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간항공기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Limits in the Use of Force against a Hijacked Civil Aircraft (피랍 민간항공기에 대한 무력행사의 한계에 관한 연구)

  • Kim, Man-Ho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19 no.1
    • /
    • pp.141-163
    • /
    • 2004
  • The limits in the use of force against a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have not been defined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international laws and practices about sovereign airspace intrusions by the civil aircraft, and to examine the legality in the use of force against the civil aircraft hijacked by means of political terrorism, in particular. In this paper, the sphere of study is restricted within the problems of interception against the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in times of peace, excluding the problems against a state aircraft, and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civil or criminal affairs due to interceptions. Herein this paper analyzes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s and the cases of each nation's use of force against the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and organizes the conditions in the use of force which have been accepted in international laws and practices, and then applies them to the special case of civil aircraft hijacked by political terrorism.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basic principles of necessity, ultimateness, and proportionalit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use of force against civil aircraft which intrudes into sovereign airspace.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in the use of force against civil aircraft hijacked by political terrorism might be higher than any type of civil aircraft intrusions into sovereign airspace due to the factor of necessity of national security concerned.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an Aircraft Noise (항공기 소음의 특성과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Young-Chul;Lee, Sun-Ki;Song, Hwa-Young;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430-435
    • /
    • 2007
  • 소음특성이 서로 다른 군용 항공기 소음과 민간 항공기 소음을 환경부에서 고시한 소음 진동공정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소음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 항공기와 군용 항공기의 소음특성으로 조사하고 소음 측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로 부터, 민간 항공기나 군용 항공기의 정확한 소음측정을 위해서는 동특성을 빠름(Fast)으로 설정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등가 소음도를 측정하여 항공기 소음을 평가하는 방식은 민간 항공기 소음평가시에는 적절하지만, 이를 군용 항공기 소음에 적용하여 평가할 때에는 상당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군용 항공기 이 착륙지점에서의 소음 지속시간이 대부분 30초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군용 항공기 소음평가시에는 지속시간에 대한 보정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urrent trends of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certification using Civil Aircraft Certification Basis (민간 항공기 인증기술을 이용한 군용항공기 감항인증 효율화 기술동향)

  • Choi, Seok;Kim, Sung-Cha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6 no.2
    • /
    • pp.154-160
    • /
    • 2008
  • There are typically two categories of Flight Test Programs- commercial and military. Commercial flight testing is conducted to certify that aircraft meets all applicable safety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of government certifying agency. Military programs differs from commercial in that the government contract with the aircraft manufacturer to design and build an aircraft to meet specific mission capabilities. The final phase of military aircraft flight test is the Operational Test(OT). OT is conducted by a government-only test team with the dictate to certify that the aircraft is suitable and effective to carry out the intended mission.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trends of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certification using civil aircraft certification practices.

  • PDF

The Effect on Aviation Industry by WTO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and Policy Direction of Korea (WTO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이 항공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나라의 정책 방향)

  • Lee, Kang-B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5 no.2
    • /
    • pp.247-280
    • /
    • 2020
  • For customs-free and liberalization on the trade of aircraft parts, the WTO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was separately concluded as plurilateral trade agreement at the time of launching WTO in 1995, and currently 33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are acceded but Korea does not. Major details of the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include product coverage, the elimination of customs duties and other charges, the prohibition of government-directed procurement of civil aircraft, the application of the Agreement on Subsid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and the consultation on issues related to this Agreement and dispute resolution. Article 89 paragraph 6 of the current Customs Act was newly established on December 31, 2018, and the tariff reduction rate for imports of aircraft parts will be reduced in stages from May 2019 and the tariff reduction system will be abolished in 2026. Accordingly,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on the aviation industry, first, as for the impact on the air transport industry, an tariff allotment of the domestic air transport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about 160 billion won a year from 2026, and upon acceding to the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the domestic air transport industry will be able to import aircraft parts at no tariff, so it will not have to pay 3 to 8 percent import duties. Second, as for the impact on the aviation MRO industry, if the tariff reduction system for aircraft parts is phased out or abolished in stages, overseas outsourcing costs in the engine maintenance and parts maintenance are expected to increase, and upon acceding to the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the aviation MRO industry will be able to import aircraft parts at no tariff, so it will reduce overseas outsourcing costs. If the author proposes a policy direction for the trade liberalization of aircraft parts to ensure competitiveness of the aviation industry, first, as for the tariff reduction by the use of FTA, in order to be favored with the tariff reduction by the use of FTA,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certificate of origin from foreign trader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and to revise the provisions of Korea-Singapore and Korea-EU FTA. Second, as for the push of acceding to the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it would be resonable to push the acceding to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for customs-free on the trade of aircraft parts, as the tariff reduction method by the use of FTA has limits. Third,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ariff reduction system for aircraft parts under the Customs Act,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tak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until the acceding to the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so separate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continue the tariff reduction system of aircraft parts under Article 89 paragraph 6 of the Customs Act. In conclusion, Korea should accede to the WTO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our aviation industry can compete fairly with foreign aviation industries and ensure competitiveness by achieving customs-free and liberalization on the trade of aircraft parts.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a Military Aircraft Noise (군용 항공기 소음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Song, Hwa-Young;Hong, Byung-Kuk;Yang, Su-Young;Je, Hyun-Su;Lee, Ju-Won;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11a
    • /
    • pp.768-771
    • /
    • 2004
  • 항공기 소음평가 방법에 있어 전혀 다른 소음특성을 갖는 군용 항공기 소음과 민간 항공기 소음을 환경부에서 고시한 소음 진동공정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소음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 항공기와 군용 항공기 소음의 측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로 부터, 민간 항공기나 군용 항공기의 정확한 소음측정을 위해서는 동특성을 빠름(Fast)으로 설정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등가 소음도를 측정하여 항공기 소음을 평가하는 방식은 민간 항공기 소음평가시에는 적절하지만, 이를 군용 항공기 소음에 적용하여 평가할 때에는 상당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군용 항공기 이 착륙지점에서의 소음 지속시간이 대부분 30초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군용 항공기 소음평가시에는 지속시간에 대한 보정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세계 항공기산업 동향과 전망

  • Im, Chang-Ho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3-12
    • /
    • 2006
  • 세계 항공기산업은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전략, 이른바 ‘차세대’라는 단어로 대변될 수 있는 다음세대를 위한 개발과 전략의 변화를 겪고 있다. 먼저 군용기의 경우 미국의 F-35가 첫 선을 보이면서 차세대 전투기의 새장을 열어가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T-50/A-50, 한국형헬리콥터(KHP)개발, 조기경보기 도입 등 공군력 강화를 위한 준비들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그에 따른 산업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민간 항공기를 살펴보면 A-380과 같은 대형 항공기 개발 추세와 A320과 B737과 같은 Narrow-body 항공기 생산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개인용 소형제트기(VLJ)와 같은 항공기들은 차세대 틈새시장(niche market)을 형성, 발전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민간항공기의 향후 생산전망을 살펴보면, 대형여객기의 경우 2015년까지 총 7,900여대로 연평균 800여대의 생산이 이루질 전망이며 헬리콥터의 경우 연평균 1,870여대로 총 18,730여대의 헬리콥터가 생산될 전망으로 약 1,200억불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렇듯 군용기 시장에서는 차세대의 첨단 항공기 개발과 양산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민간항공기의 경우, 특정 세분시장(market segment)의 주도적 개발과 양산보다는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와 고객층의 다양화로 인해 각 시장의 고객 니즈(needs)에 부합되는 다양한 항공기 개발과 양산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일본의 민간수송기 YSX는 어디까지 와 있는가?

  • Jo, Ok-Chan
    • Aerospace Industry
    • /
    • v.17
    • /
    • pp.10-13
    • /
    • 1994
  • 1993년도에 일본 통상산업성이 주최한 해외무역회의가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열렸으며 스페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등지의 각국에서 많은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항공기를 대상으로 각국 항공기산업의 현황과 장래에 대하여 토론이 있었으며 특히 각국의 소형민간항공기개발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일본에서는 75석의 Regional Aircraft로서 YSX에 대해서 일본항공기 개발협회의 사까끼 다쓰로오 상무이사가 발표하였다. 이날 일본의 차세대 민간 항공기의 개발에 대한 발표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으로 관계업계의 일독을 권한다.

  • PDF

세계 민간여객기 시장전망 - 美 보잉사, 향후 20년간 예측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v.42
    • /
    • pp.26-29
    • /
    • 1996
  • 세계 유수의 항공기 메이커인 미국보잉사의 민간항공기 그룹(BCAG) 부사장이며 수요자 서비스 부문의 전무이사인 낸시.J.베젤씨가 일본에 와서 자사 항공기의 판촉활동을 전개 하며서 일본 언론계에 "제트 여객기 시장의 장기전망"이라는 주제로 내외신 기자회견을 했다.

  • PDF

국내외 항공우주산업의 기술개발 동향

  • 이덕주;이수갑
    • Journal of KSNVE
    • /
    • v.14 no.4
    • /
    • pp.29-39
    • /
    • 2004
  • 항공기 소음 규제 단계(stage) IV를 앞두고 세계의 주요 항공기 및 항공기 엔진 회사들은 자사의 존망을 걸고 저소음 관련 기술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항공산업계의 경쟁은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고자 하는 국익과 맞물려 미국과 유럽 간의 무역분쟁으로 치닫고 있는 형국이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주요 민간항공기나 항공기 엔진 제작회사가 없는 관계로 이러한 전세계적 경쟁에서 한 발 물러나 있는 실정이다.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