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tai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CO2 환경에서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심기능의 경시적 변화 (Time-course Response of the Heart Function i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CO2)

  • 이경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69-873
    • /
    • 2014
  • Cardiorespiratory variables were measured in flounder Paralicthys olivaceus exposed to acidified seawater equilibrated with a gas mixture containing 5% $CO_2$ gas for 72 h at $20^{\circ}C$. It was found that $CO_2$ pro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rterial $PCO_2$ ($PaCO_2$)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arterial pH (pHa). $CO_2$ transiently increased heart rate within 30 min of exposure. After cardiac output was elevated by the increase in heart rate within 30 min, was then reduced by the decrease in both stroke volume and heart rate. The heart responses of flounder differ from those of yellowtail to high $CO_2$ environment.

방어 및 넙치의 심혈관 기능에 미치는 고이산화탄소의 영향 (The effects of high $CO_2$ concentration on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the yellowtail and the flounder)

  • 이경선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7-99
    • /
    • 2007
  •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CO_2$를 해양에 처리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 및 해양생물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검토가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에서 천해어종인 방어 및 넙치의 심혈관계 반용을 비교 검토하였다. 5% $CO_2$ 환경에서 방어는 8시간 이내에, 넙치는 48 시간 이내에 100% 폐사하였으며, 넙치는 혈액 pH가 회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폐사하는 경향이었다. 방어의 cardiac output (심박출량)은 stroke volume (박동량)의 변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넙치는 heart rate (심박수)의 변화가 심박출량의 변화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북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The Fluctuations of Catches in Set Nets Around Kyeongbuk Province)

  • 홍정표;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2호
    • /
    • pp.153-165
    • /
    • 1995
  •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의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1985~1989 연간 총 11통의 표본어장의 어획자료로부터 연도별, 월별, 지역별, 어종별, CPUE(1양망당 어획량), 어종조성 및 각 어장별 주요어종의 출현시기 및 해황 특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PUE 변동은 연도별로 보면, 변동폭이 매우 크고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고, 지역별로는 죽변 지역이 높고 나머지 지역은 낮았다. 월별로 보면, 전체적으로는 8~11월이 높게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주변, 강구는 8~11월, 축산, 감포는 9~11월, 후포는 8~12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CPUE 변동은 연도별로는 쥐치, 고등어, 참다랭이, 조피볼락, 방어는 감소 추세에 있고, 정어리, 전갱이, 청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오징어는 안정을 유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갑오징어는 1987년 이후 낮은 수준에서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월별로는 고등어, 전갱이, 참다랭이, 방어, 조피볼락은 9~10월, 쥐치와 오징어는 11~1월, 정어리는 4~5월, 청어는 3월, 갑오징어는 4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로 출현하는 주요어종의 어군크기는 1985년~1989년 전체적으로 볼 때 쥐치,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방어의 순 이였고, 연도별로는 1985년 쥐치, 1986년 정어리, 1987년에는 전갱이, 1988년에는 쥐치, 1989년에는 정어리가, 월별로는 1~7월까지는 정어리가, 8~10월에는 정어리, 고등어가, 그리고 11~12월에는 쥐치가 수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종별 출현시기를 감포와 죽변 지역을 비교해 볼 때, 쥐치,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갑오징어는 죽변 지역이 다소 빠르게 나타나고, 고등어와 방어는 감포 지역이 빠르게 나타났다. 특히 정어리의 경우는 출현시기가 약 3개월 차이를 보인 반면, 전갱이와 삼치는 동일한 시기에 출현하였다. 또한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에서는 평년에 비해 난류세력이 강하고 수온전선이 연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형성되는 해에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rug Resistance in Fish-Pathogenic Bacteria

  • Aoki, Takashi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7-64
    • /
    • 1993
  • 어병 세균으로부터 분리된 R-plasmid의 특성과 그 DNA 구조는 Aeromonas hydrophila, A. salmonicida, Edwardsiella tarda, Enterococcus seriolicida, Pasteurella piscicida, Vibrio onguillarum등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A. hydrophila와 E. tarda로부터 그리고 A. hydrophila와 A. salmonicida로부터 분리된 몇몇 R-plasmid는 같은 내성형을 가지면서 유사한 DNA 구조를 보였다, V. anguillarum에서 분리된 R-plasmid는 1977년 이전, 1980년과 1983년 사이 그리고 1989년과 1991년 사이에 분리된 것이 그 DNA 구조에 차이를 보여 각각 그룹 1, 2, 3으로 구분되어졌다. P. piscicida의 경우에는 연도와 지역에 관계없이 동일한 DNA 구조를 갖는 R-plasmid가 분리되었다. Macrolide계 항생제(MLs), lincomycin(LM), tetracycline(TC) 그리고 MLs, LIM, chloramphenicol(CP) 내성을 나타내는 R-plasmid를 갖는 E. seriolicida가 각 지역의 Yellowtail 어장에 분포되어 있었다. P. piscicida의 R-plasmid에는 type I의 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CAT)에 의하여 CP 내성을 나타내는 유전자(cat)가, 그리고 E. tarda, A. salmonicida와 1980년 이후에 분리된 V. anguillarum의 R-plasmid에는 CAT type II에 해당하는 car 유전자가 분포되어 있었다. TC 내성 유전자(tet)의 경우에는 1977년 이전과 1980년 이후에 분리된 V. anguillarum으로부터 class B, G의 tet 유전자가 확인되었으나, E. tarda, P. piscicida, A. hydrophila 그리고 1989년 이후에 분리된 V. anguillarum등 어병세균의 R-plasmid에는 class D의 tet 유전자가 널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다랭이 선망어선의 유목조업에 관하여 (On the Log-Associated School Fishery of Korean Tuna Purge Seiners)

  • 문대연;이장욱;김종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7-207
    • /
    • 1996
  • 한국 다랭이 선망어선의 유목군 조업 비율은 최근 까지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며 $1990\~1995$년간의 유목군 어획 비율은 전체 어획량의 $34.6\%$로 선망어업 초기와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낮았다. 어획 어종의 조성에서는 유목군 및 부상군 조업에서 다같이 가다랭이가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그 다음 황다랭이 그리고 소량의 눈다랭이가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어획 비율은 부상군 조업이 유목군 조업보다 높았다. 승선 조사 시의 유목군 조업의 어획 어종의 조성은 가다랭이 $60\%$, 황다랭이 $38\%$, 눈다랭이 $2\%$로 조업 실적 자료보다 가다랭이는 낮았고 황다랭이는 높았다. 유목군 조업에서 혼획된 종은 모두 11종이었으며 그중 상어류가 전 투망 시에 어획되었고 yellowtail kingfish가 마리수로는 가장 많이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체장 조성을 비교하였을 때 소형 황다랭이는 주로 유목 주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남 통영해역의 뜬말에 서식하는 방어 유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Young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Carangidae, Perciformes) from Drifting Seaweeds in the Coast of Tongyeong, Korea)

  • 조선형;명정구;김종만;이진환;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3-588
    • /
    • 2002
  • 뜬말에 서식하는 방어 치어의 형태 및 출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매월 1$\~$2회에 걸쳐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면 연안의 갈도, 고암, 흥도주변 해역까지 뜬말을 채집하였다. 뜬말은 괭생이모자반, 미아베모자반 등 대부분 모자반류 (Sargassum spp.)가 대부분이었으며, 뜬말의 크기는 5월에는 직경 4m 이상인 것들이 많았고, 8$\~$9월에는 직경 0.5 m 이하인 것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방어 치어는 5월에서 7월까지 뜬말주변에서 서식하였으며, 전장은 12.9$\~$135.4mm였다. 이 시기의 방어 치어는 체측에 갈색 가로 줄무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무의는 전장 10.0-15.0mm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성장함에 따라 12개까지 증가하였다가, 전장이 130.0-150.Omm가 되면서 점차 사라졌다. 채집된 방어의 개체수와 뜬말의 밀도계수 (C) 사이에는 뚜켠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r^2=0.04, p<0.05$).

초음파표식에 의한 단체어의 행동 추적 (Tracking of an Individual Fish by Use of the Ultrasonic Tag)

  • 신형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2호
    • /
    • pp.54-60
    • /
    • 1989
  • 한국연안어장에서 어군의 행동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재료를 제공하고져 초음파표식을 제작하여 그 표식의 성능과 축양조내에서와 정치망어장내에서의 단체어(공식어:방어)의 행동특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제작한 40KHz 초음파표식과 VEMCO사의 50KHz 초음파표식은 무지향특성으로 각각 200m, 500m거리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축양조내에서는 방류초기에는 불규칙적인 행동을 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된 속도로 행동함으로서 정치망내에서의 행동특성을 관측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치망어장에서 방류하여 추적한 결과, 어장내에서의 이동경로, 유영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어군의 어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콤브로이드 생선 중독과 히스타민 식중독 (Scombroid Fish Poisoning and Histamine Food Poisoning)

  • 정성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19
  • Scombroid fish poisoning (SFP) is a form of histamine food poisoning caused by the ingestion of improperly stored fish. The term "scombroid" derives from the family name of the fish family first implicated, such as tuna and mackerel. On the other hand, non-scombroid fish species, such as sardine and herring, can also cause histamine poisoning. The histamine is converted from histidine by a bacterial enzyme in the causative fish. Because the symptoms of SFP can easily be confused with food allergies, it is believed to have been significantly under-reported. In 2016, an outbreak of SFP occurred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who had eaten yellowtail steak in Korea. The most common findings consisted of a rapid onset of flushing of the face and trunk, erythematous and urticarial rash, diarrhea, and headache occurring soon after consuming the spoiled fish. Usually, the course is self-limiting and antihistamines can be used successfully to relieve symptoms, but several life-threatening SFP cases have been reported. Clinical toxicologists should be familiar with SFP and have competency to make a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fish allergy and histamine poisoning. SFP is a histamine-induced reaction caused by the ingestion of histamine-contaminated fish, whereas a fish allergy is an IgE-mediated reaction. This review discusses the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ve measures of SFP.

방어 보통육과 혈합육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조성의 사후변화 (Changes Occurred in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s during Postmortem Aging of White and Dark Muscle of Yellowtail at $2^{\circ}C$)

  • 김장양;최영준;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3-136
    • /
    • 1982
  • 방어의 배육 보통육과 측육 혈합육을 $2^{\circ}C$에 보장하여 두고 선도변화 총계별로 단백질의 조성과 각축의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건향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에 대하여는 구성단백질의 분포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NaDodSO_4$변한 다음, polyacrylamide겔 전기영동상을 비교 해석함으로써 적색육어류의 선도변화와 보통육 및 혈합육의 단백질조성 변화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K-값과 휘발성염기질소 및 pH값으로 판정했을 때, 혈합육은 보통육에 비하여 선도변화가 빨랐다. 사후 선도변화와 더불어 근원질단백질과 노원섬유단백질은 감소하는 반면,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보통육에 비하여 혈합육이 훨씬 심한 편이었다. Sodium dodecyl sulfate 화한 단백질을 polyacrylamide겔 전기영동함으로 분석한 결과, 보통육의 근원질단백질은 16개 성분, 그리고 혈합육의 근원질단백질은 12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보장 10일째부터 보통육의 근원질단백질은에는 41,000dalton과 18,000dalton의 양분이 조금씩 증가하였고, 26,000 dalton과 23,500 dalton 및 23,000 dalton되 각 성분은 점차 감소하였다. 혈합육의 근원질단백질에 있어서는 49,000 dalton의 성분은 감소하였고 47.000 dalton의 성분은 새로이 형성되었으며, 26,000 dalton의 성분은 소감하였다. 근원섬유단백질의 전기영동분석결과에 의하면, 보통육의 근원섬유단백질은 17개 성분, 그리고 혈합육의 근원조직단백질은 16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보장 10일에부터 보통육의 근원섬유단백질중에는 40,000 dalton의 성분이 증가하였고, 37,500 dalton의 성분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32,000 dalton의 성분은 새로히 출현하였다. 혈합육의 근원섬유단백질은 보장 9일째부터 58,000 dalton과 64,000 dalton의 성분은 그 농도가 단가하였으며, 17,500의 light chain-2 단백질은 소감하였고, 32,000 dalton의 성분은 새로이 출현하였다. 이 같은 전기영동상의 변화는 근원질단백질이 근원섬유단백질에 비하여 빨랐으며, 근원섬유단백질의 경화에 있어서는 혈합육쪽이 보통육에 비하여 빨랐다. 양 육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즉살한 방어의 보통육 단백질은 글루탐산, 아스팔트산, 류신. 알기닌, 알라닌 등은 그 양이 어느 정도 많았고, 프롤린과 트?토판은 그 양이 적었으며, 혈합육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형이었다. 그리고 10일이 경과한 보통육에 있어서는 글루탐산과 아스팔트산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9일이 경과한 혈합육에 있어서는 알라닌, 글리신, 그리고 알기닌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 결과, 즉살한 방어의 보통육중에는 히스티딘이 총유리아미노산의 약 $63\%$를, 그리고 혈합육중에는 타우린이 총유리아미노산의 약 $67\%$를 차지하는 양을 보였다. 그리고 $2^{\circ}C$에서 10일이 경과했을 때, 보통육에서는 히스티딘, 발린, 타우린이 증가하였으며, 알라닌, 류신 및 글리신 등은 조금 감소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9일이 경과한 혈합육에서는 타우린, 페닐알라닌, 글리신은 증하였으며, 히스티딘, 알라닌, 세린 등은 감소하였다.

  • PDF

AIS data 분석에 의한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의 저속 어선의 출현빈도와 어장탐색 (A study on appearance frequencies and fishing ground exploration of low-run fishing obtained by analyzing AIS data of vessels in the sea around Jeju Island)

  • 김광일;안장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157-163
    • /
    • 2018
  • In the area around Jeju Island, the squid jigging fishery and the hair-tail angling are popular. Therefore,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and shift of fishing grounds is very important. We have received and analyzed AIS data of all vessels around Jeju Island from October 16, 2016 to October 16, 2017, and extracted the positions of the fishing vessels with the sam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s the fishing vessels of their fisheries. The distribution chart of the frequency of fishing vessels appearing in each predefined fishing grid ($1NM{\times}1NM$) was analyzed. So we took a analogy with the monthly shift of fishing grounds. Many fishing vessels appeared in the seas around Jeju Island from November 2016 to January 2017, and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was maintained. In November, however, fishing vessel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coastal waters. Yet, the density gradually weakened as they moved into January. From February, the frequency itself began to decline, making it the worst in April. The high concentration of fishing vessels in the waters leading from Jeju Island's northwest coast to south coast in November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yellowtail fishery that are formed annually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island of Marado. In May 2017, the appearance frequency of fishing vessels increased and began to show a concentration in coastal waters around Jeju Island. Fishing vessels began to flock in waters northwest of Jeju Island beginning in July and peaked in August, and by September, fishing vessels were moving south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weakening the density and spreading out. Between July and August, fishing vessels were concentrated in waters surrounding Jeju Island, which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operations of fishing vessels for the squid jigging fishery and the hair-tail ang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