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예측을 위한 생산성 영향요인 선정 프로세스

A Process of Selecting Productivity Influencing Factors For Forecast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 임재인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영석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
  • 김상범 (동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8.08.31

초록

최근 의사결정권자가 유사프로젝트 추진 시 발생하는 의사결정과정 상에서 신뢰성 있는 자료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생산성 예측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생산성 예측시스템에서 독립변수로 작용하는 생산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생산성 분석을 위한 생산성 영향요인으로 생산성 예측에 대한고려 없이 생산성 영향요인을 분류하고 있다. 또한 예측에 대한 고려 없이 도출된 생산성 영향요인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예측하면, 유의하지 못한 생산성 영향요인이 예측 모델의 독립변수로 사용되어 생산성 예측 값의 신뢰도와 적합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 값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인자인 생산성 영향요인에 대한 상관분석을 이용한 생산성 예측을 위한 생산성 영향요인 선정 프로세스를 제안하였고, 제안된 프로세스는 영향요인 선정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생산성예측을 위한 생산성 영향요인 선정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ductivity is acknowledg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construction projects. Various data items collected daily form a construction site can be used for monitoring its productivity by analyzing them. However, no analytical methods for that purpose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yet. Previous researches that utilized OLAP and data mining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roductivity did not do well with predicting future cases with sufficient reliability. This research therefore proposes a new analytical process which is capable of figuring out the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productivity of future projects,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past proj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예상(1994). '건설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0권 제10호, 대한건축학회, pp.267-273
  2. 문우경, 한성훈, 김예상, 김영석, 김상범(2006). '건설 생산성 정보 관리를 위한 생산성 영향요인 분석.'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7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422-426
  3. 박주현, 김대현, 이학기(2003). '린 건설과 연계한 생산성 저하 요인과 Waste요인과의 상호 관련성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4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64-172, 2003
  4. 박범조(1999). 현대통계학의 이론과 활용, 초판, 시그마프레스, 서울
  5. 손창백, 이덕찬(2002). '건축공사의 생산성 저하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제12호, 대한건축학회, pp.125-132
  6. 손창백, 이덕찬(2005). '공동주택 건축공사의 생산성 향상요인 선정 및 적용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4호, 대한건축학회, pp.133-140
  7. 오세욱, 김명호, 김역석(2006). '건설생산성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적용.'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7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27-137
  8. 유정호, 이현수(2002).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성관리 시스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제7호, 대한건축학회, p.103-p.113
  9. 정대연(1997). 기초사회통계학, 초판, 백산서당, 서울
  10. 한종관, 진상윤, 김예상(2003). '시공자 중심의 주요 공종별 공기지연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제3호, 대한건축학회, pp.163-170
  11. 표영민, 배수용, 유형한, 이상범(2005). 'AHP기법을 이용한 건설노동생산성 저하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기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8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141-148
  12. H. Randolph Thomas(1999), ' Loss of Labor Productivity Due to Delivery Methods and Weather.'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January/February, pp.39-46
  13. K. W. Chau, Ying Cao, M. Anson and Jianping Zhang(2002). 'Application of Data Warehouse and Decision Support System in Construction Manag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12, pp.213 -224
  14. Rifat Sonmez(1998).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Modeling with Neural Network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November/December, pp.498-504,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