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aluation for Stability at Joint Part in Composition Dam

복합댐 접합부의 안정성 평가

  • 김재홍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오병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Received : 2007.08.13
  • Published : 2008.05.30

Abstract

Research dam is consisted of concrete gravity dam that right bank department is built to concrete material, left bank department is composition dam that is consisted of rockfill dam that consist of rockfill material In domestic case, composition dam form of storage of water facilities of about 17,000 does not exist hardly in dam of irrigation water industry drinking water purpose that manage local government or other institution, Even if exist, is real condition that there is total nonexistence administrator fare of facilities, Choose unique dam of domestic multipurpose dam and analyzed conduct special quality of con'c gravity dam and rockfill dam joint part To analyze dynamic conduct special quality of composition dam by analytic method in this research, Do modelling via axis of dam and achieved static(Psuedo-static, modify Psuedo-static) and dynamic analysis, When achieving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analyzed seismic response analysis between concrete part and rockfill's part.

연구대상댐의 우안부는 콘크리트구조물로 축조된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좌안부는 사력재료로 이루어진 사력댐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댐이다. 이련 형식의 댐 거동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국내는 물론 선진외국의 참고자료도 희소한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약 17,000의 저수시설물중 복합댐 형식은 지자체나 기타 기관에서 관리하는 생 공 용수댐의 경우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설혹 존재하더라도 시설물의 관리자료가 전무한 실정으로, 국내 다목적댐 중 유일한 복합댐을 선정하여 중력식댐과 사력댐 접합부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적 방법에 의하여 복합댐의 동적 상호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댐 축을 기준으로 모델링하여 정적(유사정적법, 수정진도법) 및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지진시 콘크리트댐과 사력댐 접합부의 지진 응답해석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자원공사, '대청다목적댐 거동분석 및 안정해석보고서', 1988
  2. 한국수자원공사, '3개댐(소양강댐, 대청댐, 안동댐) 거동분석 및 안전진단평가 보고서', 1995
  3. 한국수자원공사, '대청 다목적댐 정밀안전진단보고서', 2000
  4. 산업기지개발공사, '대청다목적댐 공사지', 1981
  5.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시설물의 내진성능평가 연구', 2001
  6. 오병현, 김재홍, '복합댐의 담수에 따른 거동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 정기학술발표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