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miolog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fashion style exposed in Subculture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 김신우 (서울종합예술학교 패션뷰티예술학부) ;
  • 전종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미디어디자인 컨텐츠학부)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Fashio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which represents the comtemporary sociocultural signifiant. A style that a certain stream of fashion brings is not just limited in fragmentary tendencies and fads. That can be a code to communicate and function as a medium in itself. Music has been displaying it's power to fashion while fashion has been exercising it's influence over the music. There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fashion in terms of expressing our images of the world: fashion delivers them through visuality and music does it by sound. Both fashion and music are reflecting our society as well as they are influencing on sociocultural aspects generally. Whenever music has been changed new youth culture has been made and this culture has been expanded with forming some distinct fashion trends. The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relations between pop music and fashion styles which are occupying positions firmly on the bases of youth culture through analys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fashion styles and music genres which are used in sub-culture groups to express their own identities and consciousness from a point of semiotics. In conclusion, subculture is the exit of their escaping from the compelling inconsistency cause by the condition of people's life and the way for them to solve through cultural sublimating for themselves. People come up with distinctive style of music and fashion to express their resistant signifie in their symbolic way. In addition, a particular music trend has much to do with a contemporary fash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fashion, there have been the subtle mechanism to boost and influence and some crucial similarity each other to signify inner values of the times. This study lets us realize that fashion is not only a popular style of clothes, hair, etc. at a particular time or place but also a medium to communicate and to guarantee polysemous identity by functioning as a flexible tool to exchange contemporary sociocultural meanings.

현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호로 대표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패션이다. 이는 패션이 전달하는 스타일이 단순한 양식이나 유행의 개념에 그치지 않고 일종의 소통의 코드이며 그 자체로서 하나의 미디어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음악은 항상 패션에 자신의 힘을 과시해 왔고 패션 역시 음악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패션은 시각을 음악은 소리를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패션과 음악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패션과 음악은 모두 사회상을 투영하는 동시에 사회군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있는데 음악이 새로이 변화할 때마다 항상 새로운 청년문화가 창출되어 왔으며 이 문화들은 뚜렷한 패션 경향을 이루며 확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문화 집단에서 그들만의 정체성과 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션 스타일과 음악 유형들 간의 관련성을 기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청년문화 저변에 자리잡고 있는 대중 음악과 패션 스타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이 하위문화는 자신의 삶의 조건이 강제하는 모순으로부터 도피하거나 이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기제로써 표상행위가 되고 그들 스스로 독특한 음악 스타일이나 의복 스타일을 개발하여 상징적 저항의 기의를 표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하위문화에 있어서 대중음악과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는 내면의 가치를 기호화한 상동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