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과 고용조정 - 순고용변화에 대한 제품수요 충격의 효과를 중싱으로 -

Unions and Employment Adjustment in Korean Firms - Focusing on the Effects of Product Demand Shocks on Net Changes in Employment -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논문은 기업패널 자료(1997~2004)를 사용하여 노동조합 유무에 따른 기업유형별로 고용량 변동에 대한 제품수요충격의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특성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제품수요 감퇴 및 확대의 상황에서 유노조기업의 경우 무노조기업에 비해 고용탄력성이 작용 것으로 나타나 '제품수요 위축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소폭의 고용감축으로, 제품수요 확장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소폭의 고용확대로 대응하는,' 즉 제품수요 충격에 따른 고용변동성이 낮은 고용조정 패턴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조합이 고용감축 시기에는 구성원의 고용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반면, 고용확대 시기에는 고용수준 결정에서 그 역할이 매우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me effects of product demand shocks on employment are different between unionized and non-unionized firms, using new firm-level longitudinal data in Korea over the period 1997~2004.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the effects of both negative and positive demand shocks on employment are smaller in unionized firms than in non-unionized firms. The result implies that unions appear to provide their members with job stability in response to negative demand shocks, while playing a very limited role in employment determination in response to positive demand shocks leading to employment expans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