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데이터 구축의 공종분류체계 표준화 - 기본측량을 중심으로 -

Standardization o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 Laying Stress on the Basic Surveying -

  • 최병길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조광희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성수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6.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데이터 구측의 공종분류체계를 표준화하는데 있다. 공종분류체계는 지리정보 구축시 발생되는 제반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본틀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되는 기본측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량 업체의 기본측량 실무공정과 국토지리정보원의 규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데이터 구축사업의 종류, 사업별 공종 및 공종별 성과물 체계를 표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리정보 공종분류체계를 국가 표준에 반영하고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론으로 발전시킨다면, 지리정보 제작 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선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It is the base frame to classify the general information systematically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cess. Work process of the surveying firm and rules for basic surveying which is being accomplished in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r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refore, types, individual process, and results of surveying work is standardized. I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is study is adopted as the national standard and is also advanced by construction methodology, the spatial data will be managed futuristically and systematical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