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암동굴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현상 고찰(제주도 북제주군 협제리 건지굴 중심)

  • 소대화;배두안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5-32
    • /
    • 2004
  • 본 논문은 북제주군 협제리 해안가 근처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용암석회질화 현상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 상황에 근거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동굴내부의 생태계와 연관된 분석을 병행 시도하였다. 용암동굴(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lava-calcification)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틈새에 석회질 성분이 지하수에 녹아 침투하여 고화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가 발생하여 견고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현상은 마치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서 구조재료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시멘트의 역할과 같으며, 따라서 용암동굴의 경우, 동굴이 형성된 이후에 전반적으로 퇴화가 진행된다고 알려진 일반적 경향에 반하여 용암석회질화 현상에 의해 오히려 구조적 보강현상이 이루어지고,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진행될수록 용암동굴의 일반적 경향으로 나타나는 동굴퇴화현상 보다는 구조적 견고함의 진행성을 나타내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제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이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f Formation Process and Special Quality for Volcanic Cave in Che-Joo Island (제주도 화산동굴의 생성과정과 특수성 연구)

  • 이영혜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0
    • /
    • pp.35-44
    • /
    • 1997
  • 화산동굴은 흔히 용암동굴, 용암터널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흔히 화산활동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 동굴인데 엄격히 구분하면 화산동굴은 용암굴, 용암수형, 화구 등으로 세분되고 있으니 그 대부분이 용암동굴이고 그 규모도 크기 때문에 화산동굴은 용암굴로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화산동굴은 우리나라에서는 그 대부분이 제주도에 극한 분포되고 있다.(중략)

  • PDF

제주도 화산동굴의 생성과정과 특수성 연구

  • 홍충렬;이영혜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73-82
    • /
    • 1997
  • 화산동굴은 흔히 용암동굴, 용암터널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흔히 화산활동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 동굴인데 엄격히 구분하면 화산동굴은 용암굴, 용암수형, 화구 등으로 세분되고 있으니 그 대부분이 용암동굴이고 그 규모도 크기 때문에 화산동굴은 용암굴로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화산동굴은 우리나라에서는 그 대부분이 제주도에 극한 분포되고 있다.(중략)

  • PDF

우리나라 용암동굴의 보전과 이용을 위한 지형구조분석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8
    • /
    • pp.1-10
    • /
    • 1982
  •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 제일가는 단일 용암동굴인 빌레못동굴과 용암동굴계(시스템)로 세계 제일가는 만장굴동굴계 그리고 그 길이 세계 7위에 달하는 수산동굴등 실로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거대한 용암동굴 들을 지니고 있다. 이와같은 세계적인 동굴자원들을 우리는 그 길이나 규모에 있어서 세계 으뜸가는 것을 자랑하는데 그치지 말고 이들의 지형과 그 구조를 분석하여 이의 이용보전대책을 세울 수 있는 자료를 종합화하는 것이 시급하나 특히 오늘날 자연지형과 지물들의 합리적인 이용과 보전을 위하여 모든 노력을 다하여야 할 때이므로 여기에 만장굴을 중심으로 이들 용암동굴이 지니는 학술적 가치와 자원적 의의를 분석 구명하고 이들의 항구적인 개발과 보전을 병행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코자 이 논문을 쓰기에 이르렀다.(중략)

  • PDF

제주도 용암동굴의 성인과 특성

  • 박병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15-16
    • /
    • 1981
  • 우리나라의 용암동굴은 주로 화산지역인 제주도에 분포한다. 이 화산지역에서 화산이 분출할 때는 유동성 있는 현무암 용암에 의하여 이른바 용암동굴(Lava tunnel)이 형성 되는 것이다. 즉, 지하에 깊이 잠겨 있던 마그마가 그 분출의 위력에 부수되어 화구에서 지표로 밀려나온 것을 용암 또는 라바(Lava)라고 한다.(중략)

  • PDF

용암동굴의 개발과 보전

  • 동목동태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3
    • /
    • pp.47-47
    • /
    • 1978
  • 지금까지 수집된 데이터에 의하면, 전세계의 용암동굴의 20%는 일본의 부사산과 한국의 제주도에 집약되어 있는데, 그것만으로도 용암동굴은 극히 특이하며, 아울러 귀중한 화산현상이라고 할 수가 있다.(중략)

  • PDF

Study on Source of Lava Flows Forming the Manjanggul Lava Tube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의 공급지에 관한 연구)

  • Ahn, Ung-San;Hwang, Sang-Koo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3
    • /
    • pp.237-253
    • /
    • 2009
  • The lava flows forming the Manjanggul lava tube are commonly said to have a potential source from the Geomunoreum scoria cone. We inferred the source of lava flows with the Manjanggul lava tube, based on many studies about lava tubes within lava flows of active volcano in the world. We made a lava flow field map from lithofacies, features and latitude of lava surfac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Jeju Island, and then examined closely the distribution and mutual relation of lava tubes in each lava flow field. As result, the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is divided into a series of master tubes(Utsanjeungul, Bukoreumgul, Daerimdonggul, Manjanggul, Gimnyeonggul, Yongcheondonggul and Dangcheomuldonggul lava tube), a complicated networks of small tubes(Bengdwigul lava tube), and a series of unitary tubes(Gimyeongbilemotgul~Gaeusaemgul lava tube) in Geomunoreum lava flows. Particularly a canyon, 2km in length to NNE direction from the Geomunoreum scoria cone, is interpreted to be collapse trench of lava tube roof that belongs to an upflow part of the master tube in the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Accordingly, the source of lava flows, forming the Manjanggul lava tube, is the Geomunoreum scoria cone.

A study of cavern resources in CHEZU-ISLAND (제주도의 동굴자원 연구)

  • 강승삼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4 no.45
    • /
    • pp.41-48
    • /
    • 1996
  • 한라산을 중심한 제주도에는 수많은 용암류가 흘러 제주도를 형성하고 있다. 한라산 정상 화구에서 혹은 수많은 기생화산 화구에서 용암이 흘러 내려 이 용암지역에 수많은 용암동굴이 형성되고 있다. 세계에는 용암동굴이 1,000개소가 있고 그 중 50%가 미국의 서부에, 이탈리아에 186개, 후지산에 100개, 제주도에는 70개 정도가 알려지고 있다. 제주도 동,서 사면에는 광대한 용암대지가 있다.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강한 표선 현무암층이 분포한 관계로 세계적인 용암동굴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중략)

  • PDF

제주도의 동굴자원 연구

  • 배두안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0-67
    • /
    • 1997
  • 한라산을 중심한 제주도에는 수많은 용암류가 흘러 제주도를 형성하고 있다. 한라산 정상 화구에서 흑은 수많은 기생화산 화구에서 용암이 흘러 내려 이 용암지역에 수많은 용암동굴이 형성되고 있다. 세계에는 용암동굴이 1,000개소가 있고 그 중 50%가 미국의 서부에, 이탈리아에 186개, 후지산에 100개, 제주도에는 70개 정도가 알려지고 있다. 제주도 동, 서 사면에는 장대한 용암대지가 있다.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강한 표선 현무암층이 분포한 관계로 세계적인 용암동굴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중략)

  • PDF

Fake Limestone Cave of Geon-Ji Gul Accompanied with Lava-calcification (용암석회질화가 수반된 위종동 건지굴)

  • Soh, Dea-Wha;Hong, Young-Ja;Soh, Hyun-Jae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7
    • /
    • pp.31-42
    • /
    • 2007
  • 북제주군 협재리 해안가 인근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응암석회질화(鎔岩石灰質化: lava-calcification)의 위종동(僞鐘洞)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상황에 근거한 분석,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생태와 환경 및 동굴해안접경구와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주위에 흔히 분포되어있는 스코리아에 대해 분석응용을 하였다. 용암(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의 위종동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공극에 석회질 성분이 침투, 고화, 융합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의 발생으로 오히려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역할과 같이 견고하게 진행되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재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