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철도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변화의 실증적 연구

Empirical Study o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hange by Providing Metro-rail Service

  • 발행 : 2008.02.28

초록

현재 수도권에서 추진 중인 많은 광역철도 노선 확충은 승용차를 포함한 주변 대중교통체계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 사례는 많지 않아 광역대중교통시설 확충 효과를 정확하게 계량하기 어렵고, 효율적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철도 개통이 주변 교통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앙선 광역철도 사례를 중심으로 수송수요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래 대중교통 수단별 수요변화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통계자료 분석결과, 광역철도의 개통이 주변 교통체계에 미치는 영향은 승용차(33.3%)에 비해 버스(66.5%)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버스에 비해서는 경기버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결과도 통계자료 분석과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승용차 이용객들은 대중교통 시설의 확충이나 서비스 개선 등에 영향을 덜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기존 버스 이용자들의 경우는 광역철도 개통 등 대중교통 시설 확충이나 서비스 개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광역철도 개통으로 인하여 버스의 수요가 19% 가량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idership and transit systems are influenced by the expansion of metro-rail in Seoul metropolitan area.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measure its precise quantitative influences. Also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s have been limited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evidences. Thus an empirical analysis for an operating metro-rail is essentially required.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Jungang line on transportation system, whose metro-rail block has been recently started new service.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s of ridership and to forecast the ridership changes by the metro-rail servi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n auto users is less than that of bus users. The auto demand is decreased by 33.3% and the bus demand by 66.6%. Additionally, its influence on Gyeonggi-do bus was greater compared with that on the Seoul bus. From questionnaire survey, this results could be confirmed. To sum up, the metro-rail gives less influences on auto users, while it gives greater influences on bus users.

키워드

참고문헌

  1. Ben-Akiva, M. and S. R. Lerman(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The MIT Press
  2. The Automotive Safety Foundation(1963), "Traffic Control and Roadway Elements-their relationship to Highway Safety"
  3. 경기개발연구원(2006a), "2006 경기도 버스운송업체 경영 및 서비스 평가", 경기도
  4. 경기개발연구원(2006b), "경기도 대중교통종합계획수립 연구", 경기도
  5. 경기개발연구원(2006c), "경기도 철도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경기도
  6. 도철웅(2001), "교통공학원론", 청문각
  7. 김강수(2002), "Stated Preference 조사설계 및 분석방법론에 대한 연구(2단계)", 한국교통연구원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6), "대중교통체계개편 성과분석 및 버스관리기구 설립.운영방안 - 제1편 대중교통체계개편 성과분석 - ", 서울특별시
  9. 성현곤.권영종.송선아.이재용(2006), "광역철도 개통효과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선 광역철도를 중심으로", 제53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577-590
  10. 윤혁렬(2000), "제2기 지하철 전면개통에 따른 시내버스 노선체계의 개편구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1. 장수은.정성봉(2006), "초기 교통수요 형성의 특성규명을 통한 교통수요분석의 신뢰도 제고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