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격자기반의 도시유역 지표면 유출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id-Based Urban Surface Runoff Model

  • 김문모 (신구대학 건설정보과) ;
  •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이재응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건설시스템공학)
  • 발행 : 2007.01.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표면 유출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도시유역 지표면 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연속방정식과 Manning식을 결합한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하게 된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유역 및 실제 도시유역인 군자 배수구역에 대해서 시공간적인 유출양상을 모의해 봄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동강우에 대한 유출량의 변화, 유입구 설치에 따른 유출양상의 변화, 확률강우량에 대한 Huff 분위별 유출양상의 변화 등 도시지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A grid-based urban surface runoff model for simulating the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verland flow in a drainage area was developed. The process of routing of overland flow is modeled by the nonlinear storage equation which is composed of the continuity equation and the Manning's equation. For model operation, the drainage area is divided into grid areas, and spatially distributed topographical and hydrological information for model inputs is provided. Then overland flow is routed for each of the discretized cells of the area. In order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temporal variations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flow depth and overland flow was simulated in a fictitious and a real urbanized Kunja drainage area.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el can simulate reasonably well the urban runoff hydrograph.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준 (1998a).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의 개발(I).'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3호, pp. 303-308
  2. 김성준 (1998b).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의 개발(II) -적용예(연천댐 유역을 대상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3호, pp. 309-315
  3. 최계운, 이희성, 안상진 (1992). '분포형 모델을 이용한 유역내 이동강우(MOVING STORM)의 유출해석(I) 모델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5권 제1호, pp. 101-110
  4. 최계운, 이희성, 안상진 (1993). '분포형 모델을 이용한 유역내 이동강우(MOVING STORM)의 유출해석(I) -모델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6권 제1호, pp. 81-91
  5. 최현상, 한건연 (2004a). 'GIS와 불확실도 해석기법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I) -이론 및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 pp. 329-339
  6. 최현상, 한건연 (2004b). 'GIS와 불확실도 해석기법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II) - 적용 및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pp. 341-352
  7. Abbott, M.B., Bathust, J.C., Cunge, J.O., O'Connel, P.E., and Rasmussen, J. (1986), 'An introduction to the European Hydrological System-System Hydrologique Europen (SHE).' J. of Hydrology. Vol. 87, pp. 45-59 https://doi.org/10.1016/0022-1694(86)90114-9
  8.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https://doi.org/10.1016/0022-1694(93)90004-S
  9. Beven, K.J. and Kirkby, M.J. (1979). 'A physically-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o. Sci. Bull., Vol. 24, pp. 43-49 https://doi.org/10.1080/02626667909491834
  10. ESRI (1995). Arc/Info Version 7 on-line user's manual. Redlands, CA
  11. Hicky, R., Smith, A., and Jankowski, P. (1994). 'Slope length calculations from a DEM within Arc/Info GRID.' Computing,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18, No.5, pp. 365-380 https://doi.org/10.1016/0198-9715(94)90017-5
  12.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Texas
  13. Zevenbergen, L.W., and Thorne, C.R. (1987). 'Quntitative analysis of land surface topograph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 12, pp. 12-56 https://doi.org/10.1002/esp.3290120107

피인용 문헌

  1. Inundation Analysis of Urban A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SLEUTH Model vol.14, pp.3,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3.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