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IS를 이용한 유역매개변수의 추정 및 유출량 산정

Estimation of Watershed Parameters and Runoff Computation Using GIS

  • 이임근 ((주)정도엔지니어링) ;
  • 안경수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Lee, Im-Keun (Dept. of water resource, Jungdo Eng.) ;
  • Ahn, Kyung-Soo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System Eng. University of Incheon)
  • 발행 : 2007.01.31

초록

우리나라는 미계측 유역이 많아 유출현상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도시화로 인한 지형적 특성의 변화 또한 유출현상 분석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수공학 분야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셀 유출량(cell funoff)을 도입시켜 유출현상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천유역의 6개 수위관측지점의 자료를 적용하여 VMS를 통한 유역의 매개변수를 모의하고, 토지이용별 최소면적을 기준으로 격자를 구성하여 수치표고 모델을 구성하였다. 셀 유출량은 6개 수위관측소 지점의 관측자료로부터 획득한 연평균 유량 자료와 일 최대 유량자료의 평균을 적용한 면적 가중법(Area Weighted Method)에 의해 산정되었고, 흐름방향 분석과 함락공 제거를 통해 유역내 임의의 지점에 대한 유출율을 모의하였다. 실측되어진 유출율과 모의된 유출율의 비교 분석결과, 소유역으로 분할한 유량자료를 적용하여 모의한 유출율의 결과가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 유역에 있어 향후 변화 가능한 지형정보를 예측하여 모의함으로써 이수와 치수 목적에 필요한 유출모의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exist various difficulties in runoff analysis due to many ungauged basins in Korea and the runoff phenomena is also more and more complicated by the change of geologic characteristics due to the urbanization. So, we use GIS technique which is widely used in hydrologic field and cell runoff concept for the fast and effective runoff simulation. This study uses the observations of 6 stage stations in Wi-Cheon watershed and simulates the watershed parameters by using WMS model. We construct DEM by the grids which are consisted based on the criteria of minimum area according to land use. The cell runoff is estimated by an average weighted method using mean annual streamflow and mean maximum daily streamflow obtained from six stage stations. The runoff ratio at arbitrary site is estimated by conducting the direction analysis of streamflow and by removing sinkhole. We compare the simulated and observed runoffs and know that the simulated runoff shows the valid results. So, we could use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cell runoff concept for more fast and effective runoff simulation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탁 (1998). 'GIS 적용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 김경탁, 김성재, 심명필 (1997). 'WMS를 이용한 홍수 유출해석.' 97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56-261
  3. 조홍제, 김정식 (1997). 'TIN을 이용한 SCS법에 의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0권 제4호, 한국수자원학회, pp. 357-366
  4. Greenlee, D. D. (1987). Raster and vector processing for scanned linework.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53, No. 10, pp. 1383-1387, October
  5. Mark, D. (1984). Automated detection of drainage network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Cartographica, Vol. 21, pp. 168-178 https://doi.org/10.3138/10LM-4435-6310-251R
  6. Ragan, R.M. and Jackson, T.J. (1980). 'Runoff synthesis using Landsat SCS model.' Journal of Hydrology. Div., ASCE 106,(HY5), pp. 667-678
  7. Tachikawa, Y., Shiiba, M., and Takasao, T. (1994). 'Development of a Basin Geomor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a TIN-DEM Data Structure.' Water Resources Bull., Vol 30, No.1, pp. 9-17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4.tb03268.x
  8. Vantier, B.A., and Feldman, A.D. (1993). 'Riview of GIS application in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9, No.2, pp. 246-261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3)119:2(246)
  9. Yu, Chia-Yii (2001). 'The Intergra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and The Scientific Visualization System(SVIS) for The Simulation of The Water Runoff in a WWatershed.' Michigan State University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Web-GIS based SWAT Data Generation System vol.51, pp.6, 2009, https://doi.org/10.5389/KSAE.2009.51.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