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분석

Job Mobility and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 in the case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Youth in Korea -

  • 발행 : 2006.04.30

초록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대학졸업생 자료와 고용보험 DB를 결합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이공계 대졸 청년들의 전공직종일치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아 첫 직장에서 1/3 정도이며 두 번째 직장 이후 조금씩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전공직종일치인 경우가 전공직종불일치인 경우보다 임금수준이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평균임금 이하자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었고, 평균임금 이상자들의 경우 직종전공일치에 따른 임금수준의 저하 경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공계 청년들의 전공일치 선택확률은 임금이 높을수록, 수능점수가 높을수록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이공계 인력의 양적 미스매치와 질적 미스매치의 문제가 중하 수준의 인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이공계 대학의 정원 조정을 통해 이공계 인력의 배출을 줄이고, 대신에 이공계 대학원 인력의 배출을 늘리며, 또한 성적이 좋은 학생들이 이공계를 기피하는 현재의 구조를 개혁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공계 전공을 살리는 직업에 대한 높은 보상체계가 마련되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job changes and the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In the case of the youth,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in Korea. The pattern of job changes and the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get observed in the Unemployment Insurance Database and the Graduate List. This data enables us tracing all job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analysing the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The average rate of coincidence is not so high, the rate at first job is roughly one third. The youth with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have earned less income than the youth without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But this result is impressive in the lower wage earners, any differences in regard to coincidence is not found in the upper wage earners. The probability of the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is higher in case of the high wage and the high study attainments.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problem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should be concentrated only on the lower manpower in the scientist and engineer jobs. Korean government have to lessen the number of entry in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and enlarge the number of entry in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n government have to prepare the system that aids establishment where the employee with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earns more inco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