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ative Pattern of Chogakpo and Tessellation

조각보의 면구성과 테셀레이션 비교 연구

  • 이정수 (동덕여자대학교 패션학과) ;
  • 송명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Chogakpos are highly artistic works created by Korean women as a part of the Kyubang culture in the Chosun Dynast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Tessellation is a plaid pattern composed of squares that covers a surface or a space with figures completely without any gap or overlap.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mative pattern of Chogakp and tessellation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Korean Kyubang(the women's quarters called Kyubang in the Chosun Dynasty) culture. As for the research method, we analyzed relevant materials to examine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principles of tessell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ormative pattern of Chogakpo using Photograph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148 old Chogakpos contained in Huh Dong-hwa's 'Yetpojagi'.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imilarities between Chogakpo and tessellation were as follows. First, in a regular polygon, the face was divided into regular triangles, squares and two or more regular polygons. Second, in a polygon, the face was divided into triangles and quadrangles. Third, the symmetry of tessellation was applied to Cintamani pattern Pojagi. Differences between Chogakpo and tessellation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t from Chogakpo, tessellation had various formative patterns utilizing different regular polygons including hexagons. Second, there was no overlapping repetition in tessellation. Third, there was no free pattern in tessell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제. (1981). 조선시대 궁중복식. 서울: 서울문화재 관리국 문화공보부
  2. 계영희. (1990). 수학과 미술. 서울: 전파과학사
  3. 권정은. (1996). 조선 조각보의 문양에 나타난 추상성.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상돈. (1995). 수학의 portfolio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영주. (2000). 조각보에 나타난 한국인의 미의식과 예술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채룡. (1997). 수학의 징검다리. 서울: 전원문화사
  7. 김현호. (1984). 조선시대 후기 보에 나타난 색채에 관한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희정. (1999). 조각보 기법을 이용한 아동복 디자인 연구. 숙명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남기연. (2000). 한복의 조형적 투정을 응용한 현대의상개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도금옥. (1997). 조선시대 조각보의 조형성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영배. (1996). 수학교수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송인헌. (2000). 조각보 문양과 추상적 회화의 관계. 경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양은주. (2002). 조각보의 미감을 바탕으로한 섬유조형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양주동. (1981). 현대국어 대사전. 광주: 예원출판사
  15. 윤효진. (2002). 황금분활 이용한 수학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현지. (2004).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수업 지도 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임현숙. (1999). 테셀레이션을 응용한 패턴 디자인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엡실론의 테셀레이션'. (2004, 3. 5). 수학을 사랑하는 작은사 람들. 자료검색일 2005, 8. 15, 자료출처 http://user. chollian.net/-kimig01/plane_figure/tessellation/tessel. htm
  19. 정순진. (2003). 한국 전통 조각보의 구조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20. 채희진. (1997). 기하영역의 수학외적연결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허동화. (1988). 옛보자기. 서울: 한국자수박물관출판부
  22. 홍은하. (2002). 조각보 이미지를 통한 색채와 조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황혜진. (2003). 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조각보 이미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Beaumont, B. (1993). CHAOS the attraction of attraction. The australian mathematics teacher, 49(2), 4-8
  25. Critchlow, K. (1970). Order in space: A design source book. New York: Viking Press
  26. Devlin, K. (1995). Mathematics, The sciences of pattern. New York: Henry Holts And Company
  27. Ghyka, M. (1977). The geometry of art and life. New York: Dover
  28. Orton, A. (1994). The aims of teaching mathematics. In issues in teaching mathematics. London: Orton & G. Wain
  29. Seymour, D., & Britton, J. (1989). Introduction to tessellation. New York: D.Seymour Publication
  30. Steinhaus, H. (1999). Mathematical snapshots (3rd ed.). New York: Dover
  31. 'Tesellation Essentials'. (1998, April 4). Totally tessellated Retrieved October 19, 2005, from http://library.thinkquest. org/16661/index2.html
  32. Wells, D. (1999). The penguin dictionary of curious and interesting geometry. London: Penguin
  33. Williams, R. (1979). The geometrical foundation of natural structure: A source book of design. New York: Do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