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altivity of job-satisfaction & self-realization

건설회사 근로자의 직무만족 향상과 자아실현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이승호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Job satisfaction is prime part of construction workers and firm organization in relationto productivity. And studied with past thesises and theories, Job satisfaction is connected with self -realization. If firms apply to self-relization management, Job satisfaction enlarge to maximization, also productivity. If firms manage theirselves with five elements of 1.achievement 2.educ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3. interesting on work 4.creation on work 5. social recognition they effect in their organization and each worker.

현재의 지식 근로자는 전통적인 근로자와는 달리 지시를 받는 것이 아니라, 자율성을 요구한다. 그런 동기요인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식 근로자는 그의 기반인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계속적인 학습과 훈련을 기대한다. 그리고 자신의 직무에 관련하여 전문가임을 자처하고 있다. 이런 지식 근로자의 경향은 건설 근로자들에게도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그들은 사회적으로도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다. 이런 이유로 기업은 건설 지식 근로자에게 그들이 기입에 필요한 존재임을 인식시키면서(자신을 인정하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자율성을 확보해주고, 새로운 지식을 환기시키는 교육을 해야한 것이다. 이는 직무만족과 자아실현의 관계에 비춰보면 더 확연하다.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과 조직에게 주는 생산성의 영향이 크며, 그것은 나아가서 자아실현에 이르는 길임을 세 가기 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본다. 따라서 각 건설 기업은 이제까지 근로자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서 제시한 자아실현의 가능성 성취감, 교육 및 학습조직, 일의 흥미, 창조적 능력 발휘, 사회적 인정의 다섯 가지를 보완해주는 방향으로 인력관리를 한다면 커다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