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orean Lip-Sync for Animation Characters - Based on Lip-Sync Technique in English-Speaking Animations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한국어 립싱크 연구 : 영어권 애니메이션의 립싱크 기법을 기반으로

  • 김탁훈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tudy mouth shapes suitable to the shapes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for Korean animation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English-speaking animation lip-sync based on pre-recording in the United States. A research was conducted to help character animators understand the concept of Korean lip-sync which is done after recording and to introduce minimum, basic mouth shapes required for Korean expressions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racters. In the introduction, this study mentioned the necessity of Korean lip-sync in local animations and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s of Korean lip-sync data based on English lip-sync data by laking an American production as an example. In the main subjec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8 basic mouth shapes required for English pronunciation expressions, left out mouth shapes that are required for English expressions but not for Korean expressions, and in contrast, added mouth shapes required for Korean expressions but not for English expres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de a diagram for the mouth shapes of Korean expressions by laking various examples and made a research on how mouth shapes vary when they are used as consonants, vowels and batchim. In audition, the case study proposed a method to transfer lines to the exposure sheet and a method to arrange mouth shapes according to lip-sync for practical animation production. However, lines from a Korean movie were inevitably used as an example because there has not been any precedents in Korea about animation production with systematic Korean lip-sync data.

본 논문은 선 녹음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미국권 애니메이션 영어 립싱크(Lip-sync)의 제작 방법을 분석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에 응용이 되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의 형태에 입각한 입모양을 연구한다. 현업에 종사하는 캐릭터 애니메이터들을 위해 선 녹음으로 행해지는 한국어 립싱크에 대한 개념의 이해를 돕도록 하고, 특성이 다른 각 캐릭터들에게 응용이 가능하도록 한국어 표현을 위한 최소한의 기본 입모양들이 소개가 되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론에서는 국산 애니메이션의 한국어 립싱크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미국의 한 프로덕션의 예를 들어 영어 립싱크 데이터에 근거한 한국어 립싱크 데이터의 연구방법을 소개하였다. 본론에서는 영어발음의 표현방법에 필요한 8가지 기본 입모양으로 각각의 특성과 역할을 보여주고 영어 표현에서는 필요하지만 한국어 표현에서는 필요치 않은 입모양을 삭제하고, 반대로 영어 표현에서는 필요하지 않지만 한국어 표현을 위해 필요한 입모양을 새로 만들어서 정리하였다. 이 결과를 가지고 한국어 표현을 위해 각 입모양이 어떻게 쓰이는지 각종 예를 들어 도표로 만들고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받침에 쓰일 때 어떻게 입모양이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대사를 익스포져 시트(Exposure sheet)에 옮겨 적는 법과 립싱크에 맞도록 입모양들을 나열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실제 작품제작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인 한국어 립싱크 데이터를 가지고 애니메이션 프로덕션을 진행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한국 영화중 대사의 한 부분을 예로 사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