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ituation and Expansion of the University Museum Public Education Program

대학박물관 사회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현황과 발전방향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paper is mainly deals and suggests about a brief history, an expansion and management of the pubic education program which is running by the university museum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past and current public education program. There are 20 university museums which operate public education program induc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etc. Yeungnam University museum has been well running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ince l990.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named museum university, museum class, culture class, that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and diversify the theme and education method.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curriculum, it consists of the fields of archaeology, art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modern arts. The programs are being held in the classroom and taking field trips to the related sites. Most of the lectures are given by the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are mainly mid-aged female. I found that the self evaluation and participant evaluation are insufficient for now. Education on demand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and also it is mandatory set up the curriculum opening committee. A good way to make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is that to establish the sub-cormmitte talk group under KAUM and I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constant research on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 guess it is worth to open a program for youth and weekend program for family.

이 글은 대학박물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역사를 일별하고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을 논한 글이다. 대학박물관 중에서 사회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곳은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충북대학교, 영남대학교 박물관을 비롯한 20개 기관인데, 영남대학교 박물관이 1990년에 시작한 것을 비롯하여 20년이 되지 않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박물관대학, 박물관교실, 교양강좌, 문화강좌 등의 명칭으로 시작한 사회교육은 주제나 교육방식 등이 점차 다양해져가고 있다.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불교사, 역사학, 인류학, 현대미술 등 분야에 대한 강의실 강의와 현장강의, 답사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고 강사는 대학교수가 주종을 이루고 수강생은 4, 50대의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자체평가나 수강생의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요자중심의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므로 가칭 교육프로그램 개설위원회의 설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으로 대학박물관협회에 사회교육분과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하고 사회교육의 청년화와 자녀와 함께 하는 토요박물관에서의 강좌수강도 권유해볼만한 사항이라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