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yellowness

검색결과 1,743건 처리시간 0.036초

레드 비트의 첨가가 냉장저장 중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과 발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Beet on Quality and Color Stability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정호진;이홍철;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14-1023
    • /
    • 2010
  • 본 연구는 아질산염을 저감화 한 저지방 소시지를 개발하기 위해, 아질산염과 균질한 레드 비트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저지방 소시지(자비, 훈연)를 제조하였고, 품질특성과 냉장 저장 중 pH와 색도를 평가하였다. 레드 비트 첨가는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레드 비트 1% 첨가가 저지방 자비 소시지의 적색도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아질산염 저감화 조건에서 레드 비트의 첨가는 적색도 증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질산염 75 ppm 첨가구는 레드 비트의 첨가에 상관없이 대조구이상의 적색도를 보였으나, 레드 비트 함량이 1% 이상일 경우 황색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편, 훈연소시지에서 레드 비트의 첨가는 아질산염 150 ppm 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명도를 감소시켰으나, 적색도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에, 저장기간 동안 색도의 변화에서는 레드 비트(1%)만 단독 첨가한 저지방 훈연 소시지의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아질산염(75 ppm)과 레드 비트(0.5%)를 조합한 처리구는 저장기간 동안 적색도를 유지하였으며, 아질산염 150 ppm 첨가 대조구의 적색도와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질산염의 첨가는 저지방 소시지의 보수성과 색도에 영향을 주었고, 레드 비트의 첨가는 적색도와 발색안정성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레드 비트 0.5%와 아질산염 75 ppm의 조합은 저장기간 중 저지방 소시지의 적색도를 유지함에 따라 아질산염을 저감화 한 저지방 소시지(훈연, 자비)의 제조를 위해서는 레드 비트 0.5%와 아질산염 75 ppm의 첨가 조합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장려품종 콩을 이용한 메주 및 된장 품질 특성 (Quality of 4-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for Meju and Doenjang)

  • 이가순;이주찬;이종국;황의선;이승수;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5-211
    • /
    • 2002
  • 국산 콩 재배를 장려하고 메주 및 된장가공용으로 적합한 우수 콩품종을 선발하고자 충남도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대원, 소담, 진품 및 황금 콩을 이용하여 메주 및 된장을 제조한 후 품종간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료 콩들의 일반성분 중 조지방은 16.89~19.31%, 조단백질은 26.7~30.5%,이었고 품종별 총 유리당 함량은 4.99~5.26%로 주된 유리당은 stachyose으로서 2.59~3.51%를 함유하고 있었고 그 다음은 raffinose와 sucrose순이었다. 메주의 조지방은 16.2~21.0%로 황금콩이, 조단백질은 32.2~36.4%로 대원과 소담콩이, 가용성 무질소물은 23.5~26.62%로 진품콩이 각각 함량이 높았으며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266~371 mg%로 대원콩이 가장 높았다. 메주의 총 유리당은 2.10~2.66%로 주된 유리당은 glucose이었으며 대원콩이 유리당함량이 높았다. 메주덩어리의 색도를 본 결과 황금콩이 밝기가 가장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대원콩과 황금콩이 높았고 황색도는 소담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메주를 분쇄하여 메주분으로 조사한 결과 소담콩이 자기값이 가장 높았고 적색도가 가장 낮았으며 황색도는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발효된장의 조지 방은 7.90~9.71%로 진품콩이, 조단백은 9.67~13.50%로 대원콩이, formol태 질소함량은 2739~3825mg%로 소담콩이, 조사포닌 함량은 6.88~3.36%로 대원콩이 각각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유리당 함량은 1.88~2.22%으로 황금콩이 가장 높았으며 된장의 주된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이었다. 된장제품의 색도 중 밝기와 황색도는 소담콩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된장제품의 관능검사결과 소담콩이 색깔면에서는 우수하였으나 맛,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볼 때 황금콩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PPS 원단의 발수가공을 위한 최적의 가공조건 고찰 (Study on Optimum Condition of Water-Repellent Finishing For PPS Fabrics)

  • 이인열;정고은;이웅섭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5차 학술발표회
    • /
    • pp.47-47
    • /
    • 2011
  • 국내의 기능성 난연성 섬유 제조기술은 원사 자체에 난연제가 포함된 상태인 난연 PET 원사나, 일반 PET 원단에 후방염 처리한 원단이 사용되기에 난연 방염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친환경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오늘날 세계 난연섬유 시장 규모는 10조원에 이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므로 기능성을 갖춘 고부가가치 난연소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폴리페닐렌술피드(PPS)는 내열성 및 내화학약품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고분자로 용융방사가 가능하다. 난연성이 높은 양모섬유 또는 아크릴계 난연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은 비용 문제로 범용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비교적 저렴한 PPS 섬유가 개발될 경우 범용화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는 PPS 섬유가 특수한 용도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수한 난연 특성을 이용하여 일반 용도로의 사용 및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우선적으로 인테리어용 원단, 특히 커튼이나 소파용 원단으로 용도 전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파용 PPS 원단의 후가공 조건의 선정 및 불소계 발수방오가공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Padding(wet pick up율 $80{\pm}3%$)-Drying($105^{\circ}C$, 2.5min)-Curing은 시간은 1분으로 고정시킨 후, 온도를 150, 160, 170, 180, 190, $200^{\circ}C$에서 처리하여 Yellowness값을 측정한 결과, 온도가 높아질수록 Yellowness값이 커지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PPS원단은 높은 열에 영향을 받아 황변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180^{\circ}C$를 기점으로 값에 큰 변화를 보였으므로 최적의 열처리 온도는 $170^{\circ}C$로 선정하여 이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큐어링 시간이 황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온도에 의한 영향에 비해 적은 편으로 사료되었으나, 1.5min을 기점으로 Yellowess값이 높아졌으므로 최적의 열처리 시간을 1분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가공조건인 $170^{\circ}C$, 1분에서 처리한 시험포는 처리전 원단과 비교하였을 때, ${\Delta}$Yellowness가 2.84 정도로 나타났다. 그 후, PPS 원단에 불소가공제 (TG-991N, 동인텍스켐)의 적정 농도를 선정하기 위해 1~7%까지 농도를 높이며 처리한 결과, 불소가공제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황변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Yellowness값은 증가하다가 4% 이후 완만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IPA/Water Drop test와 발수도시험 (KS K 0590;2008)을 통해 적정 농도를 선정하였다. PPS 원단은 불소가공제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수도가 우수해졌으며, 가공제 농도 3% 처리만으로도 우수한 발수도를 나타내었으나 100% 발수를 위해서는 가공제 농도가 5% 이상 처리되어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침출 조건이 감잎차의 색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color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leaf tea)

  • 안종화;김주혜;김춘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0-310
    • /
    • 2023
  • 본 연구는 시판용 감잎분말을 이용한 침출차 제조 시 시료의 양 및 pH 조건이 감잎차의 색 품질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차 내 감잎의 양이 많을수록 차의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항산화 특성 관련 지표 분석 결과, 감잎 함량이 가장 높았던 감잎차(10 mg/mL)에서 항산화력(DPPH 라디칼 소거 활성: 0.138±0.000 mg AAE/mL,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0.908±0.003 µmol TE/mL, FRAP 환원력: 0.111± 0.004 mg AAE/mL)과 항산화 성분 함량(총폴리페놀 함량: 0.219±0.010 mg/GAE mL,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0.107±0.003 mg/CE mL)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감잎차 내 시료의 양은 10 mg/mL로 고정하고, 침출 용매의 pH 조건을 pH 4에서 7 범위로 설정하여 색도와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잎차의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항산화력은 pH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일관되게, 가장 낮은 pH 4에서 다른 군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pH 4 조건에서 제조한 감잎차의 항산화 활성이 다른 pH 조건 대비 더 우수하였고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도 더 많았다. 동시에 색도는 더 밝으면서 붉은 정도와 황색 정도가 적었다. 결론적으로, 시료의 양을 높이면서 낮은 pH 조건에서 감잎차를 준비하는 것이 항산화 기능성 측면에서 더 나은 건강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산 침엽수재의 재색변화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lor Changing Technology for Domestic Softwood)

  • 강호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6-162
    • /
    • 2008
  • Three major domestic softwoods, Korean red pine, Korean pine and larch, were heat-treated at $220^{\circ}C$ and for various treatment times for color changing. A new heat treatment equipment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was revealed working well for changing the colors of the three softwoods. The color difference index of 15 was obtained after 8 hours for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and 10 hours for Larch. The correlations of br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ith treatment time were different between species.

  • PDF

죽초액을 급여한 육용 오리고기의 저장기간 중 pH, 지방산패도, 육색 및 관능평가의 변화 (Changes of pH TBA, Meat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on Duck Meat Fed Supplemental Bamboo Vinegar during Storage Period at 4$^{\circ}C$)

  • 국길;김광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87-292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H, TBA, meat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on duck meat fed supplemental Bamboo vinegar during storage period at 4$^{\circ}C$ . Experiment animals (five-wk-old, Cherry Valley F$_1$, 100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 four treatment groups. Treatments were control, 1%, 2% and 4% based on Bamboo vinegar addition. There was no PH difference in breast meat between groups on day 1 of storage, while pH of bamboo vinegar supplemented group was sustained hi호 after 3 days. TBA values of Bamboo vinegar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P<0.05) and were steady change during storage. The color value in lightnes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during the storage. The cont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6 d and 9 d, while the bamboo vinegar treated groups no difference during storage. The redness and yellowness in bamboo vinegar treatment were decreased in 3 d and 9 d storage. The decrease in yellowness was outstandingly observed in bamboo vinegar 1% and 2% treatment (P<0.05). The odor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was improved by supplemental bamboo vinegar treatm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1 d, 3 d and 6 d storage (P<0.05). The appearance of sensory evaluation of supplemental Bamboo vinegar treated groups (P<0.05)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1 d and 3 d stor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upplemental Bamboo vinegar 1% and 2% may improve meat quality during storage period in duck meat.

원료콩의 파종시기와 산지에 따른 재래식 간장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with Varying Soybean Seeding Periods and Regions of Production)

  • 강선희;이슬;고종민;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61-769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made with soybeans sown in different producing regions(Hadong, Paju) and in different seeding periods(late-May, mid-June, late-June). The total acidity, salt content, chromaticity, browning, amino nitrogen content and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 soy sauce sample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cidity level and the amino nitroge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oy sauce made with mid-June soybeans, and that these properties increased as the sauce aged. Salt content increased with the aging period regardless of the region of production.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Paju soy sauce was the highest in late -June, and for the Hadong region, highest in late-May. The sauce made with Hadong soy beans showed an increase in reducing sugar cont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ging period. Reducing sugar content in the samples of Paju soy sauce decreased up to 60 days of aging, but increased after this point. In Paju soy sauce, the brightness(L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d-June, and the Hadong variant it was higher in late -May. The yellowness(b value) at the beginning of the aging process was high in late -June for Hadong soy sauce, but overall it was higher in the mid-June period. The more matured soy sauce samples were darker and showed both higher a and b values. The browning was the lowest in the mid -June regardless of the regions and it increased with the aging period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regions. The salt, amino nitrogen contents, browning and yellownes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the seeding period of soy beans ma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ed soy sauce alongside the aging conditions.

대추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Supplemented with Jujube Hot-water Extracts)

  • 김안나;정현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7
    • /
    • 2013
  • Jujube is a functional food, containing medicinal ingredients without side effects. Jujube can relieve digestive upset, inhibit tumor growth and protect the liver. It includes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Jujube has also received attention as an anticancer agent and as a diet food. However, it is rare to find yogurt made with jujube, so we considered adding jujube powder to yogurt to popularize it as a new health food. We made yogurt with jujube powder at 0, 1, 2, 3, and 4%. We measured pH, acidity, color properties (brightness, redness, yellowness), viscosity, sensory qualities (color, flavor, taste, overall quality). We also experimented with storage stability at intervals of 1, 5, 10, 15, and 2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pH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jujube powder. The pH also rose significantly with longer storage, but tended to decrease after 20 days. Acidity was reduced during the storage period. Viscosity was highest with 1% added jujube powder (p<0.001) on day 5 of storage (p<0.001). The L color value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jujube powder increased, whereas the a-value (redness) and b-value (yellowness) increased (p<0.001). In an sensory test, color in samples with 0, 1, and 2% jujube powder exhibited the highest values (p<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avor or texture were observed. Sweetness and sourness were highest in the yogurt with 3% jujube powder (p<0.05). Overall quality tended to be higher for yogurt with 3% jujube powder, but the difference was in significant.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yogurt with 3% jujube powder may the most suitable for manufacturing purposes.

과육이 포함된 무즙으로 반죽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Radish Juice Containing Pulp)

  • 정지윤;박희진;원삼연;김성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59-56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radish juice containing with pulp. Methods: Wet noodl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radish juice (0%, 20%, 40%, 60%, 80%, 100%, w/w) instead of water. Results: As the amount of radish juice was increased, water absorption, volume increasing rate, and turbidity of soup were decreased. Lightness (L) values of uncooked wet noodles and cooked noodles wer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radish juice, whil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had no tendency of increasing or decreasing,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adish juice. Moreove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of uncooked nood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oked noodles. The texture of cooked nood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and chewiness. It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radish juice was increased. Their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ppearanc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noodle added with 80% of radish juice had the highest score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noodles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radish juice. Conclusion: In summary, the most desirable blending ratio of radish juice and water for the kneading of wet noodles was 80:20.

피클제조를 위한 취청오이의 염농도에 따른 염장중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r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 박용곤;박미원;최인욱;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6-530
    • /
    • 2003
  • 각기 다른 염농도에서 염장한 오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장시 첨가되는 염농도가 높을수록 수축현상이 심하였으며, 오이의 염농도는 염장 30일경에 30%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이론치와 유사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25%처리구는 염장 120일까지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30%처리구는 60일이후부터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오이 표면의 녹색도는 염장 10일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녹색(-1.33~-2.87)이 유지되었으나 염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색으로 변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염농도가 낮을수록 심하였다. 황색도는 염농도가 낮은 15% 첨가구가 염장 전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황색도(6.15~12.52)를 보였다. Isopropyl alcohol 추출색소액 중 생오이의 색소추출액은 439, 473, 632 nm에서 피크를 나타낸 반면 염장오이는 염장초기 첨가된 염농도에 관계없이 생오이 색소추출액과는 다른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어 410, 505, 538, 607, 565 nm에서 새로운 피크를 형성하였다. 경도는 염농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