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증식

Search Result 2,36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utocrine Growth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ed-Lymphoblastoid B-Cell Line, BL2M3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림프아구양 B 세포주(BL2M3)의 autocrine 증식)

  • Yang Mhan-pyo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2 no.1
    • /
    • pp.789-798
    • /
    • 1995
  •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 세포주(BL2M3 및 BL312)의 배양상층액에 대한 자기세포들의 증식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자기세포인 BL2M3세포에 첨가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것은 배양 4-5일차, 배양상층액의 첨가농도는 50-60%,세포수는 5x$10^4$-5x$10^{5}$ /ml에서 최적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우태아혈청(FBS) 무첨가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에 대해서도 BL2M3세포는 동일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한편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BL312세포에 첨가했을 때는 BL2M3세포의 경우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또한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은 말초혈액 림프구에 대해서도 pokeweed mitogen(PWM)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증식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PWM자극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배양상층액은 BL2M3 및 BL312세포에 대해서 전혀 증식을 유도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세포주 특히 BL2M3세포는 세포자신이 증식인자를 분비하고 그것과 반응하여 증식하는 소위 autocrine growth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Culturing the Human Dental Pulp cells in the Collagen Matrix and on the ground tooth surface (콜라젠 기질(COLLAGEN MATRIX)과 마모된 치아표면에서의 치수세포 배양에 관한 연구)

  • Park, Sang-Hyu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5
    • /
    • pp.419-42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원래의 치수조직과 유사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pulp tissue engineering의 한 방법으로 건전한 조직으로부터 배양된 치수세포와 쥐의 조섬유세포(NIH 3T3 cell)를 Rat tail type I collagen solution에서 3차원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콜라젠 젤의 수축량과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마모된 사람치아의 표면과 배양용기에서 두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콜라젠 젤에 NIH 3T3 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최소였으나, 치수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현저하였다. 2. 서로 다른 수의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배양시킨 경우 세포 수가 많을수록 수축량이 증가하였으며, 세포가 없는 콜라젠 젤은 수축하지 않았다. 3.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18일간 배양시킨 후 세포의 증식은 거의 없는 반면, NIH 3T3 세포는 계속 증식하였다. 4. 마모된 사람 치아 표면과 배양 용기에서 치수세포와 NIH 3T3세포를 배양한 경우 NIH 3T3세포가 치수세포에 비해 빠르게 증식 하였으며 , 특히 사람 치아의 표면에서 NIH 3T3세포가 현저히 빠른 증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치수세포를 type I collagen gel에서 3차원 적으로 배양 후 치수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pulp tissue engineering에 관한 연구에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 on the Proliferation of MCF-1 and PC-3 Cells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이 MCF-7 및 PC-3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 이수민;최형기;유경희
    • KSBB Journal
    • /
    • v.18 no.5
    • /
    • pp.424-428
    • /
    • 2003
  •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nalyzed effects of the endocrine distruptors, such as bisphenol A, nonylphenol and pentachlorophenol, on cell proliferation in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and the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 PC-3, with MTT method. A dose dependent analysis of the cell proliferation of MCF-7 cells after administration of bisphenol A, nonylphenol and pentachlorophenol revealed a significant induction of cell proliferation. Maximum induction of cell proliferation was observed at concentrations between 10$\^$-7/ and 10$\^$-6/ M. Whereas, these chemicals had little effect on proliferation of PC-3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bisphenol A, nonylphenol and pentachlorophenol do not induce proliferation of PC-3 cells but exhibit a significant induction of MCF-7 cell proliferation, suggesting all these chemicals are a estrogen mimic.

사료 중 크릴 분말이 살모넬라 LPS로 자극한 브로일러의 비장세포와 PBMC 증식에 미치는 영향

  • 임진택;박인경;김재환;고태송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2.11a
    • /
    • pp.94-95
    • /
    • 2002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on immunity of broilers,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 and PBMC (ph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from broilers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0, 0.5, 1.0 and 2.0 o/o krill meal, respectively, and injected the Salmonella typhymurium lipopolysaccharide (LPS) were assayed.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 was increased with the dietary krill levels, but was decreased with the LPS immunlogical stress. Con A addition in the medium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the splenocytes from birds fed dietary krill or stimulated by LPS. In 21 day old broilers, dietary krill meal and addition of Con A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PBMC while enhanced proliferation of PBMC was shown in birds stressed by the LPS during 2nd week of age. The results indicated dietary krill meal affected immune response in broiler.

  • PDF

유청 단백질에서 유도되는 생리활성 펩타이드에 관한 연구

  • Yun, Seung-Seop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1a
    • /
    • pp.18-29
    • /
    • 1996
  • 1. CWPC중의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검색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하는 면역기능을 검토하여 CWPC중의 면역 부활작용을 갖는 새로운 성분의 검색을 실시하였다. CWPC를 여러 가지 분획법으로 분획하여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면역 활성성분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gel filtration, 음이온교환법을 사용하여 분획한 당을 다량 포함한 부분에 강한 면역부활담당세포에 대하여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발견하였다. 이 물질은 SDS-PAGE상에서 분자량이 약 16kDa에 위치하여 Ca, P 및 당쇄를 포함한 물질이며, 이것을 GPP로 하였다. GPP에는 우유케이신의 trypsin분해물이며 Ca와 무기인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beta}$-CPP와 유사한 phosphoserin 영역을 갖는 성분과 갖지 않는 성분의 2종류가 존재하며, 각각의 면역 부활활성이 인정되었다. 각 성분의 아미노산 분석, 당 분석의 결과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우유중의 면역 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갖는 물질과는 상이한 성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이 활성물질 (GPP)은 PP cell에서도 동등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WPC중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면역 부활물질이 존재하며, 그 성분에는 CPP와 유사한 phophoserine 영역이 존재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N-글리코실 결합의 당쇄가 존재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 성분은 전신면역의 지표인 비장세포에 대해서만이 아니고, 장관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PP cell에서도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전신 및 국부적인 면역기능의 부활성분으로서 응용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 GPP의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의 검토 CWPC중의 GPP의 면역담당세포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먼저 이 성분중의 어느 부분이 활성에 관여하는지를 pronase 분해 및 pho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pronase 분해처리에서도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활성에는 당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또한 phos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에 의해서도 활성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phosphoserine 영역이 세포증식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분획한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성분의 표적면역담당세포를 동정하여, B세포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Roles of Dopamine in Proliferation of Gastric-Cancer Cells (도파민의 위암세포증식에서의 역할)

  • Jeong, Hee-Jun;Park, Ki-Ho;Chae, Hyun-Do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6 no.3
    • /
    • pp.132-138
    • /
    • 2006
  • Purpose: Dopamine is a neurotransmitter, but in the GIT, the roles of dopamine are a regulator of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 endogenous protective factor, and a regulator of stomach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using two different gastric-cancer cell lines, we assessed the effects of dopamine and dopamine receptor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gastric-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o assess the effects of dopamine and dopamine receptor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gastric-cancer cells, we investigated cell proliferation and the expression of D1, D2L, and D2S receptor in two gastric-cancer cell lines, SNU 601 and KCU-C2. The effects of dopamine and dopamine receptors on the level of the cell proliferation were determined by staining with an A/H/E (acridine orange, hoechst and ethidium bromide) mixture. Results: After dopamine treatment,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NU 601 cells (P<0.05) where the D2L receptor was absent, but not in KCU-C2 cells. After treatment with raclopride, a D2 receptor antagonist, dopamine-dos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was observed in SNU 601 cells (P<0.05). After treatment with SCH 23390, a D1 receptor antagonist, dopamine significantly increased ceil proliferation in KCU-C2 cells (P<0.05), but inhibited ceil proliferation in SNU 601 cells (no D2L receptor). Conclusion: The dopamine signal via the D1 or the D2S receptor inhibited proliferation of gastric-cancer cells, but that via the D2L receptor increased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ulatory effects of dopamine in the gastric-cancer cell proliferation may be controlled by using dopamine receptors.

  • PDF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Water Extract on Immune Response in BALB/c Mice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 Kang, In Soon;Kim, Rang Ie;Kim, Gwang Sub;Kim, Na Ri;Shin, Joong Yup;Kim, Chae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11
    • /
    • pp.1629-1636
    • /
    • 2015
  • The edible mushroom Agaricus blazei Murill is known to have many phys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antitumor, antivir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queous extracts were obtained by extracting A. blazei in water at $90^{\circ}C$ for 15 h, followed by spray-drying with dextran at a 70:30 ratio.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A. blazei Murill water extract (ABM) in BALB/c mice. Mice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4, 20, and 100 mg/kg of ABM for 21 days. ABM-treated mic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and organ weights compare to saline-treated control mice. Splenocytes isolated from ABM-administered mice revealed similar levels of cellularity and proliferation compared to control mice, whereas they showed increased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and decreased IL-4 and IL-12 production. Different from in vivo results, splenocytes isolated from normal mice showed increased proliferation and $INF-{\gamma}$ production following ABM treatment in vitro. In addition, ABM treatment enhanced macrophage proliferation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ABM had no effect on LPS-induced NO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lazei modulates immune function by increasing NK cell activity and macrophage function.

Lipid A of Salmonella typhimurium Suppressed T-cell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of Murine spleen Cells in the Presence of Macrophage (Salmonella typhimurium lipid A를 처리한 식세포 존재 조건에서 mitogen에 유도되는 이자 세포의 증식억제)

  • Kang, Gyong-Suk;Chung, Kyung-T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1 s.81
    • /
    • pp.31-38
    • /
    • 2007
  • Infection with virulent or attenuated Salmonella typhimuriumhas known to induce reduction in proliferative responses of spleen cells. We investigated a role of lipid A from S. typhimurium, a B cell mitogen, on proliferation of spleen cells by T cell mitogens such as concanavaline A and phytohemagglutinin under in vitro and ex vivo conditions. Lipid A alone induced proliferation of spleen cells in vitro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subsequent treatment of concanavaline A or phytohemagglutin in after lipid A treatment induced proliferation suppression of murine spleen cells in vitro and ex vivo. Removal of macrophages from spleen cells, which were obtained from a lipid A-injected mouse, restored proliferation by concanavaline A and phytohemagglutinin, indicating that macrophages appeared to play a role in lipid A-induced suppression. Secreted molecules from macrophages did not accounted for the suppression because suppressive effect was not achieved when the supernatant from macrophage-containing spleen cell culture was conditoned to macrophage-depleted spleen cell culture. Co-culture of spleen cells from lipid A-treated and - untreated mice showed proliferation suppression as increasing cell numbers of lipid A-treated mouse.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cell-to-cell contact of macrophage with splenic lymphocyte cells is responsible for immune responses against lipid A, which is applicable to the case of human S. typhi infection.

The Effect of Hybridoma Growth Rate on the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증식속도와 단일클론 항체의 생산)

  • 최태부;조보연
    • KSBB Journal
    • /
    • v.4 no.1
    • /
    • pp.31-33
    • /
    • 1989
  • The effect of growth rate change on glucose consumption and Ammonia production rate in batch culture of hybridoma was studied. The methods regulating growth rate of hybridoma were 1) decrease of serum concentration, 2) decrease of culture temperature and 3) addition of growth inhibitor (thymidin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hybridoma growth rate was dropped by 20~50%, while glucose consumption and ammonia production rate was decreased up to 40% On the other hand, the final concentration of monoclonal antibody was shown to be increased as high as 100% when the concentration of serum was decreased from 2% to 0.2%.

  • PDF

(Ageing and lifespan of human somatic cells) (사람세포의 노화와 불사화)

  • 김진경
    • The Zoological Society Korea : Newsletter
    • /
    • v.18 no.1
    • /
    • pp.10-15
    • /
    • 2001
  • 사람의 체세포가 분열수명에 한계가 있다는 것은 1960년대 초기에 보고되었으며 이것은 artifact가 아니며 세포자신이 가지는 프로그램에 의한 것임이 보고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 안에 체세포가 실지로 증식을 정지하는 시기, 모든 세포노화의 타이밍이 어떻게 설정되는가\ulcorner 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 한편 노화세포가 왜 증식할 수 없는가\ulcorner 에 대해서는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해 상당부분 밝혀졌다. 또한 분열회수를 인식하는 분열시계의 진행은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여 증식을 정지시킨다. 분열시계를 정지시킨 세포는 기본적으로 무한히 분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열시계를 정지시키는 주역은 telomerase이다. 정상 세포에서는 생식소(生殖巢)에 존재한다. 대부분의 정상체세포, 세포조직에는 없으나 대부분의 암에서 존재한다. 본 논단에서는 전반부에 노화를 후반부에 암에 관해서 분자세포생물학 차원에서 최근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