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 Associations during the Modern Educational Period (1876${\sim}$ 1910) in Korea

근대 교육기(1876 ${\sim}$ 1910) 학회지를 통한 과학교육의 전개

  • Lee, Myon-U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면우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1.04.30

Abstract

From 1905 to 1910 when the deepening national and educational crisis existed, the Korean intellectuals established many educational associations and published many academic journal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9 academic journals which had 132 books published by these educational associations in Korea during the Modern Educational Period (1876${\sim}$19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journals mainly consisted of the Korean history and geograph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Korean people's identification. And also the journal articles dealt with the western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In addition to these contents, the journals included many scientific studies which were aimed at educating the ordinary Korean people. (2) The scientific articles from these journals were mainly composed of earth science and biology including physiology, while the number of articles for physics and chemistry was less. (3) These scientific articles were published by the same writer in a series .However, the academic level of these was like a school textboo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it is believed that these journal articles possibly were used as a school textbook for science education.

근대교육기(1876${\sim}$1910) 중 1905년부터 1910년 사이는 우리 나라 교육에 대한 일제의 간섭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였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 민족은 전국 단위나 지방 단위로 학회를 세웠고, 학회를 통하여 근대 교육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근대교육기에 국내에서 출판된 학회지 9종 132권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근대교육기에 발간된 학회지의 주요 내용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역사나 지리 등의 내용과 계몽적인 차원에서 서구의 정치나 경제 체제를 소개하는 글과 더불어 자연과학에 관한 논술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둘째, 과학 관련 논술을 분야별로 분석해보면 생리${\cdot}$ 위생을 포함한 생물학 분야와 지구과학 분야가 비교적 많았다. 반면에 물리학이나 화학 분야는 아주 적었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셋째, 학회지에 게재된 지구과학 관련 논술만 분석하더라도, 대부분 같은 저자에 의해 교과서적인 기초 내용을 연재한 논술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 관련 논술은 근대 교육기에 우리 나름의 과학 교육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개화기의 교과용도서 강윤호
  2. 雪地氷天 v.3 金達河
  3. 한국근대역사교육연구 김흥수
  4.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 근대학교의지리교육에 관한 연구 남상준
  5. 畿湖興學會月報 v.2 鑛物學 鑛物界 閔大植
  6. 畿湖興學會月報 v.3 鑛物學 水晶 閔大植
  7. 畿湖興學會月報 v.4 鑛物學 雲母 閔大植
  8. 畿湖興學會月報 v.6 鑛物學 石榴石 閔大植
  9. 畿湖興學會月報 v.7 鑛物學 ?石 閔大植
  10. 畿湖興學會月報 v.8 鑛物學 ?石 의 崩壞 閔大植
  11. 畿湖興學會月報 v.9 鑛物學 石灰? 閔大植
  12. 畿湖興學會月報 v.10 鑛物學 石? 閔大植
  13. 畿湖興學會月報 v.11 鑛物學 石? 의 性質 閔大植
  14. 畿湖興學會月報 v.12 鑛物學 石?의 功用 閔大植
  15. 陽曆이 是?曆 v.5 朴景善
  16. 我韓의 鑛産?要(1) v.4 朴聖欽
  17. 我韓의 鑛産?要(2) v.5 朴聖欽
  18. 畿湖興學會月報 v.1 地文略論 朴晶東
  19. 畿湖興學會月報 v.2 地文略論(?) 朴晶東
  20. 畿湖興學會月報 v.3 地文略論(?) 朴晶東
  21. 畿湖興學會月報 v.4 地文略論(?) 晩日界 朴晶東
  22. 畿湖興學會月報 v.6 地文略論(?) 視差 朴晶東
  23. 畿湖興學會月報 v.8 地文學 地心의 溫度 朴晶東
  24. ?南敎育會雜誌 v.4 地圓之? 朴晶東
  2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20 no.3 개화기 과학 교육자의 배경과 역할 박종석;정병훈
  26. 한국개화교육연구 손인수
  27. 大東學會月報 v.8 機術新設(?) 松隱道人
  28. 大東學會月報 v.12 本國地?을 由? 物産論 呂炳鉉
  29. 大東學會月報 v.5 格致學의 功用 呂炳現
  30. 大東學會月報 v.6 格致學의 功用 呂炳鉉
  31. 大東學會月報 v.7 格致學의 功用 呂炳鉉
  32. ?南敎育會雜誌 v.4 地文學說 尹數求
  33. ?南敎育會雜誌 v.5 地文學(?) 尹數求
  34. ?南敎育會雜誌 v.5 曆法費考??論 李根中
  35. 湖南學報 v.1 湖南學會月報發刊序 李沂
  36.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 근대교육기(1876~1910)의 지구과학교육 이면우
  37. 한국지구과학회지 v.20 no.4 한국 근대교육기(1876~1910) 지문학 교과 이면우;최승언
  38. 璣衡說 v.11 ?南敎育會雜誌 鄭義容
  39. ?南敎育會雜誌 v.10 格致學의 功用(?) 蔡章默
  40. ?南敎育會雜誌 v.11 格致學의 功用(?) 蔡章默
  41. 大韓鮮獨立協會會報 v.1 공긔 피졔손
  42. 大韓鮮獨立協會會報 v.2 공긔 피졔손
  43. 지리교육논집 v.20 개화기 학술지의 지리 연관 내용에 대한 연구:1896~1910 한미섭
  44. 대조선독립협회회 보영인본 대조선독립협회회보 해제 한흥수
  45. 畿湖興學會月報 v.11 地文問答 洪正裕
  46. 畿湖興學會月報 v.12 地文問答 洪正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