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rice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초

누룩에서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Characterization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lutinous Rice Wines Prepared with Different Yeasts of Nuruks)

  • 김혜련;권영희;조성진;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6-301
    • /
    • 2009
  • 효모가 찹쌀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통 누룩에서 분리한 보유효모 Y18-2(Andong), Y54-3(Chungju), Y90-2(Hapchun), Y90-9(Hapchun) Y272-7(Boryung)과 시판효모 LP(La Parisienne,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조군으로 효모종류를 달리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17일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은 모든 술이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13.40{\pm}0.70%$)보다 높게 나타나 양호한 발효상태를 보였으며 pH는 4.06-4.32, 총산은 0.33-0.44% 수준으로 나타났고 아미노산은 Y90-9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형분 함량은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착색도는 Y90-9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낮게 나타나 좋았으며 자외부흡수는 Y90-2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낮게 나타나 쓴맛이 가장 적을 것으로 추측되고 환원당 함량은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았던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나 단맛이 가장 강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산 중 함량이 가장 많은 succinic acid는 Y90-9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감칠맛 성분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좋지 않은 신맛에 기여하는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시판효모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대표적인 유리당성분 maltose와 glucose는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았던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Alcohol 10종, Ester 19종, Acid 8종, Aldehyde 1종, 기타 1종으로 39종이 검출되었고 Y18-2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에서는 ethanol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데 반해 Y18-2와 Y90-9를 사용한 발효주에서는 ester류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찹쌀 발효주에서 효모 종류에 따른 향기성분의 많은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주 제조 시 원료, 담금 방법 및 발효 조건 등을 최적으로 맞 추고 향기성분 생성이 우수한 효모를 사용한다면 색, 맛과 함께 향미가 우수한 찹쌀발효주가 제조되리라고 여겨지며 관련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 최신양;조경현;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79-784
    • /
    • 2006
  • 기능성 강화를 목적으로 키토산 0.2%, 송이버섯 1.0%, 석류분말 1.2%, 산사추출분말 1.0%, 실크분말 1.2%, 은행잎추출분말 0.01%, 동아분말 1.2%, 마늘유 0.2%, 홍국분말 1.2%를 각각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소재가 고추장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45일간의 숙성 기간별 pH, 산도, 포르몰태 질소함량, 색도의 변화는 소재 첨가구와 control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활성은 0.2%의 마늘유 첨가구가 control에 비해 약 2배 증가하였고 ACE저해활성은 1.2%의 실크분말 또는 0.01%의 은행추출분말 첨가 시 control에 비해 약 2배의 효과가 있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DNA Encoding Two Novel Heat-shock Factor OsHSF6 and OsHSF12 in Oryza Sativa L.

  • Liu, Jin-Ge;Yao, Quan-Hong;Zhang, Zhen;Peng, Ri-He;Xiong, Ai-Sheng;Xu, Fang;Zhu, Hong
    • BMB Reports
    • /
    • 제38권5호
    • /
    • pp.602-608
    • /
    • 2005
  • As a crucial transcription factor family, heat-shock factors were mainly analyzed and characterized in tomato and Arabidopsis. In this study, we isolated two putative heat shock factors OsHSF6 and OsHSF12 that interact specifically with heat-shock element (HSE) from Oryza sativa L by yeast one-hybrid method. The full-length cDNA of OsHSF6 and OsHSF12 have 1074bp and 920bp open reading frame (ORF),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revealed that OsHSF6 was a class A heat shock factor (HSF) with all the conserved sequence elements characteristic of heat stress transcription factor, while OsHSF12 was a class B HSF with C-terminal domain (CTD) lacking of AHA motif. Bioinformatic analysis showed that the sequences and structures of two HSFs' DNA binding domain (DBD) had a high similarity with LpHSF24. The results of RT-PCR indicated OsHSF6 gene was expressed immediately after rice plants exposure to heat stress, and the transcription of OsHSF6 gene accumulated primarily in immature seeds, roots and leaves. However, we did not find the transcription of OsHSF12 gene in different organs and growth periods. Our results implied that OsHSF6 might be function as a HSF regulating early expression of stress genes in response to heat shock, and OsHSF12 might be act as a synergistic factor to regulate the expression of down-stream genes.

OsHSF7 gene in rice, Oryza sativa L., encodes a transcription factor that functions as a high temperature receptive and responsive factor

  • Liu, Jin-Ge;Qin, Qiu-lin;Zhang, Zhen;Peng, Ri-He;Xiong, Ai-Sheng;Chen, Jian-Min;Yao, Quan-Hong
    • BMB Reports
    • /
    • 제42권1호
    • /
    • pp.16-21
    • /
    • 2009
  • Three novel Class A genes that encode heat shock transcription factor (HSF) were cloned from Oryza Sativa L using a yeast hybrid method. The OsHSF7 gene was found to be rapidly expressed in high levels in response to temperature, which indicates that it may be involved in heat stress reception and response. Over-expression of OsHSF7 in transgenic Arabidopsis could not induced over the expression of most target heat stress-inducible genes of HSFs; however, the transcription of some HSF target genes was more abundant in transgenic plants following two hours of heat stress treatment. In addition, those transgenic plants also had a higher basal thermotolerance, but not acquired thermotolerance.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OsHSF7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sponse to high temperature. Specifical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sHSF7 may be useful in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monocots that can over-express protective genes such as HSPs in response to heat stress, which will enable such plants to tolerate high temperatures.

Molecular Analysis and Expression Patterns of the 14-3-3 Gene Family from Oryza Sativa

  • Yao, Yuan;Du, Ying;Jiang, Lin;Liu, Jin-Yuan
    • BMB Reports
    • /
    • 제40권3호
    • /
    • pp.349-357
    • /
    • 2007
  • The ubiquitous family of 14-3-3 proteins functions as regulators in a variety of physiological processes. Eight rice 14-3-3 genes, designated OsGF14a through h, were identified from an exhaustive search of the genome database. Comparisons of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reveal a high degree of identity among members of the OsGF14 family and reported Arabidopsis 14-3-3 proteins. A phylogenetic study indicates that OsGF14s contain both $\varepsilon$ and non-$\varepsilon$ forms, which is also confirmed by a structural analysis of OsGF14 genes. Furthermore, transcripts of OsGF14b, OsGF14c, OsGF14d, OsGF14e, OsGF14f and OsGF14g were detected in rice tissues. Their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the different effects of environmental stresses and plant hormones on their transcription levels, and the different complementary phenotypes in yeast 14-3-3 mutants not only indicates that OsGF14s are responsive to various stress conditions and regulated by multiple signaling pathways, but also suggests that functional similarity and diversity coexist among the members of OsGF14 family.

벼(Oryza sativa L.)의 leuD 유전자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of leuD Gene in Rice (Oryza sativa L.))

  • 이은탁;강상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772-777
    • /
    • 2007
  • 식물의 루이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3-isopropylmalate isomerase (IPMI) (EC 4.2.1.33) 효소의 소단편을 암호화는 Leucine D유전자를 벼로부터 분리하고 OsLeuD유전자로 명명하였다. OsLeuD유전자는 257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으며 cyanobacteria의 IPMI 단백질과는 약58% 그리고 green sulfur bacteria들의 IPMI 단백질과는 약48%의 상동성을 갖고 있었다. 벼의 OsLeuD 유전자는 japonica벼 (Oryza sativa L.)의 2번 염색체의 26.45 Mb의 위치로서 109.3 cM 거리에 좌위하고 있었다. OsLeuD유전자는 잎과 성숙하는 종자에 많이 발현이 되었으므로 대사가 급증하는 발생단계 에 발현이 조절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OsLeuD유전자와 단백질은 균류와 yeast 보다 광합성 박테리아의 유전자와 높은 동질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OsLeuD유전자는 식물의 엽록체 유전자 genome 에서 기원하여 핵 genome으로 이동 진화된 유전자로 추측된다.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 시 벼에서 OsABF3 유전자 분리와 ABA 신호전달 대한 연구 (Studies on OsABF3 Gene Isolation and ABA Signal Transduction in Rice Plants Against Abiotic Stress)

  • 안철현;박훤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1-577
    • /
    • 2017
  • ABA는 식물에서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 내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식물 호르몬이다. 애기장대의 group A bZIP 전사인자는 ABA 신호전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벼에서는 group A bZIP 전사인자의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벼에서 group A bZIP 전사인자인 OsABF3(Oryza sativa ABA responsive element binding factor 3)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벼의 다양한 조직과 다양한 스트레스(가뭄, 염분, 저온, ABA, 산화 스트레스)에 따른OsABF3발현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maize의 원형질체에서 GFP fusion 벡터를 사용한 세포 내 위치 분석을 통해 OsABF3가 핵단백질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Yeast one-hybrid 실험을 통해 OsABF3의 C-terminal 부분이 ABREs에 결합한다는 것과 N-terminal 부분이 하위 유전자의 transactivation 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T-DNA가 삽입된 OsABF3의 homozygous 돌연변이체가 야생형과 과발현체에 비해 발아와 발아 후 단계에서 고농도의 ABA에 대한 민감도가 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합해 볼 때 OsABF3는 ABA의 의존적인 경로를 통해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전사 조절자이다. 또한 OsABF3의 transactivation을 측정하는 실험에 있어서 억제 domain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미생물 첨가와 사일로 밀도가 총체벼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bial Additives and Silo Density on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Indices,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Rice Silage)

  • 주영호;정승민;서명지;이성신;최기춘;김삼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6-1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첨가제와 사일로 밀도가 총체벼 곤포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미생물 첨가와 사일로 밀도는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INO 시험구에서 lactate 함량, lactate와 acetate 비율 및 LAB는 감소하였고, propionate 함량, yeast 및 호기적 안전성은 증가하였다. 사일로 밀도는 pH와 lactate 함량에 영향을 미쳤으나, 처리 구간 차이는 매우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L. brevis 5M2와 L. buchneri 6M1을 포함한 혼합형 LAB 첨가제 사용은 총체벼 곤포 사일리지의 호기적 안전성 개선에 유리하며, 사일로 밀도는 베일 압력이 430~770 kgf/cm2일 때 정상적인 사일리지 발효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전분 분해효소를 이용한 현미 알콜발효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with Brown Rice Using Raw Starch-Digesting Enzyme)

  • 이오석;정용진;하영득;김경은;신진숙;권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12-41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무증자 알콜발효조건을 설정하고자 반응표면분석으로 알콜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무증자 알콜발효에 적합한 S. cerevisiae GRJ를 선발할 수 있었다. 알콜함량, brix, pH 및 총산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각각 0.8828, 0.8409, 0.9431 및 0.9280이였다. 무증자 알콜발효에서 알콜함량의 최대치는 효소제 함량 0.34%(w/w) 및 가수량 350(v/w)의 범위에서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실제 실험값과 예측값들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xpression of a rice DREB1 gene, OsDREB1D, enhances cold and high-salt tolerance in transgenic Arabidopsis

  • Zhang, Yang;Chen, Chen;Jin, Xiao-Fen;Xiong, Ai-Sheng;Peng, Ri-He;Hong, Yi-Huan;Yao, Quan-Hong;Chen, Jian-Min
    • BMB Reports
    • /
    • 제42권8호
    • /
    • pp.486-492
    • /
    • 2009
  • OsDREB1D, a special DREB (dehydration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homologous gene, whose transcripts cannot be detected in rice (Oryza sativa L), either with or without stress treatments, was amplified from the rice genome DNA. The yeast one-hybrid assay revealed that OsDREB1D was able to form a complex with the dehydration responsive element/C-repeat motif. It can also bind with a sequence of LTRE (low temperature responsive element). To analyze the function of OsDREB1D, the gene was transformed and over-expressed in Arabidopsis thaliana cv. Columbia.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expression of OsDREB1D conferred cold and high-salt tolerance in transgenic plants, and that transgenic plants were also insensitive to ABA (abscisic acid). From these data, we deduced that this OsDREB1D gene functions similarly as other DREB transcription factors. The expression of OsDREB1D in rice may be controlled by a special mechanism for the redundancy of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