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va-calcification of the volcanic cave in Jeju-do island

제주도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제주도 북제주군 협재리 건지굴 중심-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lava-calcification which was found in Geunjisul located in Jeju-do (Korea) was investigated to analyse the cause of calcification through the internal factor of cave structure and surroundings in company with relevant ecological system. The volcanic cave is degenerated after formation from volcano lava extravasation, however, the cave became more stronger with solidification and petrification by the reinforced structure of calcification as the cement in concrete buildings unprecedentedly if the lava-calcification occurred in the cave. Such a Progressive Phenomena of lava-calcification was verified in progress first in Geonjigul located at Hyubjae-ri, but those would be found in other simiiar case of caves distributed and connected with seaside of shelly sand beach.

본 논문은 제주도 북제주군 협재리 해안가 근처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용암석회질화(鎔岩石灰質化 : lava-calcification) 현상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상황에 근거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동굴내부의 생태계와 연관된 분석을 병행 시도하였다. 용암동굴(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틈새에 석회질 성분이 침투하여 고화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가 발생하여 오히려 견고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현상은 마치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서 구조재료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시멘트의 역할과 같으며, 따라서 퇴화의 일반적 경향에 반하여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진행될수록 구조적 견고함의 진행성을 나타내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재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이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의 경우에서 해안가의 패사 층에 연접되어 분포된 다른 유사 동굴에서도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中國.桓仁, 桓仁滿族自治縣人民政府,孫旭柬外
  2. 洞穴旅游學, 陳詩才, 福建人民出版社, 2003. 07
  3. 地下名胜 龍門溶洞,김영옥 (이인철, 유덕인),朝鮮文化保存社, 1999.6.30, No-r-985321
  4. Wang Jun (王軍), YAO-DONG in CHINA(中國窯洞), Ha-Nam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Firm, 1999.9
  5.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현상 고찰, 소대화외, 한국동굴학회추계대회논문집, 2004. 11
  6. 중국동북부동굴탐사보고/한중동굴탐사 및 학술발표회, 소대화, 소현재, 2004.10.3-7
  7. 사진 및 영상자료 처리, 촬영/편집/제공, 소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