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nvironment and Inhabitant of Gosu Cave in Sindanyang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envirronment of Gosu cave and distribution of inhabitant were surveyed every month from 2002, April to 2003, march. in Gosu Cave, average temperature in summer was $16^{circ}C$ and in winter $14^{circ}C$. Average humidity in summer was $85\%$ and in winter $90\%$. At the entranceof cave in the site 1, trogloxenes:4 species were observed. Troglophiles: Diestrammena japanica was a large population. inside of cave in the site 2 and in the middle Part of the site 3, troglobites:4 species, troglophiles:2 species, trogoxenes: Rhinoiophus ferrumeqinum korai, skleroprotopus laticoxalis longus were observed. Galloisiana sp. were observed on the ground of the Sindong in the site 4, Pseudocrangonyx asiaticus were obserued in the water of yongsu valley. Troglobites have to be preserve as cave animals living in the darkness for a long time.

고수동굴의 동굴환경과 동굴생물의 지속적 보전을 위한 학술적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2년 4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동굴내부를 조사하였다. 고수굴은 하계평균기온이 16도내외, 동계평균기온은 14도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습도는 동계평균습도가 $90\%$내외, 하계평균습도는 $85\%$내외이다. 동굴 입구부근의 Site 1에서는 외래성생물이 4종, 호동굴성생물인 알락곱등이가 발견되었다. 입구안쪽의 Site 2와 동굴중앙부의 Site 3에서는 외래성생물이 2종, 호동굴성생물이 2종, 진동굴성생물 4종이 발견되었다. Site 4에서는 진동굴성생물인 갈르와벌레가 발견되었다. Site 5에 진동굴성생물인 장님굴새우와 외래성생물인 돌좀이 서식하고 있었다. 고수 동굴 심층부의 환경과 진동굴성 생물의 보존은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우, 1990. 동굴의 생물상. 고수동굴의 환경 및 안전진단조사 연구보고서. 원천. pp. 8-33
  2. 김병우, 1993. 고수동굴 학술조사보고서-동굴 생물 상. 유신. pp.135-150
  3. 김병우, 2002,3. 동굴 생태계. 비지정 천연동굴 학술조사 보고서. 한국동굴학회. pp. 17-18, 181-185
  4. 김재일, 2000. 생태기행/중부권. 당대. pp.101-107, 236-237
  5. 남궁준. 1979. 한국의 동굴동물. 문화재관리국 12. pp.141-148
  6. 남궁준, 1986. 한국의 주요 동굴 동물의 모식 산지의 보전 문제,한국동굴학회지, Vol. 13, pp. 49-67
  7. 남궁준, 1987. 강원도의 자연동굴과 동물상, 강원도의 희귀자원 조사보고서(한국 자연 보전 협회 강원지부), 제 4 집, pp. 1-156
  8. 석동일.홍시환,1990. 한국의 동굴. 대원사. pp. 36-49
  9. 손성원.최병진,2001. 박쥐. 지성사. pp 55-58
  10. 유신,1993.1. 천연기념물 제256호 고수동굴 학술조사 보고서 .pp. 135-148
  11. 이금수,1990. 동굴의 환경보전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 22:57-66
  12. 이 병훈, 1978. 한국산 지하성 동물의 검토와 목록. II.곤충류. 한국곤충학회지.8(2)
  13. 이병훈, 1981. 동굴생물은 왜 보호되어야하나? 자연보호11. pp. 64-70
  14. 이병훈, 1985. 동굴생태계와 동굴생물의 진화. 자연 보존 52. pp. 4-7
  15. 이영남.김상섭,1978. 우리나라의 동굴생물. 한국동굴학회지. 3:10-11
  16. 임문순, 1975. 단양 고수동굴과 여천굴의 환경요인과 그 동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17-22
  17. 최병렬,1985. 동굴의 생성과 변화. 자연보존 52. pp. 1-3
  18. 홍시환,1978. 우리나라의 자연동굴. 금화사
  19. 홍시환, 1983, 한국의 석회 동굴. 한국동굴학회
  20. 홍시환, 1988. 고수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대책 조사
  21. 홍시환, 1989. 고수동굴 신동의 환경 실태와 보전에 관한 연구 조사
  22. 홍시환.김병우.유재신, 1990. 고수동굴의 동굴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4: 42-72
  23. 홍시환, 1998. 동굴환경의 보존관리 지침. 한국동굴학회. pp.114-224
  24. 문화재청,2001. 동굴 흑색오염 방지 및 제거방안 연구보고서. p.2l7
  25. 단양군,2000. 온달동굴내의 일부지구 환경과 개.보수 타당성조사 연구보고서. pp. 54-65
  26. 단양군, 2002. 동굴 내부환경. pp. 143-180
  27. 단양군, 2002. 동굴생태계. pp. 181-193
  28. Kiernan, K.,1988, The management of soluble rock landscapes. The Speleological Research Council Ltd. Sydney
  29. Kim, J.W. 1990. A syntaxonomical sc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 of South Korea. Abstr. Bot. 14:51-81
  30. Oh, Jongwoo,1994,A study of processes and special cave features in Gosi Cave in South Korea, Donggul, 38(39)
  31. Trudgill, S., 1985,Limestone Geomorphology, Longman, p.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