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샘종과 위샘암종에서의 세포자멸사와 세포증식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 이동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상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승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남순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영경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한석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Lee, Dong-Soo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Sang-Bum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Seung-Woo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Nam, Soon-Woo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Yoo, Young-Kyung (Departments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an, Sok-Wo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06.06.30

초록

목적: 일반적으로 DNA가 손상된 세포들은 사멸되거나 적절히 손상된 부위를 복구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거나, 손상된 DNA를 가지고 계속 증식하여 결국 암으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세포자멸사와 세포증식의 균형의 변화는 조직 항상성 및 암 발생의 중요한 조절기전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위샘종 또는 위샘암종 조직을 대상으로 세포 사멸 및 세포증식의 정도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적으로 절제된 위샘종 41예, 외과 수술로 절제된 위샘암종 10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Ki-67 labelling 지수를 구하고, TUNEL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자멸사 지수를 구하여 위샘종에서의 이형성 정도에 따른 발현도의 차이 및 위샘암종에서의 조직분류 및 병기에 따른 발현도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결과: Ki-67 labelling 지수는 위샘종 $51.90{\pm}1.45$, 위샘암종 $55.33{\pm}0.94$로서 위샘암종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세포자멸사 지수는 위샘종 $53.27{\pm}2.67$, 위샘암종 $42.41{\pm}1.32$로서 위샘종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위샘종에서 이형성에 따른 Ki-67 labelling 지수 및 세포자멸사 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위샘암종에서 Ki-67 labelling 지수 및 세포자멸사 지수는 Lauren 분류법에 의한 장형과 미만형,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림프절 전이 유무, TNM 분류에 따른 각 군 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샘암종에서의 세포자멸사 지수와 Ki-67 labelling 지수에 대한 연구에서 위샘종은 위샘암종보다 좀 더 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위암발생에서는 세포증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 이 두 지수가 위암의 조직학적 분류 및 병기에 따른 예후와는 관련이 없었다.

Purpose: Cancer is a genetic disease caused by alterations in key regulators of cell growth and cell turnover, We investigated apoptotic cell death and cell proliferation in gastric adenomas and adeno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The TdT-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ling (TUNEL) method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Ki-67 were peformed, using paraffin-embedded tissues of 41 gastric adenomas and 100 gastric adenocarcinomas.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histopathologic parameters. Results: The Ki-67 labelling index was higher in adenocarcinomas than in adenomas and the apoptotic index was higher in adenomas than in adenocarcinom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poptotic index/Ki-67 labelling index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Conclusion: We propose that cell proliferation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gastric adenocarcinomas than apoptosis is, but that neither has any clinical significance as a prognostic factor in gastric adenocarcinoma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91-9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