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sub-cultur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188초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의 경기력 수준과 성취목표성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Level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Youth Badminton Players)

  • 김덕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64-368
    • /
    • 2021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청소년 배드민턴 국가대표 선수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기력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 요인인 자아성향과 과제성향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배드민턴 청소년 대표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성향과 과제성향은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두 개의 영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2018년도 청소년 배드민턴 국가대표 하계 합숙훈련에 소집된 중,고등학생 92명으로 하였고, 이들의 학교급별 단식 전체리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경기력 상,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자아성향과 과제성향의 차이를 각각 알아보았다. 검사도구로는 스포츠 성취목표지향성에 관한 검사지(Task &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검사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신뢰도 분석(Cronbach's α)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경기력 집단 간 성취목표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기력 상집단과 하집단 간에 자아성향과 과제성향 두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글램과 펑크 메이크업의 비교 연구 - 197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Glam and Punk Make-up - Focused on the 1970s -)

  • 정현숙;정희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1호
    • /
    • pp.76-89
    • /
    • 2009
  • Popular music unites people who have different genders, ages, locals, and values. Through the popular music, youth interchange their emotion and create their fashion. Fashion and music formed the twin pillars on which the first historically significant youth sub-culture was built. Glam rock and Punk rock which won popularity in the 1970s influenced the fashion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lam and Punk make-up which appeared as a symbol of the rebel against an older gener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in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materials from the survey through the literature, internet sites, and visual 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face make-up, Glam used a white base to appear cosmic; on the other hand, Punk used a white base to appear pale and horrid. In eye make-up, Glam used black, pink, and blue eye shadow, and accented the eye by using black eye lines. Punk used black eye shadow, and drew black circles or squares around eyes. In lip make-up, Glam used pink, purple, red, and black lip color and silver and pink lip gloss to glitter. Punk used red and black lip color to appear horrid. In body make-up, Glam used glitter powder to appear with a bright skin. Punk drew tattoos and horror patterns in their body. The common themes of Glam and Punk make-up were rebellion, androgyny, and the beauty of ugliness as well as a self-created persona.

  • PDF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검사를 이용한 경기력 수준 판별: 청소년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Determination of performance level us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test: for youth soccer players)

  • 김덕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59-66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하여 성취목표성향(과제, 자아지향성)과 자기관리(몸, 대인, 훈련, 정신관리) 검사로 우수선수(연령대별 대표선수)와 비우수선수(일반선수)를 판별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된 중,고등학교 선수를 모집단으로 하여 연령대별 대표선수 131명, 일반선수 168명 등 총 299명(중학생 144명, 고등학생 15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검사지로는 Duda와 Nicholls(1989)가 개발한 스포츠 성취목표지향성에 관한 검사지(TEOSQ: Task &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와 허정훈(2003)이 개발한 운동선수 자기관리 검사지(ASMQ; Athlet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버전을 이용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 요인인 과제지향성과 자아지향성은 둘 다 우수 선수와 비우수 선수를 판별하지 못하는 검사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자기관리 검사는 하위 요인중 대인관리를 제외한 몸관리, 훈련관리, 정신관리가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를 판별할 수 있는 검사로 확인되었다. 특히, 자기관리 중 정신관리가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의 중요도 및 반영도 분석: 동아리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Reflection o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t Technical High School: Focused on Club Activities)

  • 고건수;서원석;이창훈;김종승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27-24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 영역인 동아리활동에 대한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공업계 고등학교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응답자는 전국의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93명이고, 동아리활동에 대한 5개 영역 32개 분야의 문항(중요도, 반영도)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활동 영역에서 중요도 분석 결과, '학술 활동'은 '발명', '문화 예술 활 동'은 '영상예술', '스포츠 활동'은 '도전활동', '실습 노작 활동'은 '학교 특성화 전공', '청소년 단체 활동'은 '스카우트연맹'과 '청소년적십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아리활동의 영역에서 반영도 분석 결과 '학술 활동', '문화 예술 활동' 및 '스포츠 활동' 영역은 대체적으로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도에 비슷하게 반영되고 있었다. 하지만 '학교 특성화 전공'을 제외한 '실습 노작 활동'과 '청소년 단체 활동'의 경우는 중요도와는 별개로 모든 분야가 잘 반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노작 활동'은 중요도 분석과 반영도 분석이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청소년 단체 활동'은 중요도에 비해 반영도 값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 중요도와 반영도에 큰 차이가 있었다.

FAO의 지도사업 개혁방향 (The Options for Institutional Reform of Agricultural and Rural Extension in FAO)

  • 양승춘;오해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9권2호
    • /
    • pp.173-183
    • /
    • 2002
  • This study reviewed a broad range of existing reform options, and on the basis of this review proposed a number of initiatives for institutional reform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strategies were intended to help FAO staff to provide guidance to the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reform of their agricultural and rural extension systems. The paper defines the distinction among extension as a function, agricultural extension as part of a larger knowledge triangle, and agricultural and rural extension as an expanded concep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s. The focus is on new measures that promote food security, market-driven system, and highly competitive agribusiness enterprises. Moreover, this study focus on the tensions that exist between the modern force of globalization and the traditional forces of culture, geography, and community.

  • PDF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A semiolog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fashion style exposed in Subculture)

  • 김신우;전종찬;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3-244
    • /
    • 2005
  • 현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호로 대표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패션이다. 이는 패션이 전달하는 스타일이 단순한 양식이나 유행의 개념에 그치지 않고 일종의 소통의 코드이며 그 자체로서 하나의 미디어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음악은 항상 패션에 자신의 힘을 과시해 왔고 패션 역시 음악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패션은 시각을 음악은 소리를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패션과 음악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패션과 음악은 모두 사회상을 투영하는 동시에 사회군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있는데 음악이 새로이 변화할 때마다 항상 새로운 청년문화가 창출되어 왔으며 이 문화들은 뚜렷한 패션 경향을 이루며 확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문화 집단에서 그들만의 정체성과 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션 스타일과 음악 유형들 간의 관련성을 기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청년문화 저변에 자리잡고 있는 대중 음악과 패션 스타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이 하위문화는 자신의 삶의 조건이 강제하는 모순으로부터 도피하거나 이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기제로써 표상행위가 되고 그들 스스로 독특한 음악 스타일이나 의복 스타일을 개발하여 상징적 저항의 기의를 표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하위문화에 있어서 대중음악과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는 내면의 가치를 기호화한 상동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 또래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Empathy and Peer Support on Happiness)

  • 조혜경;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36-1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 또래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 청소년 1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감능력의 인지적 공감 요인이 행복감에 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지지와 행복감과의 관계는 또래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 도구적지지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또래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요인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지지 요인이 도구적지지 요인보다 행복감에 더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과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1990년대와 2000년대의 그런지(Grung) 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unge Fashion of the 1990's and 2000's)

  • 정유경;금기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3_4호
    • /
    • pp.449-46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he hidden value of non-mainstreamers style which has been overlooked for the past decade by investigate the aesthetics and formative features of the Grunge fashion. The Grunge fashion was derived from explosive popularity of the early 90's grunge music. Grunge was the alternative anti-thesis against mainstream pop music and anti-fashion against mainstream fashion. Dirty, rubbish grunge style of the poor street youth and grunge musicians have raised to the high fashion by designers. And These trial of designers made people to notice the value of the non-mainstreamers street style like grunge. Actually, the grunge brought the shock with many argument to the 90's fashion field. But now, It became the classic of the street fashion. And It has potent influence on the music, culture and high fashion. The Grunge is a kind of links between music and fashion, street fashion and high fashion, sub culture and mainstream culture, the past and now. Grunge isn't only a fashion of appearance. It is the attitude of wearing clothes and living a life. Variety grunge style in the international street fashion, high fashion, typical musicians's fashion of the 1990's and the 2000's was researched for this study. These materials were gathered from music magazines, fashion magazines, movies, musics and books. As a results of analysis, Grunge has the formative features like mix & match, layering, patchwork, primitive edge, rag, retro, recycle, kinderwhore, sneer scribbling, disheveled hair. Grunge also has the Aesthetic features like the beauty of $disorder{\cdot}\;disharmony{\cdot}\;incompleteness{\cdot}\;kitsch{\cdot}\;poverty{\cdot}\;alternative{\cdot}\;eclectic{\cdot}$symbiosis. For the last 10 years, These features changed our fashion be more pluralistic and dynamic.

청소년의 감정조절전략이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olescents' Emotional Control Strategy on Emotional Instability and Stress)

  • 전지영;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07-5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울산시 청소년 1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 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인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은 정서적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 중심 전략 요인은 정서적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 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인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은 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 중심 전략 요인은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이 높을수록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과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박물관 사회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현황과 발전방향 (The Present Situation and Expansion of the University Museum Public Education Program)

  • 여중철
    • 고문화
    • /
    • 68호
    • /
    • pp.77-92
    • /
    • 2006
  • 이 글은 대학박물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역사를 일별하고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을 논한 글이다. 대학박물관 중에서 사회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곳은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충북대학교, 영남대학교 박물관을 비롯한 20개 기관인데, 영남대학교 박물관이 1990년에 시작한 것을 비롯하여 20년이 되지 않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박물관대학, 박물관교실, 교양강좌, 문화강좌 등의 명칭으로 시작한 사회교육은 주제나 교육방식 등이 점차 다양해져가고 있다.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불교사, 역사학, 인류학, 현대미술 등 분야에 대한 강의실 강의와 현장강의, 답사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고 강사는 대학교수가 주종을 이루고 수강생은 4, 50대의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자체평가나 수강생의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요자중심의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므로 가칭 교육프로그램 개설위원회의 설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으로 대학박물관협회에 사회교육분과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하고 사회교육의 청년화와 자녀와 함께 하는 토요박물관에서의 강좌수강도 권유해볼만한 사항이라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