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 여성의 노동공급과 자녀 교육

The Effects of Children in School on Married Women's Labor Supply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에 있어서 취학 자녀가 지니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출산 및 저연령 자녀의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의 기혼 여성 노동공급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고학년 자녀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고학년 자녀가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을 제약할 가능성은, 최근 자녀 교육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되는 사회적 경향과 연계되어 생각할 수 있다. 본 결과에 의하면 고학력 기혼 여성일수록,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취학 자녀로 인해 노동공급이 제약되는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 in school limit their mothers' labor supp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possibility is that mothers may choose to stay home if their time and monetary inputs on children's quality investment are poor substitutes for each other. Th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labor supply of highly educated women and those with high household income is relatively suppressed by their children in schoo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