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 버스 정류장의 이미지와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Image and Visual Preference of the Median Bus Stops;Focusing on Seoul City

  • 권니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Kwon, Ni-A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연구는 중앙버스전용차로시행에 따라 등장한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가지는 시각적 이미지와 선호도, 주변 환경과 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위치하는 대상지를 달리하여 그에 대한 경관평가를 시행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내 간선 도로 중 각기 다른 환경의 중앙부 버스 정류장을 대표할만한 간선도로 하정로, 한강로, 강남대로의 3곳을 선택하였으며, 대상지의 조건은 소폭가로, 도심 내 광폭가로, 도심 외곽부의 광폭가로였다. 각각의 대상지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있는 기존경관,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수목을 식재한 경관, 중앙부 버스 정류장을 삭제한 경관으로 시뮬레이션하여 경관평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가지는 시각적 영향은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위치하는 가로 환경의 시각적 복잡성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복잡성이 낮은 지역에서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시각적 복잡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다. 둘째,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위치하는 지역적 환경에 상관없이 삭제경관보다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있는 기존경관과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수목이 식재된 경관이 더 인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수목이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 선호도가 높았으며,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감안하면 추후 계획되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서는 인상적인 가로경관의 조성과 경관미 추구를 위해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City of Seoul enforces the 'Median reserved bus lane', a revis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order to achieve both a faster and more convenient transit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visual image and preference of the median bus stop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edian reserved bus lanes. In order to evaluate and clarify the distinct landscape of each bus stop in a different environment, our team selected 3 representative bus stops with different environments on main roads and conducted landscape simulations so as to evaluate visual preference. The sites were on a narrow range road, wide width road in the downtown area and wide width road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 preference degree for each selected bus-stop environment was compared. The comparison conditions were a median bus stop with preexisting landscape, a median bus stop with planted trees, and a landscape without a median bus stop.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isual influence on median bus stops depends on the visual complexity of the environment where they are located. People had an affinity for the median bus stop in which the visual complexity was low, while the preference degree of median bus stop was low in a highly complex area. Secondly, regardless of regional environment where median bus stops are located, research showed that it is more "impressive" to have a median bus-stop with planted trees than landscape without a median bus stop. Thirdly, the median bus stop with plants highly preferred over one without moreover, the landscape with planted trees would provide a comfortable mind for people. This study reveals that planting-oriented design concepts in median bus stops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assessment factors. Thus, for further median bus stop construction, planting is desirable to create an impressive streetscape and better scenic qu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현(1991) 경관시뮬레이션 기법의 신뢰도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원호(2007)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 평가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정책발표 연구 관련 자료집
  3. 김충식, 이인성(2005) 건축제어요소가 도시가로의 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14-25
  4. 송대호, 윤종국(2006)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2(9): 243-251
  5. 심준영(1996) 근교농촌의 경관유형에 따른 고층건물의 관찰거리 및 규모와 경관선호도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윤종국, 박춘근(2002) 지방도시 중심가로의 환경인지 특성에 따른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창원.양산시 중앙로 가로 설계 요소의 물리적 차원과 심리량과의 상관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8(11): 217-229
  7. 이상규, 이승지, 황은경, 이상호(2001) 상업지역 가로 이용자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7(9): 245-253
  8. 이상혁, 우동주, 김민수(2004) 부산시 상업지역 가로환경의 실태 및 개선방향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4 추계학술발표대회: 191-201
  9. 정성구, 신남수(2002) CG 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의 공간의식과 물리적 구성요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8(5): 91-99
  10. 정성구, 최민후, 윤진보, 신남수(2004) 지구 단위 계획의 물리적 규제요소가 가로 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0(10): 247-255
  11. 최영은, 하재명(2003) 대구시 도심의 접근특성과 가로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5(5): 115-123
  12. 최임주(2003) CG 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시지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서면'젊음의 거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9(10): 101-111
  13. Im, Seung-Bin(1984) Visual preferences in enclosed urban spaces: An exploration of a scientific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Environmental and Behavior 16(2): 235-262 https://doi.org/10.1177/0013916584162005
  14. Kaplan, S.(1987) Aesthetics, affect and cognition. Environmental and Behavior 19(1): 3-32 https://doi.org/10.1177/0013916587191001
  15. Penning-Rowsell, Edmund C. Assessing the validity of landscape evaluations
  16. Sheppard, Stephen R. J.(1989) Visual Simulation: A User's Guide for Architects, Engineers, Planners. John Wiley & Sons Inc.
  17. Wohlwill, J. F.(1968) Amount of stimulus exploration and preference as differential functions of stimulus complexity.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4: 307-312 https://doi.org/10.3758/BF03210521
  18. Wohlwill, J. F.(1976) Environmental aesthetics: the environment as a source of effect. In I. Altman and J. F. Wohlwill, ed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 New York: Ple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