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a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are devided by the span-units which is the automatic result of the timber 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ays plan type change when the number of span changes. One village named Bangchon in Honan Province was selected where we investigated more than 30 houses ranging from 3 span to 6 span. It is identified that there were certain rules which govern the plan change when number of span change. When one span is added onto 3 span houses, wooden floor of one span is added in between the two ondol-rooms. When one span is added onto 4 span houses, kitchen is enlarged. When one span is added onto 5 span houses, wooden floor is enlarged into 2 span, Also the plan of Man's quarter(Sarang-cha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Lady's quarter. The research proves that such rules of plan change need to be considered as a basic standard of analysis when traditional houses are to be studied.
This study examines on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purlin and beam at Wooden Architecture in Joseon Dynasty($1372{\sim}1910$). Through the investig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purlin and beam is the technique utilizing tenon joint(통장부맞춤), Sungeoteok joint(숭어턱맞춤), dovetailed tenon joint(주먹장맞춤). And the methods of tenon joint is followed by the Sungeoteok joint, which is used in the buildings after middle Joseon dynasty. The method of tenon joint(통장부맞춤) is to connect the beam with the purlin by carving out the head of the beam as '一' shape. And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Janghyeo(장혀, timber under purlin) and beam is halved joint(반턱맞춤) and tenon joint (통장부맞춤). The buildings in lat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adopted the method of tenon joint between purlin and beam. The method of Sungeoteok joint is to connect the beam with the purlins by carving out the head of the beams '凸' shape. And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Janghyeo and beams is halved joint(반턱맞춤) and tenon joint(통장부맞춤), the method of tenon and step joint(통장부턱맞춤), dovetailed joint between beam and Janghyeo to increase the security of shear fo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of wall posts in pit-houses in the Bronze Age, in the Kyung-nam Province. Wall posts were found as post-holes, created after wooden posts had decayed. In this research, the role of wall posts is newly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onstruction engineering. While existing studies in archaeology regard wall posts as sub-posts that support the roof of a pit-house, this study views wall posts as piles installed to support the soil wall, not as sub-posts. Based on the existing reports on excavation in prehistoric settlement sites by archaeologists, the study examines the remnants of the wall posts and remains after a fi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the wall posts were installed not as posts but as piles, cut sharply and hammered along the building lines of a pit-house. Second, wall piles were used to support the walls during earthwork, such as excavating and banking for low ground, mostly because a large amount of soil is often lost during the process. Third, wall piles were used as post piles of retaining walls that enabled the installation of transverse wall panels, which were used to prevent the soil loss.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established in 670 under the leadership of Myeongnyang in response to the invasion of the Tang Dynasty. At this tim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constructed, which was about 30% smaller than the reconstruction. Due to the wartime situation, the construction of wooden buildings did not seem to have been achieved.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679 as a symbol of the Hoguk(護國) temple. The size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planned as an important module for the entire temple. The stylobate fasad was designed at intervals of Tangju(撑柱), just like the JuKhan(柱間) plan of wooden archite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ight Devas may have been decorated in Front fasad. When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built, the Geumdang Hall was added by the ChayangKhan(遮陽間) and an Ikrang(翼廊) was installed next to it. These changes affect the material and form of the stylobate. It was changed to a durable stone post-lintel style stylobate and the intervals of Tangju(撑柱) in Front fasad was also adjusted. As the highest-quality stylobate in East Asia at the time, the Geumdang Hall stylobat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Silla's architectural skills to the next leve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v.26
no.3
/
pp.19-28
/
2024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plan in terms of preserving and utilizing old wooden houses, regenerating existing buildings, and developing idle land for old dwellings located outside the southern gate of Cheongju, Korea. I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old houses, three places in the block where wooden houses clustered are created as conservation houses, and are conversed as cafes, workspaces, and homestays along with the preservation of individual houses. In the regeneration of existing buildings, the street landscape was improved through extension and renovation, new construction after demolition, and exterior renovation for one or two-story buildings facing the roadside. In the development of idle land, it reflects the layout method and open yard space corresponding to the path and orientation of the old house, and the mass was varied and segmented to resolve the medium scale. Accordingly, considering the context, landscape,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historical downtown, the development of old dwellings in downtown should shift from a uniform high-rise apartment project-oriented approach to a gradual and continuous regeneration direction.
최근(最近) 우리나라에서는 목재외(木材外)의 타계재료(他界材料)로의 건축(建築)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목조건축(木造建築)에 관한 연구(硏究)와 관심(關心)이 급속(急速)히 감소(減少)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國內)에서의 목재생산(木材生産)이 극(極)히 저조(低調)하고 가격(價格)의 폭등(暴騰)으로 나타난 필연적(必然的)인 현상(現象)이라 하겠으나 목조건축(木造建築)이 아닌 타계재료(他界材料)로 시공(施工)한다고 하여도 목재(木材)는 꼭 쓰여지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주택(住宅)을 중심(中心)으로 각종건축물(各種建築物)의 구조(構造)를 이해(理解)함으로써 보다 합리적(合理的)인 목재이용(木材利用)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목조주택(木造住宅)에 의존(依存)하고 있는 미국(美國)에서 경구조(輕構造)(light frame house construction) 또는 조립주택(組立住宅)(prefabricated house construction)에 의(依)한 목조주택건설(木造住宅建設)에 관(關)한 새로운 연구(硏究)가 착실(着實)하게 진행(進行)되어 큰 성과(成果)를 거두고 있어서 값 싼 주택(住宅)의 양산(量産)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음은 물론(勿論)이고 농용건축물(農用建築物)의 건설(建設)에도 크게 활용(活用)되고 있다. 더구나 8시간(時間)만에 한 채의 주택(住宅)을 건설(建設)할 수 있는 8시간건축(時間建設)(8 house construction)의 체계(體系)가 연구개발(硏究開發)되어 증가일로(增加一路)의 주택수요(住宅需要)를 메꾸어 나가고 있어서 우리나라에서도 부면(部面)에 관한 연구(硏究)가 추진(推進)되어야 할 것으로 믿는다.
The shrinkage of wood members after construction has been a greater and common concern in wooden buildings with the durability. Particularly, the traditional structure applying solid members actively is easily exposed to the shrinkage that caused by the joints, members, and walls. Moreover, even though domestic larch glulam members are widespread recently in the post-beam construction, the shrinkage (swelling) problem is still the critical defect on the wooden structures by the moisture content change in Korea. Various moisture contents were applied for the specimens to survey the dimensional changes for Japanese larch solid and glulam specimens, and the glulam specimens varied in the number of their laminations. Test results showed that glulam specimens with over 3 bonding layers showed good dimension stabilities. Therefore, to solve the shrinkage problem, sufficient drying fitted to the end-use service condition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olid or glulam members can be applie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v.18
no.1
/
pp.19-28
/
2016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a standard design that reflects Hanok design tendency, and present a selective design that can fulfill a building owner's intention beyond the simple function of building permit or report. In addi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become a standard by establishing a criterion in calculating the measurements of section design or primary framework members, in order to be a guideline for designing Hanok in different sizes and fo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uilding area of Hanok standard design was set to be below $85m^2$, with a straight type of $83.16m^2$ and an L-shape of $84.24m^2$. By dividing the plane into a straight type and L-shape, two straight types were suggested: 'general type' and 'large living room type.' The upper floor space, along with the main room and small room, was proposed as an option to be changed into a room where an underfloor heating is installed depending on the building owner's intention. In addition, a criterion for side design and calculation of framework measurements was suggested and applied, while a five-girder design without high pillars was suggested for material-assembling structure. Two types of pillars-circumference and square cylinder-were proposed for the building owner to choose from, and a pointed beam house and ikgong(orthogonally-projected bracket) house were suggested for pojak bracket structure so either of them could be chosen according to the building owner's taste and economic condition. Finally, the sectional size of main material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form of pojak bracket structure to be proposed.
It was believed that Jeongnimsa temple was built after the capital was moved from Gongju to Buyeo.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built A.D. $625{\pm}20$ by conducting a paleomagnetic analysis on the fireplace, which was recently found at the bottom of Jungmunji(middle gate). Consequently, it is assumed that the temple was built in the early 7th century unlike the previous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if the fireplace at the bottom of Jungmunji was found at the geological stratum representing the Jeongnimsa temple. Moreover, the study examined when the fireplace at the bottom of Jungmunji was constructed on the soil stratum. It is possible that the fireplace was built in the early 7th century as shown in the paleomagnetic analysis. However, when we compared the soil strata of the Jungmunji and the existing five-story stone pagoda, it showed that the ground was prepared differently and they were built over a fairly long period of time. Furthermore, I discovered that there was a wooden pagoda under the five-story stone pagoda by examining the soil strata map. Therefore, previous studies evaluated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buildings of Jeongnimsa temple and concluded that it was built in the early 7th century. It is hard to determine when the temple was built based on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buildings,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build a temple and auxiliary buildings can be relocated during this long construction period. Rather, we have to admit that there are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through minor changes in buildings from the one pagoda and one main building(Geumdang) arrangement.
In some cases, wooden structures are used for medium-rise building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nd test a new structural system for medium-rise buildings using wooden structures. This study deals with high-performance, laminated, timber-based composite members, which consist of structural laminated timber and H-beam. Simple beam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trength, stress distributions, and failure patterns of laminated timber. The main parameters are the insertinglength (1, 1.5, and 2 times the H-beam height) and the epoxy between the top/bottom flange of the H-beam and the top/bottom flange of the laminated timber. The results of the test show that the specimen with an inserting length that is 2 times the H-beam height was characterized by fairly god strength and stiffnes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