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Wando in Summer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분포

  • 문성용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정창수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서호영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오현주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Published : 2006.12.01

Abstract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was sampled vertically with a NORPAC net investigated in costal area of Wando from 30, August at 7 stations. A total of 37 taxa were sampled with a total abundance of zooplankton ranged from $147{\sim}1,696indiv.\;m^{-3}$. Evadne tergestina, Acartia pacifica, Paracalanus parvus s. 1, Decapod larvae, Sagitta crassa were dominant species in coastal area of Wando and they contributed 90% of mean abundance of total zooplankton.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among the three regions: the site 1 (A), the middle part of the sampling area (B) and other sites (C). The number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regions (p < 0.05). Of these,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Wando was controlled by Tsushima Warn Current and bottom cold water of Yellow Sea.

하계 완도 연안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8월 30일에 6개의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7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출현 개체수는 $147{\sim}1696\;indiv.\;m^{-3}$의 범위를 나타냈다. 우점종은 E. tergesrina, A. pacifica, P. parvus s. 1, 십각류 유생, S. crassa로서 전체 출현 개체수에 90%이상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어졌으며, 소안도 인근해역의 A군집, 소안도와 청산도의 중앙부해역인 B군집, 청산도 북부해역의 C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군집으로 구분되는 세 그룹간의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출현 개체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결과적으로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는 대마난류와 황해저층냉수의 확장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진흥원. 2000. 1999년도 한극연안의 적조발생상황. 206pp
  2. 강영실, 조영조, 고우진, 김성수, 전경암, 오현주 2000. 한국 남해안에서 살파류 (Tunicata: Taliacea) 의 대변식과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47-58
  3. 김인옥, 노홍길. 1994. 제주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중국대륙연안수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7:515-528
  4. 김 구, 노홍길, 이상호. 1991. 하계 제주도 주변 해역의 수계 및 해수순환. 한국해양학회지. 26:262-277
  5. 김주일, 김진영, 최용규, 오현주, 추은경 .2005 한극 남해 연안 전선구조에 따른 멸치 알의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17:205-216
  6. 박주석. 1970. 한국 근해 모악류에 관한 연구. 수진연구보고 6:1-174
  7. 박주석, 이삼근, 강영실, 이병돈, 허성회 1990. 한국 남해의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245-252
  8. 박 철, 최중기. 1997. 동해 전선역 동물플랑크톤 군집:1. 종목록, 우점종 분포, 종간 유연관계. 한국수산학회지. 30:225-238
  9.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 . 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243-250
  10. 윤양호, 1998. 완도 신지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논문집. 12:651-664
  11. 윤양호, 최임호, 서호영, 황두진 .2002. 하계 동중국해 해양구조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공간적 분포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11:36-42
  12. 윤양호, 박종식, 서호영, 황두진. 2005. 이른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8:100-110
  13. 이원철. 1989. 마산만 요각류 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87pp
  14. 이창래, 박 철. 2004. 망목 크기가 동물플랑크톤 분포 자료 및 군집해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9:13-19
  15. 이창래. 2004. 동해후생동블플랑크톤 수직분포와 군집특성.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8pp
  16. 임월애. 2004. 한국 남해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9pp
  17. 임월애, 이창규. 2004 초여름 남해 동부연안의 CochIodinium polykrikoides 분포와 세포 특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9:106-109
  18. 정창수, 최우정, 김학균, 이장규, 임윌애, 김숙양. 1999. 1998년도 남해도 인근수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동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 수진연구보고. 57:153-161
  19. 조양기, 김 구. 1994. 여름철 남해 저온수의 특성과 기원. 한국해양학회지. 29:414-421
  20. 조은섭, 최용규. 2005.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14:177-184 https://doi.org/10.5322/JES.2005.14.2.177
  21. 한동훈, 홍성윤, 마채우. 1995.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517-532
  22. Choi KH and C Park.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Korean J. Fish. Soc. 26:424-437
  23. Chung CS and DB Yang. 1991. On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Oceangr. Soc. 26: 242-254
  24.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 117-143
  25. Conover RJ. 1978. Transformation of organic matter, In: Marine Ecology. pp. 221-499. In Vol IV. Dynamics. John Wiley & Sons, edited by Kinne, O., New York
  26. Hu D, M Cui, Y Li and T Qu. 1991. On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related circulation. Yellow Sea Res. 4:17-36
  27. Kimmerer WJ. 1993. Distribution patterns of zooplankton in Tomales Bay, California. Estuaries. 16:252-272
  28. Kim SW, T Onbe and KI Yoo. 1993. Distribution of the marine cladoceran Evadne spinifera in water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Korean J. Oceanogr. Soc. 28:47-51
  29. Lie HJ and CH Cho. 2002. Recent advances in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East China Sea. Fish. Ocenogr. 11:318-328 https://doi.org/10.1046/j.1365-2419.2002.00215.x
  30. Longhurst AR and DLR Seilbert. 1972. Oceanic distribution of Evadne in the eastern Pacific (Cladocera). Crustaceana. 22:239-248 https://doi.org/10.1163/156854072X00525
  31. Matsuzaki M. 1975. On the distribution of chaetognaths in the East China Se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6:57-61
  32. Nakata H. 1996. Coastal fronts and eddies: Their implications for egg and larval transport and survival processes. In: Survival Strategies in Early Life Stages of Marine Resources, edited by Watanabe Y, Y Yamashita and Y Oozeki, Balkema Pub. pp. 227-244
  33. Omorii M and T Ikeda. 1984. Methods in Marine Zooplankton Ecology. John Wiley, New York. pp. 332
  34. Onbe T. 1977. The biology of marine cladocerans in warm temperature water. InL proceedings of a Symposium on Warm Water Zooplankton. Publicacao Especial, UNESCO/National Institute of Oceanography, Goa, pp. 383-393
  35. Park C. 1990. Day-night difference in zooplankton catches in the coastal area of active tidal mixing. Korean J. Oceanogr. Soc. 32:151-159
  36. Park C, PG Lee and CR Lee. 1998.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species occurrence and species diversit of zooplankton in Asan Bay, the Yellow Sea over the last eight years. The Yellow Sea. 4:40-48
  37. Park C and JW Seo. 2000.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distribution and degree of its coupling with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summer and winter. The Yellow Sea. 6: 1-11
  38. Park C, KH Choi and CH Moon. 1991.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Asan Bay, Korea with comments on vertical migration. Korean J. Fish. Soc. 24:472-482
  39. Shim JH and YC Park. 1984.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Korean J. Oceanogr. Soc. 19:68-81
  40. Strickland JDH and TR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Canada Fish. Res. Bd. 167:1-310
  41. Yoo KI and WR Kim. 1996. Spatial distribution of chaetognaths in the Yellow Sea in the Summer. Korean J. Environ. BioI. 14: 15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