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가구의 은퇴행태에 대한 실증분석

Retirement Behaviors of Two Wage Earners Households

  • 발행 : 2006.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가구 내에서 공적연금기대자산 및 은퇴유인들이 남성과 여성의 은퇴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를 이용하여 이변량프로빗모형(Biv때ate Probit)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공적연금기대자산을 각 가구별로 도출하였고 맞벌이부부의 은퇴 결정과 관련된 행태들이 상호의존적이라면 그 영향력이 상호 비대칭적인지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밝혀 설명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공적연금기대자산 및 몇몇 은퇴유인들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은퇴행태가 비대칭적인 통계적 유의결과를 보였다. 남성의 경우는 공적연금기대자산 및 그 외의 은퇴유인들인 비임금소득액,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배우자의 건강상태, 배우자의 시간당임금액, 배우자의 고령화정도를 나타내는 연령더미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여성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자신의 여가와 배우자의 여가의 보완성에서 찾았고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비대칭적 실증결과를 설명하였다. 우선 배우자의 시간당 임금변화에 대한 자신의 은퇴결정에의 영향을 의미하는 교차탄력도를 계측하였고 그 부호의 방향으로 남성의 여가와 여성의 여가가 보완재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차탄력도의 상대적 크기비교를 통하여 보완성의 정도를 판별하였는데 남성의 경우 자신의 여가와 배우자의 여가가 상대적으로 강한 보완관계에 있고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보완관계에 있음을 밝혀냈다.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xpected public pension assets (or social security wealth) and retirement incentives on retirement behaviors of two wage earners household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empirical step, it was found that the empirical results were significant for men, but not for women namely, statistically asymmetric if behaviors of two couples are interdependent. The cause for the statistically asymmetric results were then determined. The Bivariate Probit model was used for estimation in the first step and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as used as data for estima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ymmetry for men, however not for women, in expected public pension assets and other retirement incentives, non-wage assets, age difference, spouse's health status, spouse's monthly wages per hour and aging of their spouse In this study, cause of statistically asymmetric result in asymmetric complementarities of leisure of couples were found, then explained through different methods of comparison from the most recent studies. First, spouse's cross wage elasticity of self leisure demand(retirement) was calculated and determined whether complementarities of leisure of couples is positive or negative. Then, the degree of complementarities of leisure was distinguished in comparison with the relative size of two cross elasticities. Thus, men have relatively strong complementarities of leisure. But for women, it may roughly cancel out due to the substitution effect and the income effect. Therefore, women have relatively weak complementarities of leis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