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내 화주기업의 입지 및 재입지 선택 특성 분석 (2006년 물류현황보완조사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the Location and Relocation of Domestic Logistics Firms in Korea (focused on complementary commodity flow survey for 2006)

  • 도화용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장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
  • 원제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발행 : 2008.02.28

초록

일반적으로 기업은 이윤추구를 위해 한 곳에 정착하지 않으며, 원자재 조달의 용이성, 시장, 교통비, 동종업체와의 협력, 건물 임대료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재입지(relocation)하게 된다. 또한 국가 정책적 측면에서도 산업단지 배치, 제조업의 재배치 등 정책에 의해 기업의 재입지가 이루진다. 우리나라에서는 '60년대 후반부터 기업 입지정책이 체계적으로 수립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정책 사안에 따라 지역적으로 특화된 산업개발, 공공기업의 지방이전 등이 사회전반에 걸쳐 화두가 되고 있다. 국가간 기업의 재입지 역시 같은 이유로 인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인건비와 임대료가 저렴한 저임금 국가인 중국, 중유럽, 동유럽 등 생산비용 절감차원에서 우위가 있는 지역에 새로운 입지를 선점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인 김찬성 등(2007)이 수행한 우리나라 내수화물 취급업체의 입지결정 특성분석에서 재입지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내화물 취급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재입지의 영향요인을 동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2005년에 조사된 제3차 전국물류조사 중 2006년에 보완조사된 3,000개 사업체 중 재입지를 경험한 1,400개 사업체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보완조사에서는 이전 영업지, 영업지에서 영업한 기간, 재입지 이유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재입지의 동태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첫째, 한 영업지에서의 평균체류시간의 관찰, 둘째, 설문을 통해 재입지에 영향을 준 요인 및 정부정책에 의한 재입지 의향 파악, 마지막으로 이전 영업소와 이후 영업소의 주소지를 통해 market area의 영향을 규명하도록 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기업이 한 곳에 체류하는 기간은 규모, 업종 등에 따라 다양하며 이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업체 이전의 주된 이유는 시장규모, 교통편리성, 임대료 등이며 이전시 이들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입지선택특성모형 추정결과 기업은 기존 상권에 더욱 가까이 하면서 재입지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사업체 이전에는 market area의 영향이 매우 큰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In general, most of the firms do not settle down in one place for their pursuit of profit.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relocation of the firms; procurement of raw material, market area, transportation cost and housing cost. The aspect of national policy, firm relocation has been systemically promoted for the purpose of logistics system efficiency. Nowaday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issue. Another aspect, many countries have struggled for the preoccupancy of new place because of its production cost saving and curtailment of expenditure. The aim of this article i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relocation influence factors of domestic goods firms in Korea. This article dynamically analyzed the relocation influence factors for domestic goods firms in Korea. For the analysis this article made use of complementary survey (2006) out of the 3rd national logistics survey (2005). The complementary survey conducted pre-business district, business period, relocation reason, etc. This article dynamically analyzed from the three aspects; observation of average residence time in one business district, relocation factors, influence of market area. Analysis shows that relocation of firm is very high rate and the reasons of relocation play compositeness role. The results of determinants of location, firms approach the established market area closely and the firm's relocation is influenced by market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찬성.성홍모.안승범.예충열(2007), 우리나라 화주기업의 입지선택 특성분석 (내수화물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61-71
  2. 김찬성.황상규(2006),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교통접근성 제고방안 - 형평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통연구원
  3. 김경환.서승환(1996), "도시경제론", 홍문사
  4. 김기흥 외(1996), "도시 및 지역경제학", 진영사
  5. 민경휘 외(2003), 지역별 산업집적이 구조와 집적경제 분석, 산업연구원
  6. 홍기용(1985), "지역경제론", 박영사
  7. Warter Isard(1980), "Elementary Location Analysis in Policy Spac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Papers, Vol. 45, pp.17-44 https://doi.org/10.1007/BF01934652
  8. Warter Isard(1956), "Location and Space Economy", MIT Press
  9. Ilaria Mariotti(2005), "Firm Relocation and Regional Policy ; A Focus on Italy,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Groningen
  10. Alan David MacCormack, Lawrence James Newman III and Donald B. Rosenfield(1994), "The New Dynamics of Global Manufacturing Site Location", Sloan Management Review, pp.69-89
  11. Enrico Pennings, Leo Sleuwaegen(2000), "International relocation : firm and industry determinants", Economics Letters
  12. Oum T. H.(2004), "Multinational firn's location preference for regional distribution centers : focused on the Northeast Asian region", Transportation Research
  13. Javalgi and Reisenwitz(2001), "International logistics operations of MNCs", Reviews of Business
  14. Fred Van Eenennaam and Keith D. Brouthers (1996), "Global Relocation : High Hopes and Big Risks", Long Range Planning
  15. Cheshire and Gordon(1995), "Territorial Competition in an Integrating Europe", Aldershot: Avebury
  16. Prism Research(1992), "Migration and Business Relocation: the case of the South East", London: HMSO
  17. Prism Research(2001), "Land & Property Study- Bournemouth, Dorset & Poole Economic Partnership
  18. Kemper and Pellenbarg(1997), "Industrial Mobility in the Netherlands", SOM Research Report
  19. Pen and Pellenbarg(1998), "Firm Migration and Central Government Policy",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20. Ortona & Santagata(1983), "Industrial Mobility in the Turin Metropolitan Area 1961-1977, Urban Studies 20, pp.59-71
  21. Schmenner, R.W.(1982), "Making Business Location Decisions",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22. Fred Van Eenennaam and Keith D. Brouthers (1996), "Global Relocation : High Hopes and Big Risks", Long Range Planning, Vol.29, pp.84-93 https://doi.org/10.1016/0024-6301(95)00069-0
  23. John H. Dunning(1993), "Multinational Enterprise and the Global Economy", Addison-Wesley, UK
  24. Alan David, Lawrence James Newman(1994), "The New Dynamics of Global Manufacturing Site Location", Sloan Management Review, pp.6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