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oplankton community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4초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문성용;오현주;서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411-426
    • /
    • 2010
  •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와 주요 분류군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5월부터 2006월 2월까지 사계절 동안 실시하였다. 사계절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전체 7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 개체수는 2,426~23,793 indiv./$m^3$ 범위였으며, 이 중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 A. omorii, A. erythraea, P. parvus s. l, 십각류 유생, Aidanosagitta crassa, 따개비 유생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의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지수는 내만 해역에서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철에 외만에 위치하는 조사해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해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 변동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과 엽록소-a 농도, N. scintillans의 대량 증식에 따라서 변동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의 세력확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East Sea of Korea)

  • 김미향;문형태;신상희;손명백;변주영;최휴창;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28권1호
    • /
    • pp.40-48
    • /
    • 2010
  •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종 수준까지 동정이 가능한 32종을 포함하여, 총 63종과 85~28,087개체 $m^{-3}$ 범위였다. 연구해역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배수구를 중심으로 북쪽과 동쪽에 위치한 정점군(그룹 A)과 취수구 아래쪽 정점군(그룹 B)의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분리는 10월에 출현 종수가, 그 밖의 시기인 1월, 5월 및 8월에는 개체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또한,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와 군집 구조는 전형적인 온대 해역에서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출현양상과 유사하여, 계절적 수온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군집구조도 이를 반영하여 크게 3개의 군집(겨울, 봄-가을, 여름)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일원일차분석결과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수온과 온배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폐쇄적 여자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에 따른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emi-enclosed Yeoja Bay, Korea)

  • 문성용;김희용;이미희;정진호;유세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4-65
    • /
    • 2023
  •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semi-closed Yeoja Bay, Korea from February, April to August, and November 2021. Out of a total 49 species of zooplankton were collected with a predominant of neritic copepods (mainly Paracalanus orientalis, Acartia omorii, Acartia ohtsukai, Centropages abdominalis, Ditrichocorycaeus affinis, and Oithona sp.), accounting for 58.9% of the total abundance of zooplankton. The diversity indices indicated a relatively highest in July, suggesting that diversity is influenced by seasonal temperature, N. scintillans, and neritic copepods species. A cluster analysis with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four groups of zooplankton communities. The February sample clustered into Group A, having the lowest mean total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consisting mainly of N. scintillans located the whole region. Cluster Group B from the spring season (April to May) and contained the species diversity with some neritic copepods. Cluster Group C from the summer season (June to August) mainly comprised P. orientalis, A. ohtsukai, Oithona sp., and hydromedusae. Cluster Group D from the autumn season (November) mainly comprised P. orientalis, Temora discaudata. Redundancy analysis indicated that abundanc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salinity, and pico chlorophyll-a concentr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lanktonic larvae (such as branchyura larvae) and some copepods (including A. omorii, A. ohtsukai, C. sinicus, and C. abdominalis) were significantly vulnerable to zooplankton community of temperature, salinity, and pico chlorophyll-a concentrations.

정수생태계 동물플랑크톤 채집 시 네트 인양 유형 및 수심에 따른 군집 정보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Based on Towing Type and Depth in the Lake Ecosystems)

  • 오혜지;채연지;구도영;김유진;왕정현;최보형;지창우;곽인실;박영석;남귀숙;김용재;장광현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365-373
    • /
    • 2020
  • 호소 생태계에 대한 생물측정망 조사 및 평가지침은 동물플랑크톤 조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출현 종 수와 개체군 밀도, 군집 지수 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수심 5m 이하의 얕은 호소-수변부에서 사선끌기, 수심 20 m 이상 호소-전수심 수직끌기, 그 이상의 깊은 호소-20 m까지의 수심을 대상으로 한 수직끌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침에서 제시하는 방법 중 사선끌기법과 20 m 수직 끌기법을 각각 전수심을 대상으로 한 조사 방법과 비교하여 동물플랑크톤 군집 정보의 차이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군집 지수의 경우 수심이 얕은 호수에서의 사선끌기법/수직끌기법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수심이 깊은 호소에서는 끌기 수심을 20 m로 제한할 경우보다 전수심 수직끌기를 적용했을 때 다양도 및 풍부도 지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선끌기 및 20 m 수직끌기를 통해 채집한 동물플랑크톤 시료로부터 표면~저층 상층부까지의 전수심을 채집 대상으로 설정한 경우보다 약 3배 정도 높은 개체군 밀도가 계산되어, 동물플랑크톤 총 개체 밀도가 크게 과대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동물플랑크톤 수직 분포 특성상 발생하는 수층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밀도 차이 및 여과된 원수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호소를 대변하여 수체 간 또는 수체 내 변동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호 내 2차 생산과 관련한 기능적 정량 지표로서 동물플랑크톤 군집 정보의 활용을 고려할 경우, 수심에 따른 개체군 밀도 분포와 전체 개체수 환산 시 수층별 기여율을 고려한 전수심 수직끌기 방법의 적용이 보다 적절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호소 생태계에서의 수환경 평가를 위한 동물플랑크톤 적용 연구 (The Application of Zooplankton Assemblage for the Evaluation of Aquatic Environments in Lentic Ecosystems)

  • 김현우;허유지;이경락
    • 생태와환경
    • /
    • 제56권1호
    • /
    • pp.83-93
    • /
    • 2023
  • This study compares the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organisms from pelagic regions, and considers particularly the trophic levels vs. zooplankton abundances and biomass.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three times from May to November 2022, at 30 temperate lakes and reservoirs, which belong to four different river basins. Th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biomass and species index were showed considerable spatial variation. The spatial pattern of rotifer abundance was similar to that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hile there were not showed similar patterns of zooplankton biomass (㎍ L-1) in lentic ecosystems. The rotifer strongly dominated the zooplankton assemblage in smaller lentic system than that of larger. A total of 130 species of zooplankton were identified (83 rotifers, 34 cladocerans and 13 copepods). The total average of 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were 213.7±342.3 Ind. L-1 (n=129) and 1382.8±1850.4 ㎍ L-1, respectively. Total and average of zooplankton abundance were usually dominated by the rotifers (>56.9%), while those of zooplankton biomass were dominated by the cladocerans and copepods (>73.6%) in lentic ecosystems. Considering the Trophic State Index (TSI), the factors of 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were included in between meso- and eutrophic states(27 lakes, 90% of all). The mean abundance and biomass of zooplankton in eutrophic systems were higher than that of meso- and hypertrophic systems. From this result, we suggest that management strategy for the lentic ecosystem water environment has to be focused more on small-sized lakes and reservoirs, in terms of zooplankton assemblages.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분석 (Plankton Community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Relation with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 서동일;남귀숙;이상협;이의행;김미리내;최종윤;김정희;장광현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362-369
    • /
    • 2013
  • 본 연구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에 대한 기초적인 평가를 위해 2013년 9월과 10월에 걸쳐 낙동강 8개 보 구간에서 식물 및 동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생체량을 조사하고 수온, 유량, 총인, 총질소,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의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CCA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종조성은 유량, 총인 및 총질소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 유량이 낮았던 9월에는 지점별 종조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유량이 높았던 10월에는 모든 지점에서 윤충류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 농도)과 COD 및 총질소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막만 동물플랑크톤의 수층 분포에 미치는 저산소화의 영향 (Effect of a Low-oxygen Layer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Gamak Bay)

  • 문성용;서호영;최상덕;정창수;김숙양;이영식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40-247
    • /
    • 2006
  • 가막만 소호 인근해역의 용존산소 농도에 따른 등물 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연구하기 위해 2005년 8월 22일 부터 9월 15일까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저층의 용존산소 농도가 $3mgL^{-1}$ 이하일 때는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는 현저히 낮게 나타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수층별 분포와 출현 개체수에 대한 저층의 저산소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용존산소 농도는 저층으로 갈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연구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는 대부분 표층에서 많게 나타났다. 연구 해역의 수층별 동물플랑크톤 총 출현 개체수를 분산분석 (ANOVA-test)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5).동물플랑크톤의 전체적인 출현 개체수에서는 요각류 유생, Oithona sp., 그리고 유종섬모충류가 용존산소농도가 $3mgL^{-1}$이하인 수층에서 낮게 나타났다. 결과 적으로, 이러한 환경 조건은 가막만 소호 인근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수층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용존산소 농도에 의해서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빛 : 영양염 비의 영향 (Effect of Light : Nutrients Ratio on the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Community)

  • 전만식;유광현;김문숙;박주현;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295-3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동물플랑크톤 증식 및 먹이망 구조에 미치는 빛 : 영양염 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조건은 빛 에너지의 강약과 동물플랑크톤 유무(약광 LL, 약광+동물플랑크톤 LLZ, 강광: HL, 강광+동물플랑크톤: HLZ)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총 현존량을 모든 배양조건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종조성은 배양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녹조류(Staurastrum spp., S. dorsidentiferum, Coelastrum cambricam, Chlorella sp., Krichnerialla sp.)는 강광의 조건에서, 규조류(Melosyra granulata, Synedra acus, Fragilaria arotonensis)는 약광의 조건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조류(Phormidium sp.)는 포식자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광 조건에서의 평균 POC 농도(20일 이후)는 약광의 조건보다 약 2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에 seston의 P/C비는 약광의 조건이 강광의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배양시간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총 현존량은 강광의 조건이 약광의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분포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Wando in Summer)

  • 문성용;정창수;서호영;오현주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29-336
    • /
    • 2006
  • 하계 완도 연안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8월 30일에 6개의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7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출현 개체수는 $147{\sim}1696\;indiv.\;m^{-3}$의 범위를 나타냈다. 우점종은 E. tergesrina, A. pacifica, P. parvus s. 1, 십각류 유생, S. crassa로서 전체 출현 개체수에 90%이상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어졌으며, 소안도 인근해역의 A군집, 소안도와 청산도의 중앙부해역인 B군집, 청산도 북부해역의 C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군집으로 구분되는 세 그룹간의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출현 개체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결과적으로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는 대마난류와 황해저층냉수의 확장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in Korea

  • Lee, Jin-Hwan;Chae, Jin-Ho;Kim, Won-Rok;Jung, Seung-Won;Kim, Jong-Ma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45-253
    • /
    • 2001
  •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s and the their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 study was conducted at 6 selected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9 to October 2000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f Tongyeong. One hundred ninety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including 146 diatoms, 38 dinoflagellates, 4 silicoflagellates and 2 euglenophytes.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and stations, ranging from $3.0{\times}10^4\;cells/l\;to\;1.0{\times}10^6\;cells/l.$. The dominant species varied from the vertical distribution as well as seasonal changes. In April and July 1999, Skeletonema costatum and Ceratium fusus were predominant in both the surface and the bottom water columns. Leptocylindrus dan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in April and June 2000, and Thalassiosira spp. were also predominant in bottom waters in June 2000. Pseudonitzschia pungens and Chaetoceros spp. were the dominant species at both surface and near bottom waters in August and October 2000, respectively. Zooplankton abundance was comparatively high in April and July in 1999, and April, June, and October in 2000, but extremely low in November 1999. The density of dominant zooplankton was higher in 2000 than in 1999. Copepods were the most predominant group except for July 1999 when the bivalve larvae showed extremely high abundance. Acartia omorii and Oithona similis were the dominant or subdominant copepod species mainly in April 2000, and June/July, while O. davisae and O. plumifera had peaks in August and October 2000. Corycaeus affinis and Paracalanus sp. also showed higher peaks in April and June (or July), even though they occurred in all sampling time. Centropages abdominalis occurred abundantly only in April 1999. Oikopleura dioica, a gelatinous zooplankton, was another important zooplankton, showing high density in all samples except in July 199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