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굴퇴화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현상 고찰(제주도 북제주군 협제리 건지굴 중심)

  • 소대화;배두안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5-32
    • /
    • 2004
  • 본 논문은 북제주군 협제리 해안가 근처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용암석회질화 현상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 상황에 근거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동굴내부의 생태계와 연관된 분석을 병행 시도하였다. 용암동굴(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lava-calcification)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틈새에 석회질 성분이 지하수에 녹아 침투하여 고화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가 발생하여 견고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현상은 마치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서 구조재료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시멘트의 역할과 같으며, 따라서 용암동굴의 경우, 동굴이 형성된 이후에 전반적으로 퇴화가 진행된다고 알려진 일반적 경향에 반하여 용암석회질화 현상에 의해 오히려 구조적 보강현상이 이루어지고,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진행될수록 용암동굴의 일반적 경향으로 나타나는 동굴퇴화현상 보다는 구조적 견고함의 진행성을 나타내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제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이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

  • PDF

Lava-calcification of the volcanic cave in Jeju-do island (제주도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제주도 북제주군 협재리 건지굴 중심-)

  • Soh, Dea-Wha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7
    • /
    • pp.1-9
    • /
    • 2005
  • The lava-calcification which was found in Geunjisul located in Jeju-do (Korea) was investigated to analyse the cause of calcification through the internal factor of cave structure and surroundings in company with relevant ecological system. The volcanic cave is degenerated after formation from volcano lava extravasation, however, the cave became more stronger with solidification and petrification by the reinforced structure of calcification as the cement in concrete buildings unprecedentedly if the lava-calcification occurred in the cave. Such a Progressive Phenomena of lava-calcification was verified in progress first in Geonjigul located at Hyubjae-ri, but those would be found in other simiiar case of caves distributed and connected with seaside of shelly sand beach.

Fake Limestone Cave of Geon-Ji Gul Accompanied with Lava-calcification (용암석회질화가 수반된 위종동 건지굴)

  • Soh, Dea-Wha;Hong, Young-Ja;Soh, Hyun-Jae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7
    • /
    • pp.31-42
    • /
    • 2007
  • 북제주군 협재리 해안가 인근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응암석회질화(鎔岩石灰質化: lava-calcification)의 위종동(僞鐘洞)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상황에 근거한 분석,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생태와 환경 및 동굴해안접경구와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주위에 흔히 분포되어있는 스코리아에 대해 분석응용을 하였다. 용암(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의 위종동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공극에 석회질 성분이 침투, 고화, 융합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의 발생으로 오히려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역할과 같이 견고하게 진행되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재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A New Species of Pholcus (Araneae: Phocidae) from Gosu Cave, Korea (한국 고수동굴산 유령거미과 (거미강: 거미목)의 1신종)

  • Kim, Byung-Woo;Lee, Wonchoel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20 no.1
    • /
    • pp.79-85
    • /
    • 2004
  • Pholcus gosuensis sp. novo is described from the entrance zone of Gosu cave, Chungchengbuk-do, Kore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male palpal organs with three expanded apophyses and developed callosity on procursus, two frontal apophyses of chelicerae and degrading appendix, and sclerotized arches on uterus externus. The species is related to P. crassus Paik 1978 and P. acutulus Paik, 1978 in having identical uncus and embolus but differentiated from those species by the combined characters of large apophyses and heavily sclerotized callosity on procursus, and structure of arches on uterus externus.

A study on metaverse of China's Dunhuang Frescoes through COSPACES EDU (COSPACES EDU를 통한 중국 둔황 원시벽화 메타버스 연구)

  • Liu, Bo-Ya;Oh, Seu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1
    • /
    • pp.463-470
    • /
    • 2021
  • Due to natural and human factors, dunhuang frescoes in China have gradually degenerated. China has conducted digital transformation of frescoes since 1990. However, it requires expensive research costs. Most of the visitors passively accept transformation contents and lack subjective participation. The paper focuses on produces a prototype of Dunhuang frescoes on the CoSpaces EDU. It was implemented as a metaverse through procedures such as transforming the cave into 3D, mapping images to the cave model and developing CoBlocks. The research puts forward a more specific methodology without expensive costs of development. The paper makes it easier to realize the immersive and interactive virtual Dunhuang frescoes world, to improve the tourism contents and educational effect. This research carries on the statistics to the product result which develops according to the user experience of 100 different ages, has obtained the good feedback. The research results need to be improved is to strengthen the processing of graphic details. Therefore, Optim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result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