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on Developing Model of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창의적 생산력의 하위 요소 탐색 및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 개발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creative productivity is regarded as an essential factor to perform the gifted education. While it is very important to cultivate and to expand a creative productivity through mathematically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we have difficulties in actual edu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even are there few researches/studies which deal with teaching and guid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ally gifted education, it is hard to find a guideline that provides proper ways (or directions) of learning-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ould provide a learning-instruction model to expand a creative productivity.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which makes the creative productivity expanded in mathematically gifted education is developed and named MG-CPS(Mathematically Gifted-Creative Problem Solving). Since it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mathematical creativity and higher thinking level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this model is distinguished from general CPS. So this model is proper to provide a learning experience and instruction to the mathematically gifted.

창의적 생산력 신장은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목표 중 하나로, 실제 영재교육 현장에서의 학습-지도 및 평가 활동의 주요 초점이 여기에 맞춰져 있다. 수학영재교육의 목표와 교육 활동도 다르지 않으며 이를 위해 수학영재의 창의적 생산력을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과정을 통해 이를 신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수학영재의 특성과 능력을 정의하고 파악하는 데에는 어떤 특화된 능력 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인지 고찰하여 창의적 생산력의 하위요소를 인지적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을 해 낼 수 있는 수행능력, 그리고 스스로의 정의적 특성이나 정서적 요인을 조정하고 인지, 수행 과정을 모니터링, 조정, 운영하는 메타-조정능력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창의적 생산력 발현의 핵심과정이 되는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고 실제 학습-지도 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한, 수학영재의 창의적 생산력 신장을 위한 방안 모색의 일환으로서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