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ical Environments, and Deterioration States and Causes on the Carved Buddhist Triad on Rock-cliff in Sinamri, Yeongju

영주 신암리 마애삼존석불에 대한 지질환경과 훼손상태 및 원인

  • Hwang, Sang-Ko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J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H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황상구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상진 (안동대학교 환경교육) ;
  • 김재호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Carved Buddhist Triad on Rock-cliff in Sinarnri (Treasure No. 680) consists of biotite granodiorite, which were positively carved on fore and west planes of four subvertical cliffs by two joint sets of NE-SW and NNW-SSE directions. The cliffs are $N50^{\circ}E\;85^{\circ}SE$ in fore plane, $N25^{\circ}W\;90^{\circ}$ in west plane, $N40{\sim}50^{\circ}E\; 82{\sim}85^{\circ}NW$, back plane, $N20^{\circ}W\;75^{\circ}SW$ in east plane, which are parallel to two joint sets of NE-SW and NNW-SSE directions in geology around it. Th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 ranges 60.3 to 62.0 from the major elements in the rock that was weathered into producing kaolin minerals from alteration of feldspars and biotite. The Buddhist image has been deteriorated into joints, brown rusts, discolorations and granular disintegrations by such deterioration causes as deformation, moisture, temperature variation and microorganic living. The moisture, which leaks from groundwater in the rock, dissolve to decompose minerals.

영주 신암리 마애삼존석불(보물 680호)은 흑운모 화강섬록암으로 구성되고 4 면의 수직 암벽의 앞면과 서면에 돋을새김으로 조각되어 있다. 암벽은 앞면이 $N50^{\circ}E\;85^{\circ}SE$이고, 시계방향으로 각각 $N25^{\circ}W\;90^{\circ}$, $N40{\sim}50^{\circ}E\;82{\sim}85^{\circ}NW$, $N20^{\circ}W\;75^{\circ}SW$을 나타내며 주변 지질의 북동-남서 및 북북서-남남동 절리조에 평행하다. 이 화강섬록암의 풍화암에서 주원소의 화학조성을 이용한 풍화지수는 $60.3{\sim}62.0$으로서 사장석이 용해되고 흑운모가 변질되어 점토광물을 생성시키는 풍화작용이 진행되었다. 마애삼존석불에서 손상은 풍화에 의해 절리, 갈색 녹, 변색현상, 입상분해 등으로 나타난다. 손상원인은 주로 변형작용, 수분, 기온변화, 미생물서식 등이다. 이 중에 수분이 화강섬록암 내의 절리와 미세한 틈을 따라 스며들어 광물을 용해하고 탈락할 뿐만 아니라 식물을 서식케 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 이민성, 김원사, 이수재, 1994, 서울지역의 자연환 경 변화에 관한 연구: 남산화강암 의 풍화에 관한 환경 광물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30, 284-296
  2. 이상헌, 1998, 국내 석조문화재의 보전 대책수립을 위한 지 질학적 고찰. 보존과학회지, 7, 9-18
  3. 이상헌, 1999, 석굴암을 이루는 암석의 풍화현상. 보존과학회지, 8, 1-9
  4. 이수곤, 1993, 화강암의 풍화. 지질학회지, 29, 396-413
  5. 이찬희, 최석원, 한경순, 원정식, 2001, 경주 서악동 삼존불 입상의 기계적 훼손과 보존과학 적 접근. 지질학회지, 37, 611-627
  6.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2005,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 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학회지, 41, 401-413
  7. 조영훈, 이찬희, 전성원, 2007, 증평 남하리사지 마애불상 군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평가. 지질학회지, 43, 501-515
  8. 진홍섭, 1960, 영주 석포리 사면석불. 고고미술, 1, 1-2
  9. 최석원, 이찬희, 2000, 부여 대조사 화강암 미륵보살입상의 물리적 및 화학적 풍화. 지질학회지, 36, 559-574
  10. 최석원, 이찬희, 서만철, 2001,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의 산출상태와 훼손 및 보존방안. 지질학회지, 37, 393-406
  11. 황상구, 김상욱, 장태우, 김정민, 이상근, 1999, 영주저반의 관입상과 화성과정. 자원환경지질, 32, 669-688
  12. 황상구, 김수정, 이현우, 2002, 군위 삼존석굴의 지질환경 과 훼손원인. 자원환경지질, 35, 407-420
  13. 황상구, 남재국, 2007,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의 지질환 경과 훼손원인. 자원환경지질, 40, 47-66
  14. 황상구, 안웅산, 김상욱, 2000, 영주저반의 부석심성암체 내 에서 공간적 조성변화와 그 성인. 자원환경지질, 33, 147-163
  15. Chesworth, W., Dejou, J., and Larroque, P., 1981, The weathering of basalts and relative mobilities of the major elements at Belbex, France. Geochim. Cosmochim. Acta, 45, 1235-1243 https://doi.org/10.1016/0016-7037(81)90147-2
  16. Fritz, P.C., and Regland, P.C., 1980, Weathering rinds developed on plutonic rocks in the North Carolina Piedmont. Am. J. Sci., 280, 546-559 https://doi.org/10.2475/ajs.280.6.546
  17. Nagano, T. and Nakashima, S., 1989, Study of colors and degrees of weathering of granitic rocks by visible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Geochem. J., 23, 75-83 https://doi.org/10.2343/geochemj.23.75
  18. Nesbitt, H.W., and Young, G.M., 1982,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ature, 299, 75-717
  19. Nesbitt, H.W., and Young, G.M., 1984,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 based on the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 Geochim. Cosmochim. Acta, 48, 1523-1534. https://doi.org/10.1016/0016-7037(84)904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