hill, Inc.
  29. Merrow, E. W. and M. E. Yarossi(1994) Managing capital projects: where have we been-where are we going? Chemical engineering 101(10): 108-111
  30. O'Connor, J. and C. Vickroy(1986) Control of construction project scope. Source Document 6.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31. Partitt, M. K. and V. E. Sanvido(1993) Checklist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building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9(3). pp. 243-249 https://doi.org/10.1061/(ASCE)9742-597X(1993)9:3(243)
  32. Pinto, J. K. and D. P. Slevin(1992) Project Implementation Profile. New York: Xicom
  33. Rowings, J. E., M. G. Nelson, and K. J. Perry(1987) Project objectives-setting by owners and contractors - source document 31.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34. Smith, M. and R. Tucker(1983)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problems occurring in the engineering phase of an industrial project. Report Prepared for Texaco, Inc.. University of Texas, Austin
  35. Tan, R. R.(1996) Success criteria and success factors for external technology transfer projects. Project management journal 27(2): 45-56
  36. Wang, Y.(2002) Applying PDRI in Project Risk Management.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