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policy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사의 내부지향적 정책, 사회적지지 및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nal Oriented Policy, Social Support, and Job Embeddedness by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 김중경;이선주;김원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9-9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내부지향적 정책, 사회적지지 및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D광역시에 위치한 2개 대학병원 간호사들이며, 자료 수집은2018년 10월 2일부터 2019년 3월 20일 까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내부지향적 정책은 3.04점, 사회적지지는 상사 3.08점, 동료 3.81점, 가족 3.67점이었고, 직무배태성은 2.98점, 이직의도는 3.55점이었으며, 내부지향적 정책, 사회적지지 및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서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임상경력과 근무부서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임상경력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고, 근무부서는 외과병동, 내과병동, ICU, OR순으로 이직의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중재방안으로 병원 내부지향적 정책, 사회적지지 및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적극적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변지역 농업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청조 말부터 현재까지를 중심으로 - (Research About Agricultural Change in Yanbian Area: from the Later of Qing Dynasty to the Current)

  • 김석주;남설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3-104
    • /
    • 2008
  • 이 논문은 연변지역의 농업 변화과정을 일제시기, 사회주의시기, 개혁개방시기 등 3개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 연변지역의 농업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시계열적으로 변화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시기 연변의 농경지는 이민정책, 자작농창정, 집단부락건설 등의 형식으로 일제의 수중에 집중되면서 자신들의 전쟁 수요와 국내 수요에 따라 농작물 재배를 통제할 수 있고 또한 농작물을 마음대로 약탈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전형적인 주변부 특징을 띠고 있었다. 둘째, 사회주의 시기 연변지역은 농촌의 인민공사화를 실현함에 따라 토지는 전부 국가소유로 되었다. 이와 같은 토지의 국가 소유는 농업생산에 있어 강력한 국가의 개입을 가능케 하였다. 그리하여 당시 계획경제체제 하에서 농업생산은 시장 논리에 의해 좌우된 것이 아니라 식량생산만을 중요시하는 '이양위강(以糧爲綱)'정책의 영향으로 농업 내부에 있어 경작업만 중요시하고 경작업 내부에서도 식량생산만을 중요시 하여 풍부한 자연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셋째, 개혁개방 이후 농촌에서 호도거리책임제를 실시함에 따라 농민들이 토지를 장기간 임대할 수 있게 되어 농민들의 생산의지가 크게 고양되었다. 게다가 사회주의 상품경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이함에 따라 시장의 수요에 따라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연변지역의 농업은 전통적인 식량작물 생산 위주에서 점차 다각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PDF

여성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of Female Occupational Therapist)

  • 이재홍;송예원;차태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84-492
    • /
    • 2017
  • 여성 작업치료사의 직무와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여 근무환경 개선, 직무 스트레스 인식, 성희롱 예방교육 및 여성의 작업치료사의 장기간 경제활동 참여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환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현재 작업치료사로 근무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신된 185부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의 주요 항목은 '하는 일에 비해 보수가 적다고 느낄 때가 있다.', '근무로 인해 피로를 느낀다.', '치료 이외의 것까지 신경써야할 때가 있다.' 순으로 나타났다. 근골격계 통증은 손목과 손(90%), 어깨(86%), 목(69.7%), 허리(68.6%)순으로 나타났으며, 손목과 손(63%), 어깨(62.2%), 허리(51.9%)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상태였다. 언어적 성희롱 경험은 71.4%에 이르고 있었으며, 신체적 시각적 성희롱은 48.6%가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항목에서는 '개인과 일의 사이에서 곤란하지 않다.'가 61.1%로 가장 많았으며, 직장상사의 긍정적인 지원(54.6%), 직장동료와의 유대관계유지와 감정 공유(73.%)등의 긍정적 응답이 많았다. 여성 작업치료사들이 겪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근골격계 통증, 성희롱 등의 효과적인 대처방법 마련 및 업무 환경 개선이 시급 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이를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노인요양시설 입소자들의 의료적 요구에 대한 간호직 종사자들의 관리 경험 (Nursing Staffs' Experiences of Managing Medical Needs of the Elderly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 박민정;서은영;이정면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9-421
    • /
    • 2013
  •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and describe the nursing staff reported experiences of managing the medical needs of nursing home residents in South Korea. Methods: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12. Twenty five registered nurses and nurse aids working in nursing homes were recruited through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one of four focus group interviews lasted up to two hours in which their day-to-day experiences of taking care of the medical needs of the elderly resident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verbatim,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using MAXQDA software. Results: The overriding theme was 'experiencing differences between the requirements of the regulatory system and the actual reality of the work place.' The findings of differences between what were true and what is required was based in four subcategories. The nursing home residents had far more medical needs than what were reported. Another finding was that the family members were seen as non-supportive and negligent towards the resident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 the need for changes in the regulatory system. The regulatory limitations of current system with a shortage of resources pushed the participants to experience discrepancies between the required regulation and the reality. Additional research could contribute more exemplars to support changes.

빈곤노인의 미충족 의료와 관련된 융합적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the Unmet Health Needs of the Indigent Elderly)

  • 박선주;이원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21-229
    • /
    • 2017
  • 이 연구는 빈곤층 노인의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11년 한국의료패널이며 Anderson모형에 기초하여 각 요인에 속하는 변수들을 선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해 일반적 특성을, 교차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빈곤층 노인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소인성 요인에서는 무학 및 초등학교 졸업 노인이 고졸이상 학력의 노인보다 약 1.5배 이상 높았다. 가능성 요인에서는 수입목적으로 일하지 않은 노인과 고용주 자영업자 노인이 무급가족종사자보다 1.5배 이상 높으며, 필요요인에서는 일상 활동에 제한을 받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2.9배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빈곤층 노인의 의료 이용시 경제적 부담 증가가 빈곤층 노인의 미충족 의료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복지분야의 간호활동실태 및 간호수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tivities and Demand on Welfare Nursing in Korea)

  • 김영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3-215
    • /
    • 1996
  • Social security is concerned with ensuring all citizens maintain basic needs, community health nursing maintains and promotes health for all community members. Lately, This new area of community health nursing, concern social welfare has increas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analysis the activities of nurse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institutes, second, to estimate nursing demand for social welfare areas. The study methods used were as literature review, an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nd case study etc. The analytical framework also included a demand analysis of nursing manpower in community social welfare area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Employees which work at social welfare institutes number 55,464, nursing manpower (including nurse aids) number 1,458 and this is 3% of the total employees. Within nursing manpower, nurses number 780, nurse aids number 670. 2. The rates of nurses among total employees were high in institutes for mental disorders and institutes for the age. 3. The salary level of nurses was lower than average and the rates of retirement showed a roughly middle level in welfare institutes. 4. The satisfaction level of nursing services was high, and it is the trend that nurses substitute for nurse aids which retire at social welfare institutes. 5. Nurse demand that follows legal criteria is 2,221, but only 35% are working. It is therefore insufficient from the minimum of 733 to a maximum 1433. 6. The sufficiency rates by institution were high at institutes for vagrants, aged and the handicapped. In conclusion, the conditions are of nurses which are working in with the social welfare institutes are poor. Also the number of nurses compared rates of demand were in surplus. But, the basic direction of welfare policy is universal-preventive and provision of the family and of community centered service, and nursing service demand in the social welfare institute will increase continuously, we predict. Therefore, we will need a positive plan such as the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struction of a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etc.

  • PDF

장애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Everyday life difficul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CQR) research)

  • 이현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61-570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에서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재가 장애인 8명을 심층면접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4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8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심리 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은 자신감 결여, 건강문제 염려, 결혼(재혼) 및 이성문제, 가족관계 어려움, 외로움, 노후문제 염려로 나타났다. 사회 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관계의 어려움, 생계문제, 출산 양육문제, 직장생활 어려움, 외출 시 번거로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종교기관 모임, 지역사회체계 이용,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다자녀의 부모로 살아가기: 세 자녀 부모의 다자녀 양육에 대한 생각과 역할 형성 (Construction of Thoughts and Roles of Parents with Multiple Children)

  • 권영인;최지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4호
    • /
    • pp.83-10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verse points of view to understand the low fertility issue of Korean society. For th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married couples(28 persons) all raising three children.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overall family and work life, child care role performance, thoughts about child rearing, and their sociocultural context. Interview data were explored based on 6 analyzing steps offered by S, J, Talyor and R. Bogdan(1984). Mos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rmed positive perceptions about having three childre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ir attitude of not worrying too much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as well as child caring contexts around them. Parents' perception about having three children was also linked with their child care role construction process. In detail, parents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s tended to increase their level of child care involvement. This was particularly true for fathers. Mother and father's job situation emerged as an important factor to shape their child care involvement. In addition, child care attitude of people around them explained father's child care involvement. Applying these qualitative results, we first expect to provide detailed ideas about lives with three children in Korea. Second, based on our study findings, a more realistic and helpful policy to help the low fertility problem could be developed. Lastly, we also hope to provide helpful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bout low fertility issues of Korea.

여성임금과 출산력 (Women's Wage and Childbearing)

  • 최슬기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29-53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여성 임금과 출산율의 관계를 미국자료(NLSY79)를 통해 분석하였다. 여성임금은 사회학적 시각에서는 역할충돌을 완화하는 기제로, 경제학적 시각에서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가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분석 결과, 여성의 시간당 임금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의 관계를 보인 경우는 대졸여성의 자녀수와 그녀의 2년 전 시간당 임금의 경우 뿐이었다. 연령대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부의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산형 위험모델을 통한 분석결과, 이러한 관계는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졸이하의 여성은 임금이 상승할 때 출산을 줄이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그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은 임금이 상승할 때 오히려 출산을 늘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고소득이 기대되는 고등교육을 바진 여성에게서만 임금상승이 역할 충돌을 완화하는 작용을 성공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임금상승의 의미가 저학력 여성에겐 대체효과가 더 크고, 고학력 여성에겐 소득효과가 더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출산을 미룬 대졸여성들에겐 노동시장에서 성공이 출산에 긍정적 관계를 갖는다는 의미를 보여준다.

  • PDF

간호사의 삶에 대한 가치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에 따른 차이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lues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nurses)

  • 이현숙;김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7-22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사 세대별 삶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사 세대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X-세대, Y-세대, Z-세대 간호사 29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간호사 세대별 가치관의 차이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X-세대와 Y-세대 간호사들은 삶에서 가족생활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였고, 그 다음으로 X-세대는 일을, Y-세대 간호사는 여가시간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반면, Z-세대 간호사들은 삶에서 여가시간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X-세대와 Y-세대 간호사들은 직업생활에서 우울과 심리적 부담감이, Z-세대 간호사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이직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간호사 세대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일하는 간호조직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