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radish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19초

무에서 니켈 독성검정을 위한 생육 및 생리반응 비교 -I. 무의 생육 및 니켈 흡수이행- (Comparison of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Radish for Assay of Nickel Toxicity -I. Growth of Radish and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Nikel-)

  • 한강완;조재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87-292
    • /
    • 1996
  • 니켈 독성의 생물검정에 있어서 지표식물로서 무를 이용하였고 토양중 니켈의 농도, 토양 pH, 공존 이온의 첨가, 복토, 유기물, 석회처리의 요인을 변수로 하여 무의 생육 상태 및 니켈의 흡수축적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무종자의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니켈 처리농도 150 mg/kg에서 40%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토양 중에 처리된 니켈 농도가 증가할수록 무의 초장, 근장, 건물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니켈 처리농도 100 mg/kg에서 약 65%의 생육저해를 보였으며 150 mg/kg부터는 무의 정상적인 생육이 불가능하였다. 토양 pH가 증가함에 따라 무로 흡수 이행되는 니켈의 함량이 감소하는 역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토양에 니켈을 50 mg/kg으로 처리한 후 Fe의 농도를 10, 50, 100 mg/kg으로 증가시켰을 때 무로 이행되는 니켈의 흡수축적량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p>0.1). 토양에 니켈을 50mg/kg으로 처리한 후 Zn의 농도를 10, 50, 100mg/kg으로 증가시켰을 때 무로 흡수 이행되는 니켈의 흡수축적량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줄기, 뿌리 p<0.05). 복토, 유기물과 석회처리시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니켈 흡수축적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1). 각 처리구간의 니켈 흡수축적량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으나(줄기, 뿌리 p>0.5), 유기물>복토>석회처리의 순서대로 니켈 흡수량 감소의 효과가 나타났다.

  • PDF

무의 α-Amylase 활성 및 가공 안정성 (α-Amylase Activity of Radish and Stability in Processing)

  • 조은혜;최아름;최선주;김소영;이건순;이수성;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2-815
    • /
    • 2009
  • 소화 촉진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무의 건조방법, 온도, pH 등의 가공조건이 ${\alpha}$-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한 무 뿌리와 무 줄기의 ${\alpha}$-amylase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무 뿌리가 무 줄기의 3.1배 높은 수준의 활성을 보였다. 무를 pH와 온도를 달리하여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pH 범위가 $4{\sim}7$이며 온도가 $25{\sim}40^{\circ}C$일 때 ${\alpha}$-amylase 활성이 높았다. 무의 ${\alpha}$-amylase는 산성이나 중성 조건에서 처리하고 $60^{\circ}C$ 이하의 온도로 가열처리하여야 활성을 유지하였다. 무를 깍두기와 단무지의 형태로 가공하였을 때 무의 ${\alpha}$-amylase 잔류활성은 각각 15.39%와 19.193%이었고 초절임무에서는 ${\alpha}$-amylase의 활성이 대부분 소실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무의 소화효소인 ${\alpha}$-amylase 활성은 열과 pH등의 가공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6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과 중성이나 약산성에서 ${\alpha}$-amylase 효소의 활성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채소(가지, 알타리무, 슈가로프)에 발생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Tomato spotted wilt virus) 발생과 병징 특성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Egg Plant, Whole Radish and Sugar Loaf in Korea)

  • 조점덕;김진영;김정수;최홍수;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32-237
    • /
    • 2010
  •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의 상습 발생지인 안양지역에서 가지, 알타리무, 슈가로프에서 TSWV가 발생하였다. 알타리무에서는 잎에 괴저반점과 뿌리에 괴저 병징이 나타났다. 가지에서는 잎에 전형적인 다중 원형반점을 나타냈으며 열매에 심한 괴저를 나타냈다. 슈가로프에서는 잎에 전형적인 원형반점과 심한 위축 병징이 나타났다. 가지, 알타리 무, 슈가로프에서 분리한 TSWV의 생물적 특성은 흰 명아주, 붉은 명아주, 담배(N. devney)에서는 국부 감염이었으며, 담배(N. glutinosa, N. benthamiana)와 독말풀(D. stramonium)에서는 전심감염이었다. 가지와 슈가로프에서 분리한 TSWV는 병원성이 유사하였으나, 알타리 무에서 분리한 TSWV는 N. tabacum 'Xanthi NC' 등 5종의 담배에서 국부 감염되어 병원성이 매우 상이하였다.

Comparison of Glucosinolate Contents in Leaves and Roots of Radish (Raphanus spp.)

  • Ko, Ho-Cheol;Sung, Jung-Sook;Hur, On-Sook;Baek, Hyung-Jin;Jeon, Young-ah;Luitel, Binod Prasad;Ryu, Kyoung-Yul;Kim, Jung-Bong;Rhee, Ju-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79-589
    • /
    • 2017
  • Glucosinolates (GSLs), beneficial secondary metabolites for human health are abundantly present in radish vegetable. Radish is a member of Brassicaceae family and its seed, leaf and root contain very important GS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individual and total GSL contents in leaves and roots of 44 radish (Raphanus spp.) germplasm (26 R. sativus L., 3 R. raphanistrum, and 15 R. sativus L. var. raphanistroides Makino), and compare the GSL contents between leaves and roots among three Raphanus species. Thirteen GSLs were identified, being the glucoraphasatin (GRS) and glucobrassicin (GBS) the most abundant aliphatic and indolyl GSLs in both the leaves and roots. Variation in individual and total GSL contents was found among the germplasm of three Raphanus species. The GRS content was higher in roots than that of leaves in all three Raphanus species but the GBS content was higher in leaves than roots. GRS was represented 87.0%, 92.7% and 94.7% of the total GSL in roots of R. sativus L., R. raphanistrum and R. sativus L. var. raphanistroides (Makino) germplasm, respectively. Germplasm of R. raphanistrum exhibited the highest (average, $79.5{\mu}mol/g\;dw$) total GSL with a ranged from 62.7 to $92.9{\mu}mol/g\;dw$. The germplasm IT119288, Joseonmu and IT119262 from R. sativus L., RA 504 and K046542 from R. raphanistrum, and Gyeongju-2003-32 (G2003-32) and IT302373 from R. sativus L. var. raphanistroides (Makino) had high total GSL contents and these could be good candidates for developing the functional compounds-rich varieties in radish breeding program.

무의 재배기간중 질산태질소의 함량변화에 따른 질산환원효소의 활성 (Nitrate Reductase Activity by Change of Nitrate Form Nitrogen Content on Growth Stage of Radish)

  • 조성민;한강완;조재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3-390
    • /
    • 1996
  • 무의 재배시 사용되는 질소비료의 형태, 시비량, 제초제농도가 무의 부위별 질산태질소의 함량, 질산 환원효소 활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산태 질소비료가 암모니아태 질소비료 보다 무의 생육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질산태질소의 함량의 경우 무의 엽병과 엽에서는 파종후 25일경에, 뿌리에서는 32일${\sim}$39일 사이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또한 무의 부위별 질산태질소 함량은 엽병, 뿌리, 그리고 엽의 순서로, 질산환원효소 활성은 엽병, 엽, 그리고 뿌리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제초제 Alachlor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에서의 질산태질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질산환원효소 활성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Effect of Chlorine Dioxide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on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and on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Radish Sprouts

  • Choi, Mi-Ran;Kang, Dong-Hyun;Heu, Sung-Gi;Lee, Sun-Young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3권1호
    • /
    • pp.34-39
    • /
    • 2009
  •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in terms of its ability to eliminate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on radish sprouts (Raphanus sativus L.). Radish sprouts were inoculated with a cocktail containing one each of three strains of three different foodborne pathogens, then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control) or chemical sanitizers (100 ppm commercial chlorine, and 50, 100, 200 ppm $C1O_2$) for 1, 5, and 10 min at room temperature ($22{\pm}2^{\circ}C$). Population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counted at 4.64, 6.05, and 4.29 log CFU/g, respectively, after inoculation. Treatment with water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any of the three foodborne pathogens. The levels of all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chemical sanitizers; however, the observed levels of reduction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significan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The levels of the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most profoundly when treated for 10 min with 200 ppm of $C1O_2$, and the reduction level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1.17, 1.63, and 0.96 log CFU/g, respectively. When chemically injured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SPRAB for E. coli O157 :H7 and by selective overlay methods for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it was noted that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generated more numbers of injured pathogens than did $C1O_2$. These data indicate that $C1O_2$ treatment may prove useful in reducing the numbers of pathogenic bacteria in radish sprouts.

  • PDF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무우와 배추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중금속(重金屬) Cr, Ni, Cd, Cu, Zn의 영향(影響) (Effects of Heavy Metals Cr, Ni, Cd, Cu, Zn on Growth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in Soils)

  • 문영희;김용휘;양환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119
    • /
    • 1990
  • 토양중(土壤中) Cr, Ni, Cd, Cu, Zn을 각각(各各) 0, 20, 50, 100, 200ppm첨가(添加)하고 무와 배추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각(各) 중금속(重金屬)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무우와 배추의 발아(發芽)는 Ni와 Cr 200ppm첨가(添加) 토양(土壤)에서 심한 억제(抑制)를 받았으나 Cu, Cd, Zn 200 ppm첨가(添加) 토양(土壤)에서는 크게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5종(種)의 중금속(重金屬)이 무우와 배추의 생육(生育) 억제(抑制)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Cr>Ni>Cd>Cu>Zn순(順)였으며 무우보다 배추가 더 크게 억제(抑制)를 받았다. 무우에 대하여 50%이상(以上) 심한 생육억제(生育抑制)를 보였던 각 중금속(重金屬)의 첨가농도(添加濃度) Cr가 20ppm, Ni, Cd과 Cu은 50ppm, Zn은 200ppm였으며, 배추에 대하여 Cr, Ni, Cd, Cu가 20ppm, Zn은 200ppm였다. 중금속(重金屬)에 의한 2가지 작물(作物)의 생육억제(生育抑制)는 토양중(土壤中) 퇴비(堆肥)와 석회(石灰)의 첨가(添加)에 의하여 현저(顯著)히 경감(輕減)되었다.

  • PDF

전리방사선에 의한 배추와 무의 생육촉진효과 (Radiation Hormesis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 김재성;김진규;이은경;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0-393
    • /
    • 1997
  • 식물생육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를 보고자, 배추 세품종과 무종자에 ${\gamma}$선을 조사한 후, 온실과 포장에서 재배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선량 ${\gamma}$선이 배추와 무의 발아율과 유묘초장등에서 초기생육을 촉진하는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그 효과는 품종에 따라 달랐다. 유묘초장의 경우는 서림배추와 알타리무는 0.2Gy에서, 고랭지 여름배추는 1Gy에서, 덕성배추는 4Gy에서 가장 높았다. 포장재배한 서림배추와 무의 초장은 1Gy에서, 덕성배추는 4Gy에서 가장 높았고, 생체중은 배추와 무 모두 4Gy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간척지에서 토양 염류와 6개 밭작물 생육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Growth Condition of Six Upland-Crops and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 이승헌;홍병덕;안열;노희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6-71
    • /
    • 2003
  • 간척지 토지 이용 방식을 극복하고 경제성 있는 밭작물을 재배를 위한 대호 간척지에서 도입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6개 밭작물에 대한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대호간척지에 6가지 작물 공시 작물은 6종(쑥갓, 열무, 알타리, 케일, 양상치, 적상치)을 재배하여 생육정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나누어 작물과 토양을 채취하여 염류농도별로 장해정도를 평가하였다. 각 작물에 대해 건물중과 초장에 대한 토양 염류농도와 SAR과의 관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지만 다른 화학적 성질에서는 확연한 관계를 없었으며 가장 양호한 생육을 보인 토양의 염류농도(ECe)는 모든 작물에서 $8.40dS{\cdot}m^{-1}$ 이하이고 SAR는 20.99이하로 나타났다. 작물별 염농도 상승에 따른 저해 정도를 파악하고자 토양의 ECe 수준에 따른 상대건물중과의 관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생육의 저해가 시작되는 토양 염류농도 수준은 열무와 케일이 $1dS\;m^{-1}$ 미만에서, 쑥갓이 $4dS\;m^{-1}$ 이상에서 알타리, 양상추, 적상추는 $6dS\;m^{-1}$ 이상으로 나타났고 생육 저해가 시작되는 범위 이상의 염류농도에서 케일은 염농도가 $1dS\;m^{-1}$ 높아질 때 상대건물중의 감소는 케일은 3.35%, 알타리는 3.92%, 열무는 3.98%, 양상추는 4.66%, 쑥갓은 7.57%, 적상추는 8.45%였다. 50%의 상대건물중이 감소되는 염류농도는 알타리; $18.9dS\;m^{-1}$, 양상추; $17.3dS\;m^{-1}$, 케일; $15.4dS\;m^{-1}$, 적상추; $12.0dS\;m^{-1}$, 그리고 열무와 쑥갓; 각각 $11.3dS\;m^{-1}$, $11.0dS\;m^{-1}$이었다. 토양 중 염류농도와 육안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케일의 내염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기능성 채소작물로 간척지에 도입할만한 작목으로 판단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마른 무말랭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by Drying Methods)

  • 이원영;차원섭;오상룡;조영제;이혜영;이보수;박주석;박준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2006
  • 본 연구는 경상도지역에서 예로부터 먹어오던 무말랭이 김치(골곰짠지, 오그락지)의 품질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천일건조와 열풍건조 그리고 천일건조의 문제점을 보완한 냉풍건조를 이용하여 말린 무말랭이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속도는 열풍건조가 가장 빨랐으며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건조속도를 나타내었다. 건조시 갈색도는 $10^{\circ}C$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열풍건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10^{\circ}C$냉풍건조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천일건조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환원당의 경우 천일건조와 $10^{\circ}C$ 냉풍건조 그리고 $70^{\circ}C$ 열풍건조 모두 유사한 수치를 보였으나 텍스처 측정에서는 $10^{\circ}C$ 냉풍건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능검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무말랭이 김치의 원료인 말린 무는 $10^{\circ}C$의 냉풍에서 건조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