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rological Study on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the southwest Ryeongnam Massif: (1) the Mt. Moonyu volcanic mass, Seungju-gun

영남육괴 남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1) 승주군 문유산 화산암복합체

  • Kim, Young-La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oh, Jeong-Seon (Research Institute for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Hyun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un, Sung-Hyo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영라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
  • 고정선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이정현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
  •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volcanic sequence of the late Cretaceous Moonyu volcanic mass which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can be divided into felsic pyroclastic rocks, andesite and andesitic pyroclastic rocks, rhyolite in ascending order. The earliest volcanic activity might commence with intermittent eruptions of felsic magma during deposition of volcaniclastic sediments. Explosive eruptions of felsic pyroclastic rocks began with ash-falls, to progressed through pumice-falls and transmitted with dacitic to rhyolitic ash-flows. Subsequent andesite and andesitic pyroclastic rocks were erupted and finally rhyolite was intruded as lava domes along the fractures near the center of volcanic mass. Petrochemical data show that these rocks are calc-alkaline series and have close petrotectonic affinities with subduction-related continental margin arc volcanic province. Major element compositions range from medium-K to high-K. Petrochemical variation within the volcanic sequence can be largely accounted for tractional crystallization processes with subordinate mixing. The most mafic rocks are basaltic andesite, but low MgO and Ni contents indicate they are fractionated by fractional crystallization from earlier primary mafic magma, which derived from less than 20% partial melting of ultramafic rocks in upper mantle wedge. Based on the stratigraphy, the early volcanic rocks are zoned from lower felsic to upper andesitic in composition. The compositional zonation of magma chamber from upper felsic to lower andesitic, is interpreted to have resulted from fractionation within the chamber and replenishment by an influx of new mafic magma from depth. Replenishment and mixing is based on observations of disequilibrium phenocrysts in volcanic rocks. REE patterns show slight enrichment of LREE with differentiation from andesite to rhyolite. Rhyolite in the final stage can be derived from calc-alkaline andesite magma by fractional crystallization, but it might have underwent crustal contamination during the fractional crystallization.

영남육괴의 남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말의 문유산 화산암복합체는 아래로부터 산성 화성쇄설암, 안산암과 안산암질 쇄설암, 유문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오래된 화산활동은 화산쇄설성 퇴적물이 퇴적되는 동안 산성 마그마의 간헐적인 분출로 시작되었다. 산성 화성쇄설암의 폭발적인 분출은 강하회에서 시작되어 부석강하로 발전되어 데사이트질${\sim}$유문암질 화산회류 분화로 변하였다. 그 이후에는 안산암과 안산암질 화성쇄설암의 분출이 일어났고, 최종적으로 화산암체의 중앙에 가까운 틈을 따라 용암돔의 형태로 유문암이 관입하였다. 암석화학적 데이터는 이러한 암석들이 칼크-알칼리암 계열이며, 섭입대와 관련된 대륙연변부 화산호와 지구조적으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성분원소 조성은 medium-K에서 high-K의 범위를 가진다. 이 지역의 화산암류에서 암석화학적 변화는 부수적인 혼합과 더불어 분별결정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가장 매픽한 암석은 현무암질안산암이지만, 낮은 MgO와 Ni 함량은 이들이 상부 맨틀 웨지 내 초염기성암의 20%이내의 부분용융에서 유래된 초기의 초생 마그마로부터 분별결정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층서상으로 초기의 화산암은 조성적으로 하부의 산성암과 상부의 안산암으로 분대되어 분포한다. 상부의 산성에서 하부의 안산암질로 조성적으로 누대구조를 보이는 마그마 챌버는 챔버 내에서의 분별작용과 깊은 곳에서의 새로운 염기성 마그마가 유입되어 보충된 결과로 사료된다. 마그마의 보충에 따른 혼합은 화산암 내의 비평형적인 반정의 관찰에 기초한다. REE 패턴은 안산암에서 유문암으로 분화되면서 LREE가 약간 부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 단계의 유문암은 분별결정작용에 의해 칼크-알칼리 안산암질 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으며, 이는 분별결정작용 동안 지각 동화작용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석, 윤성효, 고정선, 2008, 영남육괴내 무주 설천응회 암의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44(2), 199-217
  2. 김상욱, 1972,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의 백악기 화산활동에 관하여. 손치무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113-119
  3. 김상욱, 이영길, 1981, 유천분지 북동부 백악기 화산암류의 화산암석학 및 지질 구조. 광산지질, 14, 35-49
  4. 김상욱, 1982, 북부 유천분지내에 분포하는 후기 백악기 화 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 위논문, 133p
  5. 김상욱, 1986, 경상분지에서의 후기 백악기 화성활동에 관 한 연구. 이상만교수송수기념논문집, 167-194
  6. 김상욱, 1990, 남부 유천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 의 암석학적 특징; 1. 미량원소. 경북대학교 논문집, 49, 23-34
  7. 김상욱, 이재영, 김영기, 고인석, 1991, 남부유천소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27, 24-39
  8. 김옥준, 정봉일, 엄상호, 장기홍, 박봉순, 강필종, 1980, 한 반도의 지진지체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59p
  9. 박준범, 1986, 전북 고창군 반암리 주변에 분포하는 화산 암체의 층서 및 암석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학 석사 학위논문, 76p
  10. 박희인, 1966, 순창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15p
  11. 유환수, 김용준, 박배영, 1993, 한국지질도(1:50,000), 괴목 도폭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19p
  12. 성효, 1988, 화산 환상화성암복합체의 발달사 및 콜드론 구조. 지질학회지, 24(3), 267-288
  13. 윤성효, 1993, 의성분지 중앙부 금성산 화산암복합체의 화 산활동과 콜드론 구조. 지질학회지, 29(4), 309-323
  14. 윤성효, 상기남, 1994, 경상분지 남부의 백악기 화산암복합 체의 콜드론 구조 및 지질연대. 한국지구과학회지, 15-5, 376-390
  15. 윤성효, 이준동, 이상원, 고정선, 서윤지, 1997, 거제도 화 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6(1), 1-18
  16. 윤성효, 1998, 한국 남동부 유천화산암분포지에 위치하는 백악기 화산암복합체의 암석학 및 화산활동사. 한국지구과학회지, 19(4), 408-424
  17. 원종관, 1968, 경상분지 내에서의 백악기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4, 215-236
  18. 원종관, 강필종, 이상헌, 1978, 경상분지의 구조해석과 Igneous pluton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4-3, 79-92
  19. 원종관, 이문원, 김광호, 홍영국, 우준기, 이재만, 1990, 순 창함몰대에서의 백악기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경상분 지 및 서남 일본내대와의 비교-. 지질학회지, 26(2), 165- 184
  20. 원종관, 이문원, 이재만, 1991, 법성포지역의 백악기 화산 활동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27(4), 416-433
  21. 원종관, 이문원, 노진환, 이해경, 1994, 통리분지에서의 백 악기 화산활동. 지질학회지, 30(6), 542-562
  22. 이문원, 원종관, 김광호, 1992, 경기육괴 내에서의 백악기 화산활동과 암석학적 연구; -갑천, 음성 및 공주 분지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28(3), 314-333
  23.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칠, 1997, 광주지질도폭(1:25만). 한국자원연구소, 82p
  24. 주승환, 김용준, 1986, 영남육괴 Rb-Sr 연대 측정연구(II), 지리산 서남부일대 화강암질 편마암 및 편마상 화강암류. 한국동력자원연구소, 국토기본지질조사연구 (KR-86-7), 7-34
  25. 차문성, 1976, 부산지역의 불국사 산성 화강암류의 암석학 적 연구. 광산지질, 9-2, 85-106
  26. 차문성, 1979, 밀양 동남부의 백악기 후기 산성 화산암류 의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27, 141- 153
  27. 차문성, 윤성효, 1982, 부산시 일원의 백악기 화산활동, 특 히 장산 칼데라 잔존구조에 관하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34, 377-390
  28. 차문성, 윤성효, 황인호, 1984, 양산군 대운산 함몰체.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8, 265-282
  29. 차문성, 윤성효, 1988, 한반도의 화산 함몰구조 및 환상복 합암체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24, 67-86
  30. 황상구, 1979, 천황산일대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 적 연구. 경북대 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79p
  31. 황상구, 1991, 유천소분지 중앙부의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 석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p
  32. 황상구, 김상욱, 1994a, 밀양-양산지역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I): 암석조구적 위치. 지질학회지, 30(3), 229-241
  33. 황상구, 김상욱, 1994b, 밀양-양산지역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II): 암석성인. 지질학회지, 30(6), 563-577
  34. 황상구, 이기동, 김상욱, 이재영, 이윤종, 황재하, 김동학, 1995, 금성산 칼데라 내의 관입 용결 응회암의 산출형태 , 자원환경지질, 28-4, 415-423
  35. 황상구, 1996, 양산 칼데라에 관련된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진화. 지질학회지, 32, 208-222
  36. 황상구, 김상욱, 이윤종, 1998, 삼랑진 칼데라의 화산작용 과 화성과정. 암석학회지, 7-3, 147-160
  37. 황상구, 2001, 청송 남동부 구암산 일대의 화산지질과 칼 데라.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자원공학회, 한국지구 물리탐사학회, 대한지질학회 2001년도 춘계 공동학술발 표회 논문집, 219-222
  38. 황상구, 2002, 구암산 칼데라에 관련된 화산암류의 마그마 진화. 지질학회지, 38(3), 341-359
  39. Brown, G. C., Thorpe, R. S. and Webb, P. C., 1984,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 of granitoids in contrasting arcs and comments on magma sources.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141, 413-426 https://doi.org/10.1144/gsjgs.141.3.0413
  40. Gill, J, B., 1981, Orogenic andesites and plate tectonics. Springer, Berlin, 390p
  41. Green, T. H., 1980, Island arc and continent-building magmatism: A review of petrogenetic models based on experimental petrology and geochemistry. Tectonophysics, 63, 367-385 https://doi.org/10.1016/0040-1951(80)90121-3
  42. Hughes, C, J., 1973, Spilites, koratophyres and the Igneous spectrum. Geological Magazine, 109, 513-527
  43. Irvine, T. N. and Baragar, W. R. 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8, 523-548 https://doi.org/10.1139/e71-055
  44. Jakes, P. and White, A. J. R., 1972, Major and trace element abundances in volcanic rocks of orogenic area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3, 29-40 https://doi.org/10.1130/0016-7606(1972)83[29:MATEAI]2.0.CO;2
  45. Johnson, M. C. and Rutherford, M. J., 1989, Experimental calibration of the aluminum-in-hornblende geobarometer with application to Long Valley caldera(California) volcanic rocks; Geology. 17, 837-841 https://doi.org/10.1130/0091-7613(1989)017<0837:ECOTAI>2.3.CO;2
  46. Kuno, H., 1968, Differentiation of basalt magmas. In Basalts: The Poldervaart treatise on rocks of basaltic composition (eds. Hess H. H. and Poldervaart A), New York, 623-688
  47. Le Maitre, R. W., Bateman, P., Dudek, A., Keller, J., Lameyre Le Bas, M. J., Sabine, P. A., Schmid, R., Sorensen, H., Streckeisen, A., Woolley, A. R. and Zanettin, B., 1989, A classification of igneous rocks and glossary of terms. Blackwell, Oxford
  48. Middlemost, E. A. K., 1989, Iron oxidation ratios, norms and the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Chemical Geology, 77, 19-26 https://doi.org/10.1016/0009-2541(89)90011-9
  49. Mysen, B. O., Kushiro, L., Nicholls, I. A. and Ringwood, A. E., 1974, A possible mantle origin for andesitic magma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1, 221-229 https://doi.org/10.1016/0012-821X(74)90157-5
  50. Nicholls, I. A. and Ringwood, A. E., 1973, Effect of water on olivine stability in tholeiites and production of silicasaturated magmas in the island arc environment. Journal of Geology., 81, 285-300 https://doi.org/10.1086/627871
  51. Pearce, J. 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plate margins. In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s (eds. Hawkesworth, C. J.and Norry, M. J.), Nantwich, Shiva. 230-249
  52. Powell, M., 1978, Crystallization conditions low-pressure cumulate nodules from the Lesser Antilles island arc.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39, 162-172 https://doi.org/10.1016/0012-821X(78)90152-8
  53. Ringwood, A. E., 1974, The petrogical evolution of island arc system.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130, 184-204
  54. Rollison, H. R., 1993, Using Geochemical data: evalua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Longman, Singapore. 352p
  55. Sekine, T., and Wyllie, P. J., 1982a, Phase relationships in the system $KAlSiO_4$-$Mg_2$$SiO_4$-$SiO_2$-$H_2$O as a model for hybridization between hydrous siliceous melts and peridotite.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79,368-374 https://doi.org/10.1007/BF01132066
  56. Sekine, T., and Wyllie, P. J., 1982b, The system graniteperidotite- H2O at 30 kbar with applications to hybridization in subduction zone magmatism.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81, 190-202 https://doi.org/10.1007/BF00371296
  57. Sun, S. S. and McDonough, W. 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Saunders, A.D., Norry, M.J. (eds)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Special Publication, 42, 313- 345 https://doi.org/10.1144/GSL.SP.1989.042.01.19
  58. Turner, F. J. and Verhoogen, J., 1960, Igneous and metamorphic petrology. McGraw Hill Book, 285
  59. Wilson, M., 1989, Igneous petrogenesis. Unwin Hyman, London, 466
  60. Wood, D. A., 1980, The application of a Th-Hf-Ta diagram to problems of tectonomagmatic classification and to establishing the nature of crustal contamination of basaltic lavas of the British Tertiary volcanic provinc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0, 11-30 https://doi.org/10.1016/0012-821X(80)90116-8
  61. Wyllie, P. J. ,1982, Subduction products according to experimental predictio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93, 468-476 https://doi.org/10.1130/0016-7606(1982)93<468:SPATEP>2.0.CO;2
  62. Yun, S. H., 2002, Cretaceous volcanic activit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 1: MESOZOIC SEDIMENTATION, IGNEOUS ACTIVITY AND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Edited by Jin, M. S. et al.,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pp. 243, 167-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