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en product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8초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 출토 직물류 및 목제 빗의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Archaeological Textiles and Wooden comb Excavated from Hapgang-ri, Dong-myun, Yungi-gun, Chungcheongnam-do)

  • 조남철;김우현;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9-334
    • /
    • 2014
  • 고대 섬유의 과학적 분석은 그 시대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 및 각 지역의 직물문화, 제직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수침 고목재의 수종분석은 보존처리 방법의 설정뿐만 아니라 당시의 수목환경, 목제품의 종류에 따라 선호되던 수종, 외래수종을 통한 당시의 교역 교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과학적인 분석방법이다.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에서 청동합 내 부장상태로 출토된 직물류와 목제 빗에 대하여 섬유 및 수종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직물1과 직물3은 쐐기풀과(Urticaceae)의 저마(Boehmeria nivea ; Ramie), 직물2는 아욱과(Malvaceae)의 면(Gossypium herbaceum), 목제 빗은 자작나무과(Betulaceae) 자작나무속(Betula spp.)으로 식별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고대 섬유 및 수종을 확인하여 비교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Metofluthrin계 방의제의 전통 목조건축물 적용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to Metofluthrin-based Termiticide for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 윤새민;박용건;정진영;황원중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79-6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목조건축물 적용을 위하여 살충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metofluthrin을 주성분으로 한 약제의 방의효력 및 단청 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약제의 흰개미 사충효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로 희석한 약제에 흰개미를 7일간 노출하였다. 그 결과, 약제 희석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약제의 사충효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통 목조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단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약제 도포 횟수에 따른 단청의 재색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희석 배율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2 종류의 안료(분, 주홍)에서만 색차 값이 3.0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즉, 대부분의 안료가 단청 재색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목재 적용 시 약제의 흰개미 방의효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0배와 20배 희석액을 도포한 시험편은 각각 2.83%, 6.28%로 낮은 질량감소율을 보였으며, 10배 희석액은 3% 미만의 질량감소율로 방의제 성능 기준을 충족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된 metofluthrin계 약제는 다양한 단청안료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뿐만 아니라 국내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Reticulitermes speratus에 방의효력을 갖기 때문에 국내 전통 목조문화재의 보존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북 청도 지역 19세기 고택의 기둥의 크기와 수종 식별 (Dimensional Characteris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 of Posts in the 19th century Houses in Cheongdo, Korea)

  • 엄영근;오세창;허광수;김삼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77-183
    • /
    • 2009
  •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4곳의 고택을 답사하고 기둥의 특징을 분석함과 아울러 기둥 부재 시료를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기법을 사용하여 수종 식별을 실시하였다. 기둥은 직경(또는 한 변의 길이)과 배치 간격, 높이 등이 서로 관련성을 갖는데 기둥 사이의 간격에 따라 보통 기둥의 직경과 기둥의 길이를 기본단위로 하여 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수종 식별 결과 3곳의 고택에서는 침엽수 목재가, 1곳의 고택에서는 활엽수 목재가 확인되었다. 이중 활엽수 목재는 밤나무이고 침엽수 목재는 모두 소나무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전통적으로 목구조부재로 소나무가 많이 사용되었다고는 하나 일부 활엽수재도 구조용재로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목조주택 내 마감자재에 따른 카르보닐화합물의 방산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Carbonyl Compounds Depending on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in a Wooden House)

  • 이희영;박상범;강영석;이상민;박종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2-18
    • /
    • 2009
  • 본 연구는 실내마감자재가 실내공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목재주택 내 친환경 마감자재로 처리한 시험실 내부의 카르보닐화합물의 방산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포름알데히드, 아세톤 및 헥사알데히드가 카르보닐화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이 중 포름알데히드가 25.6~30.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시험실 R2-2를 제외한 모든 시험실에서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이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치 이하를 나타내었고, 아세트알데히드의 경우 시험실 R1-3을 제외한 나머지 시험실에서 일본 후생노동성에서 제시한 기준($48{\mu}g/m^3$)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토벽지를 사용한 R1-1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방산량을 나타내었고, 대나무숯 패널을 설치한 R2-2에서 모든 카르보닐화합물에 대해 높은 방산량을 나타내었다. 편백으로 치장한 거실인 시험실 R1-3은 나머지 시험실에 비해 아세톤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낮은 포름알데히드와 카르보닐화합물 방산량을 나타내었다.

전통 마감제인 명유의 방미효력 평가 (Evaluation of Anti-Stain Efficacy of Myoung-oil, Traditional Coating Agent)

  • 윤새민;박용건;전우석;이현미;황원중;남기달;박재관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5-5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현한 전통 명유, 전통 명유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개발한 크린 명유, 그리고 명유의 원료이자 현재 목조문화재를 보수할 때 단청의 마감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들기름의 방미효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생들기름은 방미효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두 종류의 명유는 모두 높은 성능의 방미효력을 보였다. 하지만, 명유를 천연용제인 테르펜유에 희석하여 사용하면 균주에 노출된 지 4주 만에 방미효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재에 처리된 약제의 함량이 명유의 방미효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목조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명유가 들기름보다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마감제로 더 적합하며, 야외 환경에서의 곰팡이 성장 억제를 저해 할 수 있는 최적의 처리량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명유의 적용 가능성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Field Application of an Ultrasonic Testing for Reconstructing CT Images of Wooden Columns

  • Lee, Sang-Joon;Park, Chun-Young;Kim, Kwang-Mo;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48-154
    • /
    • 2009
  • This research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using an ultrasonic test to reconstruct CT images of an ancient wooden building. Most of the columns in the building are severely deteriorated due to termite attacks or the effect of weathering. Ultrasonic CT images of the columns were used to create highly accurate digital reconstructions, despite a lack of the data caused by parts of the building walls being buried. Another semi-NDE technique, a drilling test based on resistography, was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ultrasonic test results. The discrepancy in detection between two method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 The performance of the ultrasonic test was hindered by poor surface conditions and this technique tended to over-estimate the size of cavities produced by termites or other insects. Nevertheless, the deterioration detected was in many ways congruent with the drilling test results

DNA Microarray Probe Preparation by Gel Isolation Nested PCR

  • Wang, Hong-Min;Ma, Wen-li;Huang, Hai;Xiao, Wei-Wei;Wang, Yan;Zheng, Wen-Ling
    • BMB Reports
    • /
    • 제37권3호
    • /
    • pp.356-361
    • /
    • 2004
  • To develop a simplified method that can rapidly prepare DNA microarray probes in a massive scale, a lambda phage genomic DNA-fragments library was constructed for the microarray-probes collection. Four methods of DNA band recovery from the first PCR products were tested and compared. The DNA microarray probes were collected by a novel method of nested PCR that was mediated by gel isolation of the first PCR products. This method was named GIN-PCR. The probes that were prepared by this GIN-PCR technique were used as subjects to fabricate a DNA microarray. The results showed that a wooden toothpick was superior to the other 3 methods, since this technique can steadily transfer the DNA bands as the template of the second PCR after the first PCR. A group of probes were successfully collected and DNA microarrays were constructed using these probes. Hybridiz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this technique of DNA recovery and probe preparation was rapid, efficient, and effective. We developed a cost-effective and less labor-intensive method for DNA microarray probe preparation by nested PCR that is mediated by wooden toothpick transfer of the DNA bands in the gel after electrophoresis.

백제시대의 목공예 연구 (A Study on Woodcraft in Baekje)

  • 조숙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9-147
    • /
    • 2014
  • This paper researched the woodcraft in the Baekje kingdom since the study on the Baekje furniture has not been established due to the absence of the artifacts or remains related to the furniture in the Baekje period. Accordingly, the study focused on the excavated Baekje wooden products and wood crafts on the basis of ancient documents and investigated the ancient documents supposedly related to the Baekje furnitur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and Japan Scribe.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oodcraft materials were wood, whagak, ivory, silver, gold and they were domestic or imported. Secondly, the woodcraft was finished naturally or lacquered with black or red color or varnishing with lacquer. Thirdly, the kinds of furniture used in the Baekje were a desk, a small portable dinning table, a table and folding stool. Even though there has been no heritage of the Baekje furniture and woodcraft and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r give an example of the Baekje furniture in detail, this study seems to be significant now that it researched the documents and related artifacts or remains which could give some hints or hypothesis of the furniture and woodcraft in the Baekje. What is more, there have been no sound studies on the Baekje furniture.

  • PDF

목조 구조물 접합부의 강성에 대한 근사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Analysis Model for Approximate Evaluation of Stiffness for Semi-Rigid Connection of Wooden Structures)

  • 조소훈;이헌우;박문재;김태진;김종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93-100
    • /
    • 2015
  • 현대 목조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접합철물인 연결재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목조 구조물에서 다수의 연결재를 사용한 접합부는 반강접 접합부를 만든다. 목조 구조물에 접합부가 핀접합으로 설계될 경우에 접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과소 평가되고 이것은 접합부의 저항능력 부족을 초래한다. 목조 구조물의 접합부를 완전 강접합으로 고려할 경우에 접합에 필요한 접합철물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 할 수 있다. 이것은 미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접합부의 합리적인 강성에 대한 추정은 목조 구조물의 합리적인 접합부의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논문은 목조 구조물의 구조설계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2면 전단접합에 대하여 구조설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접합부의 근사적인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해석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근사해석 모델링 기법은 휨 모멘트, 인장에 대한 실험 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