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프 비교하기

Search Result 84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mpirical Comparisons between Partial-Order Planning and Graph Planning in Freight Transportation Domain (화물운송 영역에서의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에 대한 실험적 비교)

  • 이상기;정용규;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325-33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응용범위가 넓고 비교적 복잡도가 높은 화물운송 계획문제들을 대상으로 몇 가지 실험을 통해 대표적인 인공지능 계획방식인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 동시에 이러한 실험을 통해 DVO 및 LPVO와 같은 대표적인 제어전략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에 비해 그래프 계획법이 메모리 사용량이나 CPU 계산시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비교적 복잡도가 큰 계획문제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에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이 대부분 최적의 해를 찾아낸 것에 반해 그래프 계획법은 사용된 제어전략과 최적화 방법에 따라 해 계획의 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한편 그래프 계획법에서는 부속목표 선택 전략인 DVO는 그 효과를 뚜렷이 보이지 못한 반면 동작 선택 전략인 LPVO는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이나 계산속도 면에서 모두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Empirical Comparisons between Partial-Order Planning and Graph Planning in Freight Transportation Domain (화물운송 영역에서의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에 대한 실험적 비교)

  • 이상기;정용규;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325-33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응용범위가 넓고 비교적 복잡도가 높은 화물운성 계획문제들을 대상으로 몇 가지 실험을 통해 대표적인 인공지능 계획방식인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 동시에 이러한 실험을 통해 DVO 및 LPVO와 같은 대표적인 제어전략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에 비해 그래프 계획법이 메모리 사용량이나 CPU 계산시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비교적 복잡도가 큰 계획문제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에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이 대부분 최적의 해를 찾아낸 것에 반해 그래프 계획법은 사용된 제어전략과 최적화 방법에 따라 해 계획의 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한편 그래프 계획법에서는 부속목표 선택 전략인 DVO는 그 효과를 뚜렷이 보이지 못한 반면 동작 선택 전략인 LPVO는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이나 계산속도 면에서 모두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The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for Teaching Statistical Graphs -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MiC's textbooks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 -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초등 통계 내용을 중심으로-)

  • Lee, Kyung-Hwa;Ji, Eun-Jeu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8 no.3
    • /
    • pp.353-372
    • /
    • 2008
  • This study looks around the goal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that are introduced in the seventh Korea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nd in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NCTM, 2000), and these are compared. We compare how to transpose statistical graphs didactically between the Korean and MiC textbooks. For it, it examines the types of statistical graphs, the methods defining them, and the making connections and comparing among them, which are content components in the chapters on statistical graphs. The results show that in contrast to the Korean textbooks, NCTM(2000) has allowed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expression for data, to compare results analysed within different graphs, and to consider a graph as a whole in the goal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MiC textbooks have introduced the number-line plot and the box plot more than Korean. Although both of Korean and MiC textbooks usually use extensive methods for defining individual graphs, the former use extensive methods together with synonymic methods and the latter use extensive method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raphs. Also, the number-line plot is defined using operative method in the MiC textbooks. MiC textbooks contain various activities for connecting and comparing graphs, but there are comparatively few comparing activities in the Korean textbooks.

  • PDF

Efficient Generation of Docking Graph in Protein Structure Comparison (단백질 구조 비교에서 유사성 그래프의 효율적인 생성)

  • 최경호;김진홍;이명준;이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93-895
    • /
    • 2003
  • 단백질간 구조 비교는 기능적 또는 구조적으로 연관된 단백질을 분류하거나 모티프(motif)를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단백질간 구조 비교 방법 중에서 단백질 2차구조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행속도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2차 구조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구조 비교에서 사용될 유사성 그래프를 생성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유사성 그래프는 단백질의 2차구조 사이의 관계를 노드로 하여 생성되는데, 그 시간복잡도가 O(n$^4$)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사성 그래프의 생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Level-2 Fuzzy Graph (레벨-2 퍼지 그래프)

  • 이승수;이광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52-55
    • /
    • 2001
  • 퍼지 그래프는 그래프에 대한 정점들과 간선들의 소속정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일반 그래프를 확장한 그래프이다. 그러나 기준 퍼지 그래프는 명확한 정점들의 집합 위에서의 관계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 집합간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확장된 레벨-2 퍼지 그래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벨-2 퍼지 그래프를 정의하고 레벨-2 퍼지 그래프에서 수정되어야 하는 연산들과 레벨-2 퍼지 그래프의 특성에 대하여 소개한다. 제안된 레벨-2 퍼지 그래프는 퍼지 데이터 비교 및 퍼지 클러스터링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 PDF

Performance Estimation of Register Allocation using Graph Partitioning (그래프 분할을 사용한 레지스터 할당의 성능 예측)

  • 김원태;한경숙;표창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00-402
    • /
    • 1999
  • 그래프 분할을 사용한 레지스터 할당과 Chaitin의 레지스터 할당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데이터로 Appel이 제시한 간섭 그래프를 사용하였고, 각 알고리즘에서 요구되는 최소 레지스터 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그래프 분할을 사용한 방법에서 더 적은 수의 레지스터가 요구되었다. 가용 레지스터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레지스터 요구 수가 감소되면 삽입되는 대피 코드의 수도 감소된다. 대피 코드의 발생이 줄어들면 메모리를 참조하는 인스트럭션의 수가 감소하여 실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컴파일러의 최적화 단계에서 그래프 분할 방법을 사용한 레지스터 할당으로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An Effective Method for Comparing Control Flow Graphs through Edge Extension (에지 확장을 통한 제어 흐름 그래프의 효과적인 비교 방법)

  • Lim, Hyun-Il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2 no.8
    • /
    • pp.317-326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ective method for comparing control flow graphs which represent static structures of binary programs. To compare control flow graphs, we measure similarities by comparing instructions and syntactic information contained in basic blocks. In addition, we also consider similarities of edges, which represent control flows between basic blocks, by edge extens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of basic blocks and edges, we match most similar basic blocks in two control flow graphs, and then calculate the similarity between control flow graphs. We evaluate the proposed edge extension method in real world Java programs with respect to structural similarities of their control flow graph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also performed experiments with a previous structural comparison for control flow graph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to have enough distinction ability between control flow graphs which have diff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method takes more time than previous method, it is evaluated to be more resilient than previous method in comparing control flow graphs which have similar structural characteristics. Control flow graph can be effectively used in program analysis and understanding, and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areas, such as code optimization, detection of similar code, and detection of code plagiarism.

Analysis of Graph Typ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 및 특징 분석)

  • Lee, Jin-Bong;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7 no.4
    • /
    • pp.285-296
    • /
    • 2007
  • Graph is a major aspect of science textbook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graph typ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subject by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line graph and contour map was the most widely used graph types in earth science. Among line graphs, multiple line graph and YX graph was dominant. Comparing earth science graphs with other science graphs, earth science graphs exhibited superior in the number and variety. In earth science graphs, the portion of line graph was small, but the portion of contour map and scatter graph was larger than that of other science graphs. YX graph was the most specific graph type in earth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our study have implications for reform in function and structure of graph. We suggest that future studies be focused on students' ability of earth science graph interpretation.

Improved Dynamic Object-Oriented Dependence Graph (개선된 동적 객체지향 종속 그래프)

  • 박순형;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806-809
    • /
    • 2004
  • 동적 객체지향 프로그램 슬라이싱을 구현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종속 그래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동적 객체지향 프로그램 종속 그래프 기법 보다 효율적인 동적 객체지향 프로그램 종속 그래프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기존에 비해 효율적임을 보이기 위해 그래프의 복잡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슬라이스의 크기도 함께 측정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법이 효율적임을 증명하였다.

  • PDF

Language-generating-Power of HRNCE Grammars (HRNCE 문법의 언어 생성력)

  • Jeong, Tae-Ui;Park, Dong-Se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7
    • /
    • pp.1659-1668
    • /
    • 1996
  • Graph grammars generate graph languages while string grammars generate string languages which are the subset of graph languages. One of the most successful graph grammars models is the NLC grammars, which gen-erate graphs by replacing a node by a node by a graph through node labels. For grammars generating hypergraphs which are the superset of graphs, there are CFHG grammars, which replace a hyperedge by a hypergraph through their preidentified gluing points, an extension of CFHG grammars called HH grammars, which replace a handle by a hypergraph through the rewriting mechanism that can also duplicate or delete the hyperedges surrounding the replaced handle, and finally HRNCE grammars, which replace a handle by a hypergraph through an eNCE way of rewriting,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language-generating power of HRNCE grammars with that a graph grammars mentioned above by comparing graph langrages generated by them, respecti 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