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zoo animal welfare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내 동물원의 동물복지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animal welfare evaluation in Korean zoos)

  • 조경욱;최병인;김휘율;한진수;김진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1-99
    • /
    • 2009
  • The concept about zoo is changing from the animal exhibition which simply contained the animals to the ecological zoo which has the function of preserving the animal species. At the central point of maintaining such role, the basic principle called the animal welfare lies obviously. Korea has applied the animal welfare principles such as carrying out the enrichment in the zoos since 2003, but there has not been any institutional device to evaluate and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e animal welfare so far.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level of animal welfare in Korea and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2 zoos in Korea were evaluated according to 68 evaluating categories. 'Five Principles of Animal Welfare' in the Secretary of State's Standards of Modern Zoo Practice were selected and carried out as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 result, from the highest to lowest score given, was 'provision of food and water', 'provision of protection from fear and distress', 'provision of health care', 'provision of an opportunity to express most normal behaviours', and 'provision of a suitable enrichment' with the overall score of the entire Korean zoos being 2.86 (${\pm}$ 0.56).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nimal welfare of the Korean zoos, the animal management system must be standardized and organized. The evaluation and feedback, the active practice of animal welfare and its legisla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stablish an effective institutional device as well.

서울 어린이대공원 내 동물원의 변화과정 (Change Process of the Zoo in the Seoul Children's Grand Park)

  • 김동훈;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3-25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동물원의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변화과정 연구로 어린이대공원 동물원의 시대적 변화를 물리적 변화가 뚜렷한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대적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동물원 계획 시 고려해야할 요소를 기반으로 공간계획, 동물복지 및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합테마공원 시기의 동물원은 유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관람객을 위해 동물을 전시하고, 방문객의 수요에 맞게 동물원의 영역을 확장하는 시기였다. 환경공원으로서의 동물원은 분류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동물사를 배치하고, 행동풍부화 등의 동물복지 프로그램과 관람객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유희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의 동물원을 조성하였다. 도시문화공원 속의 동물원은 동물들의 복지를 위해 노후한 동물사와 시설을 개선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종 보존 및 환경 교육을 제공하는 시기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 대공원의 동물원은 여전히 계통분류학적 전시방법에 머물러 있고, 공간의 물리적 확장이 제한된 상태에서 생태적인 서식처 구현에는 못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기별 특징과 변화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지향점인 생태적 동물원을 구현하기 위한 개선 방향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경관몰입을 통해 동물의 야생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동물사 경계를 개선하고, 둘째, 기존 계통분류학적 분류 방법에서 생태 서식지를 고려한 배치 방법으로 변경하여 서식지가 유사한 동물에게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전문 교육 인력을 충원하여 다양한 생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린이들의 자연에 대한 생태적 인식과 체험에 기여하는 어린이 동물원으로 기능해야 한다.

동물원 동물에서 백신접종 후 구제역바이러스(O형) 구조단백질 항체가 분석 (Analysis on antibody titer of structural protein after vaccination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virus (Type O) in zoo animals)

  • 이현호;어경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25-13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tibody titers to structural protein (SP) of the foot-and-mouth disease (FMD) virus after vaccination in animals of the Seoul zoo. After the initial inoculation of FMD vaccine to the susceptible animals of the zoo, a total of 235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2 species of zoo animals during treatment or necropsy. All samples were tested by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overall positive rate of SP antibodies against FMD virus was 94.0% (221/235). However, the positive rates varied according to animal species. The results of positive rates in 30 species were 100% but in 12 species were 50-94.7%. We showed that most animals that have received FMD vaccine in Seoul zoo have been reached to the level of herd immunity against FMD virus after the vaccina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would be the first report for monitoring the vaccine-induced SP antibody titers against FMD virus after vaccination in various zoo animal species in Korea.

동물원 방문객의 인식 및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mong Zoological Park Visitors)

  • 이형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1-59
    • /
    • 2012
  • 동물원은 바쁜 일상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가족이나 친구와 시간을 즐기는 하나의 여가공간이자 현대 사회에서 인간과 동물이 접촉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장소이다. 오랜 기간 인간의 위락을 위한 시설로서 인식되어져 온 동물원은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로 인한 멸종동물이 증가하는 오늘날 종보존과 연구, 생태계 및 환경교육의 장소로서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동물원의 변화하는 역할과 사회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동물원 및 그 방문객에 대한 국내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동물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동물원 방문객들의 이용행태와 동물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동물원 방문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국 6개 공립동물원 방문객 7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물원은 오늘날 가족들의 여가공간이자 교육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놀이나 위락공간으로만 간주되었던 동물원이 보존과 교육 장소로서 그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물원 방문객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있어 관람환경요인과 동물복지요인, 전문적인 설명과 안내요인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편의시설은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문객들은 동물복지와 자연서식처와 유사한 환경제공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방문객의 만족도와도 관련이 높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동물원이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종보전과 환경교육이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테마공원과의 경쟁을 위한 지나친 상업화 보다는 동물원의 본질과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동물환경과 복지 개선 및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여러 분야의 다학제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육계 관련 동물복지 인증기준 비교 (Comparison of Animal Welfare Standards for Broiler)

  • 유금주;천시내;김찬호;정지연;김동훈;전중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3-658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축산분야의 동물복지가 이슈화 되면서 유럽연합(EU)을 포함한 축산 선진국들은 동물복지와 관련된 법률과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축산업의 환경변화와 동물복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로 인해 기존 인증기준의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동물복지 축산농장인증기준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육계 관련 국내외 동물복지 인증기준들을 비교분석 하였다. 동물복지 인증기준은 각 국가별 혹은 인증기관별로 사육여건과 운영목적에 따라 조금씩 상이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동물복지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사육밀도, 홰의 제공은 모든 인증기관에서 거의 유사한 반면에 사료, 물, 깔짚 및 조명 등의 기준은 서로 상이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국가별 사육여건을 고려한 자율적 기준 마련이 가능한 부분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국외 인증기준을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국내사육여건을 고려한다면 보다 현실적인 국내 동물복지 인증기준이 마련될 것이다.

Effect of alternative farrowing pens with temporary crating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and their litters

  • Si Nae, Cheon;So Hee, Jeong;Guem Zoo, Yoo;Se Jin, Lim;Chan Ho, Kim;Gul Won, Jang;Jung Hwan, Je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3호
    • /
    • pp.574-587
    • /
    • 202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ment the alternative farrowing pen (AFP) and to investigate performance and behavior of lactating sows and their litter. A total of 64 multiparous sow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allocated to farrowing crates (FCs) and AFPs. The AFPs contained a crate and support bars that could be folded to provide the sows with extra space on day 5 postpartum. Behavior was recorded by charge-coupled device cameras and digital video recorders, and the data were scanned every 2 min to obtain an instantaneous behavioral sample. Farrowing systems did not affect feed intake, back-fat thickness, litter size and piglet weight at birth and weaning (p > 0.05).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rushed piglets between the two farrowing systems (p > 0.05). However, the weaning-to-estrus interval was shorter in the sows of the AFPs than in thous of the FCs (p < 0.05). The sows spent most of their time lying down during the lactating period, at about 80% lateral recumbency and 10%-15% ventral recumbency.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 the feeding and drinking behavior between sows in the two farrowing systems (p < 0.05). The FC sows displayed more feeding and drinking behavior than the AFP sows, especially in the late lactating period (p < 0.05). Piglets in the FCs tended to spend more time walking than piglets in the AFPs (p < 0.05), wherea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ckling and lying behavior between piglets in the two farrowing systems (p > 0.05). It is concluded that the AFPs with temporary crating until day 4 postpartum did not negatively affect performance and crushed piglet compared with the FCs. It also may improve animal welfare by allowing sows to move and turn around during the lactating perio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suitable housing designs to enhance productivity and animal welfare.

Does Visitation Dictate Animal Welfare in Captivity? : A Case Study of Tigers and Leopards from National Zoological Park, New Delhi

  • Gupta, Avni;Vashisth, Saurabh;Sharma, Mahima;Hore, Upamanyu;Lee, Hang;Pandey, Puneet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2호
    • /
    • pp.103-114
    • /
    • 2022
  • Zoological Parks house exclusive animal species, thus creating a source of education and awareness for visitors. Big cats like tigers and leopards are among the most visited species in zoos globally. However, they often display stressful or stereotypic behaviours. Such behaviours are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including visitors, animal history, and captive environment. To understand this impact, we investigated the behavioural response of tigers and leopards to visitation, captive, and biological factors. The behaviour of eight big cats housed in the National Zoological Park, New Delhi, was monitored using focal sampling technique during May and June 2019. We recorded the captive and biological factors and visitor density for the subjects. The study revealed high proportions of inactive and stereotypic behaviours amongst the species. Tigers and leopards were found to perform stereotypic behaviours for 22% and 28% of their time, respectively. Generalised Linear Models revealed a significant variation of stereotypy in association with the factors. Stereotypy was influenced by visitor density, age, sex, breeding history, coat colour, and enclosure design. Adults, males, white-coated, previously bred, and those housed in smaller and simple enclosures display more stereotypy than young, females, normal-coated, unbred, and those housed in larger and complex enclosures, respectively. A high density of visitors induced more stereotypic behaviours amongst the big cats. As providing entertainment and awareness amongst the public is one of the fundamental objectives of the zoo, visitors can not be avoided. Thus, we suggest providing appropriate enrichments that would reduce stereotypies and promote naturalistic behaviours.

Effects of environmental enrichment on behaviour, physiology and performance of pigs - A review

  • Mkwanazi, Mbusiseni Vusumuzi;Ncobela, Cypril Ndumiso;Kanengoni, Arnold Tapera;Chimonyo,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호
    • /
    • pp.1-13
    • /
    • 2019
  •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analyse and synthesise existing knowledge concerning the use of environmental enrichment and its effect on behavior, physiology and performance of pigs housed in intensive production systems. The objective is also to provide clarity as to what constitutes successful enrichment and recommend when and how enrichment should be used. Environmental enrichment is usually understood as an attempt to improve animal welfare and to a lesser extent, performance. Common enrichment objects used are straw bedding, suspended ropes and wood shavings, toys, rubber tubings, colored plastic keys, table tennis balls, chains and strings. These substrates need to be chewable, deformable, destructible and ingestible. For enrichment to be successful four goals are essential. Firstly, enrichme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and range of normal behaviors; secondly, it should prevent the phenomenon of anomalous behaviors or reduce their frequency; thirdly, it should increase positive use of the environment such as space and fourthly it should increase the ability of the animals to deal with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hallenges. The performance, behavior and physiology of pigs in enriched environments is similar or in some cases slightly better when compared with barren environments. In studies where there was no improvement,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enriching the environment may not always be practical and yield positive results due to factors such as type of enrichment substrates, duration of provision and type of enrichment used. The review also identifies possible areas that still need further research, especially in understanding the role of enrichment, novelty, breed differences and other enrichment alternatives.

국내 동물복지 인증 육계농가의 사육시설 및 사육현황 (Survey on Housing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Broiler Welfare Certified Farms)

  • 천시내;유금주;정지연;김찬호;김동훈;전중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9-221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동물복지 인증기준 개선을 위해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농가의 사육시설 및 사육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동물복지 인증 육계농가를 대상으로 품종, 사육수수, 사육밀도, 축사 형태, 급이기 및 급수기, 횃대 길이와 직경 및 높이, 깔짚 두께, 방사장 제공, 건강 상태 등을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계사 내 조도, 온습도, 암모니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농가 모두 육계의 동물복지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사육밀도와 홰, 깔짚 등에 대하여 인증기준을 충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홰의 경우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깔짚은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일부 농가에서 깃털 쪼기 또는 카니발리즘 등의 이유로 인증기준 요구 조건 보다 조도를 낮게 유지하기도 하였다. 외국의 경우 동물복지 관련 연구들을 수행하고 도출된 결과들을 인용하여 동물복지 인증기준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더 이상 기준을 완화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국내의 사육 여건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내용으로 동물복지 인증기준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 발정기 행동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behavioral change of estrus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 천시내;유금주;김찬호;정지연;김동훈;전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25-832
    • /
    • 2020
  • 소의 발정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것은 번식률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며, 현재 발정기 소의 행동 특성들을 활용한 다양한 발정탐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품종인 한우의 발정기 행동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발정기 한우의 활동량, 승가행동 및 발성횟수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4두의 한우 경산우를 공시하였으며, 각 개체별로 목걸이형 생체정보 수집장치(Bio-telemetry device)를 설치하였다. 발정이 확인된 날을 포함하여 발정 2일 전부터 발정 후 3일까지 총 6일간 이동거리, 승가행동 및 발성음을 비교 분석한 결과, 발정 2일 전부터 발정 1일 전까지 이동거리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발정이 확인된 당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p<0.001), 발정 후 1일 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소의 활동량이 낮보다 밤 시간대에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승가행동은 발정 2일 전부터 발생빈도가 점점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정 당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1), 전 시간대에 걸쳐서 불특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발성음의 경우 발정 당일에는 발성음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정기 한우의 승가행동은 발정 2일전부터 시작해서 발정 당일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활동량보다 우선적으로 발정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 두 가지 지표를 함께 활용한다면 한우의 발정탐지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발정탐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우의 발정기 행동 특성과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정보들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