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공원내 야생조류의 먹이자원 및 인공새집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Resource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Nest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 발행 : 2002.10.01

초록

먹이식물에 대한 야생조류의 기호성을 조사한 결과 28종 중에서 특히 소나무, 팽나무, 노박덩굴, 찔레꽃, 주목, 사철나무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조류의 먹이섭식량은 번식기(5∼6월)에는 동물성(섭식률 92.2%)을 식물성(섭식률 32.7%)보다 선호하였으나 비번식기(11∼12월)에는 동·식물성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먹이 종류별 선호도는 식물성은 조, 좁쌀을 동물성은 쇠기름덩이, 번데기를 선호하였다. 공원별 인공새집 이용률은 노산공원 77.5%, 산호공원 50.3%, 진주성지 44.1%, 비봉공원 42.2% 순으로 노산공원에서 인공새집의 의존률이 가장 높았고, 인공새집 구멍 크기별로는 5cm 출입공보다 3cm 출입공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ference of food plants of wild birds was shown in the order of Pinus densiflora, Celtis sinensis, Celastrus orbiculatus, Rosa multiflora, Taxus cuspidata, and Euonymus japonica, etc. The wild birds preferred the animal food(92.2%) rather than the vegetable food(32.7%) in breeding season(May through June), but preferred both animal and vegetable foods in non-breeding season(November through December). The rates utilzing artficial nest were 77.5%, 50.3%, 44.1% and 42.2% in Nosan, Sanho, Chinju-castle and Bibong parks, respectively. The wild birds used more the 3cm hole than 5cm ho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갑태, 오구균, 최영주. 1987. 북한산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1(1):24-34
  2. 김상욱, 김종현, 김우기. 1965. 박새의 번식경과 및 육추기 식성 조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12:87-98
  3. 김상욱, 김윤산. 1970. 자연영소 조류의 육추기 경과습성과 식습성에 대하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17:61-74
  4. 김상욱. 1978. 인공소상가설의 필요성. 자연보존 22:24-29
  5. 김상욱, 우한정. 1987. 산림유익조류의 유치증식시험(II)-진박새의 생태. 임시연보 35:123-129
  6. 김준선, 김갑태, 공영호, 고상현. 1988. 치악산 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2(1) 37-49
  7. 산림청 임업연구원. ?. 새는 얼마만큼 산림변이에 기여하나. 임업정보 63-64
  8. 우한정, 김상욱. 1985. 산림유익조류의 유치 증식시험(I)-박새의 생태. 임시연보 32:77-87
  9. 이우신, 이준우, 김준선. 1990. 속리산 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4(1):51-62
  10. 이우신, 이준우, 박찬열. 1991. 지리산 국립공원내 조류상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5(1):79-90
  11. 이우신, 이준우, 박찬열. 1993. 소백산 국립공원내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6(2):180-192
  12. 이우신, 박찬열, 조기현. 1994. 덕유산 국립공원내 조류상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7(2):213-220
  13. 이우신, 박찬열, 조기현. 1995. 주왕산 국립공원내 야생조류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8(2): 183-192
  14. 이우신, 박찬열, 조기현. 1996. 오대산 국립공원 오대산 지역의 야생조류상 및 관리 방안. 환경생태학회지 10(1):1-13
  15. 이우신, 김상욱. 1996. 자연생태계와 훼손된 생태계에서의 야생조류의 인공새집과 먹이. 한국조류학회지 3(1):43-50
  16. 이준우, 김준선, 유창희. 1989. 가야산 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의 번식생태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3(1):70-80
  17. 최재식, 김재생. 1987. 인공소상가설에 의한 야생조류의 서식생태에 관한 연구. 한임지. No.76(2):19-34
  18. 하성만, 김재생. 1985. 야생조류의 인공소상 서식에 대한 조사연구. 경상대학교 논문집 24:119-124
  19. Berlepsh. 1929. Der gesamte Vogelschutz(Neudamm). pp.17-23
  20. Cowie, R. J. and S. A. Hinsley. 1988. Feeding ecolgy of great tits(Parus major) and blue tits(Parus caeruleus), breeding in suburban garderns. J. Anim. Ecol. 57:611-626 https://doi.org/10.2307/4928
  21. 池田眞次郞.松山資郞.由井正敏.高野 繫, 1967. 食蟲性鳥類の 誘致增殖 に 關 する 硏究. 農林省 林業試驗場 硏究報告 3:3-35
  22. 內田淸之助.松由資郞. 1932. 富士由麓 架設した巢箱に關する 調査報告, 鳥獸調査報告 8:12-14

피인용 문헌

  1. The Status of Fruits Consumed by Brown-eared Bulbul (Hypsypetes amaurotis) as a Seed Dispersal Agent on Jeju Island vol.18, pp.1, 2015, https://doi.org/10.13087/kosert.2015.18.1.53
  2. The Status of Birds Consuming Fruits and Seeds of the Tree and Related Tree Species on Jeju Island, the Republic of Korea vol.25, pp.5, 2016, https://doi.org/10.5322/JESI.2016.25.5.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