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및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상 및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 -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f Urban Sprawl and Interregional Interaction by Demographic and Commuting Data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 박제인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 최낙훈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 장훈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발행 : 2006.06.30

초록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그리고 경기도가 포함된 서울 대도시권에서는 1990년 이후 인구집중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의 인구억제정책에 따라 인천광역시 및 경기지역으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도심공동현상의 확인을 위하여 서울 대도시권의 역사적인 인구자료를 분석하였고, 서울 대도시권의 확산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구자료로부터 산출한 순위변화지수(RMI: Rank Mobility Index)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 간 상호작용 분석에 유용한 자료로서 최근 미국에서도 대도시를 정의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사용될 만큼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통근자 자료를 본 연구에서도 분석하였다. 인구 자료의 분석 결과, 서울시의 인구는 1990년 이래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외곽에 위치한 구 및 동으로의 편중현상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또한 순위변화지수의 분석으로 대규모 개발과 인프라 건설이 집중된 서울 이남지역을 위주로 서울 대도시권이 불균형적 확산을 지속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통근자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서울 주변지역의 자족성이 높아질수록 서울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대도시권의 효율적인 계획 및 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Overpopula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hich consists of the City of Seoul, Incheon, and the whole of Gyeonggi Province. People have been still moving into SMA, especially being concentrated into the fringe of Seoul. This study examines the inner city decline phenomenon of SMA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large cities over the world, based on the demographic data of these area. In addition, this study monitors the imbalance in growing of SMA by analyzing RMI (Rank Mobility Index), and the inverse relation between the self sufficiency of the adjacent area and the commuting rate to Seoul by analyzing commuting data. Even though the total population has been unchanged, the internal change of population was substantial. The growth of Seoul Metro region was placed near the city of Seoul, especially commuter data reassured the population concentrations. The results will be useful in urban planning and growth manag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