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pectators Reception of Visual Error in Manually Produced Animation

아날로그 제작 방식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시각적 오차성의 관객 수용에 대한 연구

  • 김진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Digital production method in animation has enabled us to reconstruction the real world in the way we had sought in visual all. However, spectator's visual desire is not satisfied with mere photographic visual reconstruction. It demands traditional picturesque qualify with involves a great deal of contingencies and errors. Naturally, Digital film technology has also sometimes tried to simulate analogue technique such as hand drawing so on. This is not caused by nostalgia, but by recursive instinct. The spectator's visual desire for media doesn't remain only precision of real world but require mental demand on successive visual and perceptive errors while repealing ripeness of new media and going through perception and recognition. This spectator's desire and visual art technology pursuits variously its visual perfection in history.

현대에 이르러 첨단 디지털 제작 방식은 우리가 시각 미술에서 추구해 왔던 현실 세계의 재현 문제를 핍진적으로 구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객의 시각의 욕구는 사실주의의 시각적 재현에 머무르지 않고 수많은 우연성과 오차를 야기하는 아날로그적 회화성을 요구하고, 그에 부응하여 디지털 제작 방식 또한 사진, 수작업 시각물 등 아날로그 세계의 구현방식을 추구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이는 인간의 회귀적 본능에 기인하는 과거 시각적 기억에의 향수만은 아니다. 이는 매체에 대한 관객의 시각적 욕구가 단순히 현실 세계에 근접한 정밀함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지각과 인식의 과정을 거치며 새로운 매체에의 믹숙함이 반복되면서 정서적 반향을 일으키는 어떠한 형태의 시각적 자극, 즉 일련의 시지각적 오차에 대한 심리적 요구가 병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객의 욕구와 시각 예술의 구현 방법은 끊임없이 상호 형태를 달리하며 시각적 완성을 추구해 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