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land buria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수목장림의 조성 및 관리 방안 - 인천가족공원을 대상으로 - (Construction and Management Directions of Woodland Burial Forest -Case Study of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

  • 오충현;김용훈;이숙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2
    • /
    • 2010
  • As social environment of Korea was changing, the cremation is increased instead of traditional funeral culture. Therefore woodland burial appears new funeral culture in Korea. This research had been executed to find ou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of woodland burial forest. The case study was worked at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which was national pilot projec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were surveyed in slope, soil compaction, actual vegetation, vegetation communities,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nd so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didn't consider the damage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environment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Problems for the Law on funeral facilities of Korea is a lack of natural friendly standards for slope, management 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facilities for users in it. It had steep topography, soil compaction, reduction of species diversity and poor plant growth on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Therefore the users of it increase in the future, vegetation environment of woodland burial will be devastated. And so we need to improve standards of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 settle down burial culture of woodland burial in Korea.

GIS 기반의 제한지역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장림 입지가능규모 산정 (Estimation of the Availability of National Woodland Burial Ground through GIS-based Limited Area Analysis)

  • 문창순;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6-43
    • /
    • 2018
  • 우리나라는 '산림복지'를 정식으로 정책 대상에 포함시키거나 학술용어로 활용하고 있으며, 산림청은 출생부터 사망까지 각 생애주기에 적합한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국민들도 산림복지서비스 및 정책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수목장을 비롯한 자연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국유수목장림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목장림의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립 수목장림은 1개소에 불과하다. 자연휴양림 등 다른 산림복지시설들은 지정 또는 조성계획 승인 전에 관련법에 따른 타당성 평가를 거치지만, 수목장림은 타당성 평가 등의 제도는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수목장림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수목장림 적정입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서 GIS를 활용해 법적 제한지역을 분석하고, 국유림 내 수목장림 입지 가능지역 규모를 파악하였다.

수목장림 입지 평가기준 설정 연구 (Development of Site Evaluation Criteria for Woodland Burial Grounds)

  • 문창순;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30
    • /
    • 2019
  • 수목장을 비롯한 자연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국립수목장림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목장림의 입지 선정을 위한 평가요소를 마련하고, 가중치 적용을 통해 수목장림 조성에 도움이 되는 입지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해 다른 산림복지시설과 유사한 산림시설, 기타 시설들에 대한 입지선정 검토요소를 분석하여 74개의 예비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3그룹의 전문가집단(국가 지자체 공공기관 산림복지시설 담당자, 관련분야 연구자, 수목장림 민간 전문가)의 예비평가요인 검토를 거쳐 2개 대분류, 6개 중분류, 22개 소분류의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평가요인은 2차 선호도 조사를 위해 계층화 하였다. 먼저 산림환경과 인문환경으로 대분류하고, 각각 3가지 항목으로 중분류 후에 다시 한 번 각각 소분류하여 1차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를 활용해 계층화된 요인별 중요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평가요인을 활용하여 입지평가 기준표를 마련하고, 각 계층별 중요도를 적용하였다. 이를 후보지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국립수목장림과 선행연구에서 국립수목장림 후보지로 검토하였던 9개소 등 10개소를 대상으로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울산 울주, 전남 순천, 세종 장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of Users of Public Nature Burial and Cremated Bodies Using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the Capital Area through the Funer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Activation Plan of the Public Nature Burial

  • Choi, Jae-si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123-130
    • /
    • 2019
  • In the study, we suggest that the activation plan of the public nature burial in the capital area through funeral information system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social survey announc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December 2017, the Korean people's preference of nature burial was 43.6% while the actual utilization rate of national nature burial in 2017 was only 8.8%, which showed a huge gap between preference and utilization rate of nature burial. Therefore, through the activitie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nature burial by performing the national promotion and education, and also the investment for the expansion or improvement of nature burial facilities in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 preference of nature burial should be led to the actual demand. Second, during the period from 2011 to 2018, the utilization rate of public nature burial in the capital area was annually increased by average 26.9%, which showed the huge increase of demand for nature burial. Thus,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carry forward the policies for expanding the supply of public nature burial focusing on the woodland burial showing the high preference of users of public nature burial. Third, even though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or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in the capital area, Seongnam City without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should install the public nature burial for the enhancement of users convenience by providing the One Stop Total Funeral Service.

수목장지 유형별 만족도 조사 분석에 따른 활성화 방안 제안 (A Activation Plan Sugges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among the Types of Tree Burial Sites)

  • 권병석;우재욱;박원경;변우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87-298
    • /
    • 2014
  • 본 논문은 수목장의 활성화 방향을 제언하기 위한 연구로서 수목장지의 유형별로 만족도를 비교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목장지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사례지를 선정하여 방문자 414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목장지 간 만족도 비교를 통해서 국민들이 공설 수목장지를 사설 수목장지에 비하여 선호하고, 그 중에서도 자연산림에 조성된 수목장지를 가장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선호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공설 수목장지 조성을 활성화 하고, 특히 자연산림에 조성하는 수목장지의 확대가 중점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수목장에 대한 일반적 시민의식에 대한 문항을 통해서는 편의시설에 대한 낮은 만족도, 사설 수목장지의 이용가격과 공신력에 대한 낮은 만족도, 추모목의 안정적 성장환경에 대한 강한 수요가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대책이 필요하였다. 반면 수목장지 이용 경험자의 수목장지 추천의향과 본인이 수목장을 하겠다는 의향이 높게 나타나 수목장 확산의 밝은 전망도 확인하였다.

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Converting Lands that are damaged by Graveyards into Tree Burial Sites in order to Restore Green Areas)

  • 우재욱;변우혁;김학범;박원경;김민수;노슈하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9-80
    • /
    • 2012
  • 본 논문은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과 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황에서 산지묘지에 수목을 식재하여 수목장지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묘지 훼손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 9개 지역 205기의 묘지를 답사하여 묘지의 평균 가로, 세로 길이와 인접수목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묘지 관리를 위해, 수목을 제거한 면적을 포함한 전국의 묘지 훼손지 면적이 약 $862km^2$에 달해 묘지로 인한 국토 훼손 문제가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수목장지 조성방법은 국민수요 요인을 묘지 공간의 특수성에서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를 관점으로 고찰하여 전환 정도, 조성 기간에 따른 조성기법을 제시하고, 인접수목 분포에 따라 묘지 유형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인접 수목이 있는 면은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고, 인접수목이 없는 면은 경관성 위주의 수종을 식재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수목의 안정적 생장과 추모지 경관을 조화하는 식재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조성방법을 적용하여 용인과 보령에 2개소의 시범지를 조성하였다. 개활지에 위치한 용인 수목장지는 경관성 위주로 수종을 식재하였고, 숲 내부에 있는 보령 수목장지는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여 용인 수목장지는 정원과 같은 이미지를 보이고, 보령 수목장지는 숲과 조화된 수목군의 이미지를 보여 인접수목의 분포에 따른 식재기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시범지에 대한 모니터링에서는 용인 수목장지에서 목재칩 멀칭에 의해 잡초류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모습을 보여, 접근이 용이하고 면적이 작은 묘지는 멀칭을 통해 효과적으로 잡초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재된 11개 초종의 생장과정을 통해 키가 낮고 토양피복도가 높은 종이 수목장지의 지표경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령 수목장지에서는 성목 식재한 산벚나무가 모두 고사하고, 지피식생으로 식재한 맥문동의 분얼도 활발하지 못하여 접근이 어렵고, 면적이 넓은 산지묘지는 성목식재보다는 유묘식재를 하고, 잔디를 존치하고 수관이 확장한 후에 내음성 지피식생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