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imits in the Use of Force against a Hijacked Civil Aircraft

피랍 민간항공기에 대한 무력행사의 한계에 관한 연구

  • 김만호 (공군사관학교 법정학과)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e limits in the use of force against a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have not been defined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international laws and practices about sovereign airspace intrusions by the civil aircraft, and to examine the legality in the use of force against the civil aircraft hijacked by means of political terrorism, in particular. In this paper, the sphere of study is restricted within the problems of interception against the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in times of peace, excluding the problems against a state aircraft, and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civil or criminal affairs due to interceptions. Herein this paper analyzes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s and the cases of each nation's use of force against the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and organizes the conditions in the use of force which have been accepted in international laws and practices, and then applies them to the special case of civil aircraft hijacked by political terrorism.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basic principles of necessity, ultimateness, and proportionalit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use of force against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in the use of force against civil aircraft hijacked by political terrorism might be higher than any type of civil aircraft intrusions into sovereign airspace due to the factor of necessity of national security concerned.

영공을 침범한 민간항공기에 대한 무력행사의 한계에 대해서는 국제법상 정립되어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민간항공기의 영공침범에 관련된 국제법과 국제관행을 살펴보고, 특히 정치적 테러 수단으로 피랍된 민간항공기에 대한 무력행사의 적법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평시에 영공을 침범한 민간항공기에 대한 요격 문제에 한정하고 있으며, 국가항공기의 영공침범에 관한 문제나, 요격으로 인한 민형사상의 책임에 관한 문제는 배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공을 침범한 민간항공기에 관련된 현행 국제법규와 각국의 무력행사 사례들을 분석하므로써, 국제법과 국제관행상 용인되고 있는 무력행사의 요건들을 정립하고, 그것들을 정치적 테러수단으로 피랍된 민간항공기의 특별 사례에 적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영공을 침범한 민간항공기에 대한 무력행사의 요건으로서 필요성, 최후수단성, 비례성이라는 기본원칙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치적 테러수단으로 피랍된 민간항공기에 대한 무력행사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당해 국가안전의 필요성이라는 요인 때문에 다른 어떠한 형태의 영공침범 민간항공기에 대한 것 보다도 높을 수 밖에 없음을 마지막으로 제시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