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성공요소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search of RFP Appropriateness for the Successful Defense Projects (성공적인 국방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RFP 적합성에 관한 연구)

  • Moon, SunHee;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004-1007
    • /
    • 2013
  • 제안요청서(RFP)는 발주기관이 프로젝트를 담당할 업체를 최종적으로 선정하기 위해 자사프로젝트에 관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로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의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국방 프로젝트 RFP를 대상으로 첫째, 프로젝트 국제 표준규격인 ISO21500 지식 및 관리 프로세스 영역을 적용하여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전체평균 및 사업분류별 지식영역을 비교분석하였고, 셋째, 사업분류별, 발주기관별, 비용별 평균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통합, 품질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RFP에 상세히 기술되었으며, 사업분류는 SW개발사업일수록, 발주기관은 사업관리 전문기관일수록, 비용은 높을수록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요소가 RFP에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국방 프로젝트의 RFP 작성 시 명확성을 제고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 Seol, Jeung-Ung
    • Digital Contents
    • /
    • no.7 s.74
    • /
    • pp.66-71
    • /
    • 1999
  • 지금까지 경험해온 정보시스템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 자체의 적용 방법론이나 기술의 우수성보다 오히려 프로젝트 관리방법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좌우하는 관건임을 수차에 걸쳐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자는 이제 절차와 원칙에 근거하여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핵심 관리 요소들을 지속적이고 유기적으로 대응, 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 PDF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 Jo, Min-Ho;Seol, Jeung-Ung
    • Digital Contents
    • /
    • no.8 s.75
    • /
    • pp.86-90
    • /
    • 1999
  • 지난 연재를 통하여 정보시스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관리를 위한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그리고 관리요소와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제 우리는 과거의 실사례를 되짚어 읽어 봄을 통해 반면교사(反面敎辭)하는 기회를 가져보고자 한다. 본 고에서 제시된 사례들은 저자들이 실제 가까이에서 경험한 것들도 있고 이미 널리 알려진 사례들도 있으나, 지금까지 제시한 성공 및 실패요인과 관리요소, 그리고 프로세스 관점에 따라 재해석해 보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Role of PMO for SI Projects Success (SI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PMO의 역할에 대한 연구)

  • 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66-469
    • /
    • 2017
  • SI 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장기화 되면서 투입 인력과 구축 비용의 단위가 점점 커짐에 따라서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위험요소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과 평가로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각종 위험 및 역기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의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고, 성공적인 완료를 위하여 지원, 감독, 통제 등의 제반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PMO의 도입은 사업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데, 특히 과거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거나, 프로젝트 팀에게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SI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 프로젝트 내에서 PMO의 역할에 대해서 분석 및 연구하였다.

A Fundamental Research on Scope Definition for Efficient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Project (효율적 조경공사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과업범위설정관련 기초 연구)

  • Joo, Sang-Hyun;Lee, Jae-K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96-110
    • /
    • 2008
  • Differing from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are far from efforts in operation and project management.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worthwhile to adopt scope definition from project management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in some respects. First, scope definition is able to be conducted through a simple procedure without additional investment in capital and time. Second, the output produced by scope definition is very substantial. The research scrutinized scope definition procedures accompanied by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 execution and derived various methods in order to help scope definition for efficient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design case study, and an exert interview, the project success element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3 sections, 8 categories and 50 elements, grounded on the theoretical base of PDRI. The elements are expected to pave a way to an adequate level of scope definition among participants of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and contribute in efficient project execution.

Selecting Optimum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Project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Project Performance (건설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성과 제고가 가능한 최적 공사 관리기법 선정 방안)

  • Ko, Young-Jin;Cha, Hee-Sung;Shin, Dong-Woo;Kim, Kyung-R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3 no.1
    • /
    • pp.3-13
    • /
    • 2012
  • The importance of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problems is rising, which are followed by the hardships of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applies the improvements made by the operator's work, in order to apply factors of success on the construction project, as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s. In addition, in order to predict the results reflecting the project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 un-improvable by the operator in the initial stage of construction, the effect of project characteristic to the performance was drawn by performance difficulty.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ed performance, researches on setting valid best practic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erritory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best practices improvable through the operator's work, and the performance was made.

Research of relevant Act Appropriateness for the Success of Public SW Business (공공 SW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관계법령의 적합성 연구)

  • Bae, SungWoo;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21-1424
    • /
    • 2012
  • SW사업 관련 법령은 공공기관이 SW사업을 진행하는데 반영되고 있고 사기업에도 SW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법적 효력을 가지고 있으며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잦은 요구사항의 변경, 구체적이지 못한 요구사항, 비현실적인 일정과 예산 등으로 SW프로젝트의 성공을 보장받기 어렵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SW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근간이 되는 SW관련 주요법령이 SW프로젝트의 성공을 지원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고, 이를 위해 프로젝트관리 국제표준인 ISO 21500(Guidance on Project Management)의 지식 및 관리 영역과 SW관련 주요법령들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현행 SW 관련 주요법령들에 각각 범위, 시간, 비용, 위험을 의미하는 영역에서 차이를 보여 종합적인 보완이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공공기관이 SW사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위해 관련 법령이 연구결과의 문제성을 명확히 제고토록 하고 공공SW사업은 물론, 국내 SW사업계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양질의 환경이 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금형 제작자들이 고려해야 할 5축 프로그래밍 관련 4개의 주요 개발 사항

  • Yang, Jeong-Sam
    • CDE review
    • /
    • v.17 no.3
    • /
    • pp.22-25
    • /
    • 2011
  • 명확히 말하자면, '모두에 딱 들어맞는 한 사이즈는 없다.' 식의 접근은 이상적인 선반 프로젝트에 이용될 수 있다. 성공적인 프로젝트는 요구된 결과에 큰 수의 요소들을 적절히 균형 맞출 수 있는 능력의 프로그래머를 요구한다. 이 낯선 계산들 때문에, 경험이 있는 프로그래머가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프로젝트를 운영할 수 있다. 현대 CAM 소프트웨어는 경험이 적은 프로그래머가 베테랑과 경쟁에 설 수 있는 짧은 학습 곡선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고려해야 할 요소들의 수를 최소화 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수학적인 계산의 툴 방향을 제공하고, 높은 수준의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 이전에 보장하고, 회전하는 축에 부가되는 압력을 줄여 주고 자재의 부피를 효율적으로 크게 줄여주는 앞선 생각의 공구경로 알고리즘을 이용함을 통해 성공적인 5축 선반 프로젝트는 보다 편리하게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 PDF

An Study about The Priority Risk Factors for Enhancing the success Rate of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Projects (공공분야 정보화 프로젝트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위험요인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Lee, Hyun-Soo;Lee, Moon-Goo;Lee, Nam-Yong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8 no.4
    • /
    • pp.69-77
    • /
    • 2011
  • Recently,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projects have bebn larger in size, sophisticated, and diversified, which make the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be studi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understanding on this, there are discontents resulted from poor requirements managements, schedule delays, budget overruns, failure to achieve expected goals, although there are increase the scale of projects and the number of information systems than ever before. it makes the requirement for the plan to manage significant risk factors systematically. So in this study, we will understand the risks which have been recognized by professionals and managers in public sector projects for enhancing the success rate. And the surveys will be conducted for the risk factors in each fields by gathering the opinions of the hands on workers in public sector project support team such as S company, L company. Finally, the correlation index between the risks and the other project fields would be clear by this survey.

Development of Project Success Model in Enterprise Using FCM (FCM을 이용한 기업프로젝트의 성공 모델 개발)

  • Park, Young-Man;Hwang, Seung-Gook;Park, Kwang-Bak;Lee, Young-J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1
    • /
    • pp.123-128
    • /
    • 2010
  • To increase the chance of the success of projec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gnitive map has been used for analysing by investigating causal links among relevant factors. A fuzzy cognitive map (FCM) is an extension of a cognitive map with the additional capability of representing feedback through weighted causal links. Project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input resources, possibility of achievement, concern of others and so on.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project success model of enterprise using a fuzzy cognitive map approach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performance and thes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