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surface treatment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초

원지의 사이징 특성이 도공액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ase Paper Sizing on Coating Penetration into Paper)

  • 김봉용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1호
    • /
    • pp.21-26
    • /
    • 2013
  • The influences of heat treatment and surface sizing on coating penetration were studied using two types of commercial base papers. Dry oven was used for heat treatment and laboratory rod draw down coater was used for surface sizing and coating application. Coating penetr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roughness of the backside of coating layer. The backside of the coating was exposed by dissolving the fibers in a cupriethylenedimine(CED) sol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heat treatment and surface sizing were the effective methods to increase sizing degree and to reduce coating penetration.

The Physical, Mechanical, and Sound Absorption Properties of Sandwich Particleboard (SPb)

  • ISWANTO, Apri Heri;HAKIM, Arif Rahman;AZHAR, Irawati;WIRJOSENTONO, Basuki;PRABUNINGRUM, Dita Sa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32-40
    • /
    • 2020
  • While the utilization of wood as a raw material in related industries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population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wood from natural forests has continued to decline. An alternative to this situation is the manufacture of particleboard from non-wood lignocellulose materials through the modification of sandwich particleboard (SPb) using bamboo strands as reinforcement. In this study, strandsof belangke bamboo (Gigantochloa pruriens W) and tali bamboo (Gigantochloa apus) were utilized. The non-wood particles included sugar palm fibers, cornstalk, and sugarcane bagasse. The board was made in a three-layer composition of the face, back, and core in a ratio of 1: 2: 1. The binder used was 8% isocyanate resin. The sheet was pressed at a temperature of 160℃ for 5 min under a pressure of 3.0 N/㎟. Testing included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ased on the JIS A 5908 (2003) standard, while acoustic testing was based on ISO 11654 (1997) standards.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bamboo strands as reinforcement has an effect on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Pb. Almost all the types of boards met the JIS A 5908 (2003) standards, with the exception of thickness swelling (TS) and internal bond (IB) parameters. Based on the thickness swelling parameter, the C-type board exhibited the best properties. Overall, the B-type board thatused a belangke bamboo strand for the surface and sugarcane bagasse as the core underwent the best treatment. Based on the acoustical parameter, boards using a tali bamboo strand for the surface and sugar palm fiber as the core (E-type board) exhibited good sound absorption properties.

합판 공장 부산물을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물성에 관한 연구 - 표층 구성요소 및 파티클 전처리 여부에 따른 비교 - (Properties of Particleboard Using Byproduct of Plywood Manufacture - Evaluation on the Elements of Surface Layer and Pre-treatment of Particles)

  • 황정택;피덕원;강석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33-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 이하 PB)의 원재료로 재활용되고 있는 목재 폐기물 중 합판공장의 부산물을 원재료로 사용하고 비포름알데히드계 EMDI접착제의 적용을 통한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재활용 원재료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한 고(高)내수성 PB의 개발과 그에 대한 물리 기계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 베니어 적층 복합보드에 EMDI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휨 강도가 섬유방향 57.7 $N/mm^2$, 섬유 직각방향 25.1 $N/mm^2$의 강도를 나타내었다. (2) 두께팽윤율과 수분흡수율은 U형, M형, P형 실험에서 EMDI수지가 UF수지보다 높은 수준의 내수성을 나타내었다. (3) 잔존 포름알데히드의 양을 줄이고자 실행하였던 72시간 수침전처리는 파티클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세척 후 수침고목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Alter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After Cleaning)

  • 차미영;이광호;김윤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19-30
    • /
    • 2006
  • 저습지에서 출토된 상수리나무를 재료로 세척에 따른 수침고목재 내 이물질의 제거 효과와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침고목재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무기성분은 수침고목재가 매몰된 토양환경의 성분과 거의 동일하였다. 보존처리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세척방법 즉, 도구법, 탈기법, EDTA법 및 초음파세척법을 적용하여 독립적 혹은 연속적 방법으로 수침고목재를 세척하였다. 독려세척의 경우 도구법에 의해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고, EDTA 처리에 의해 표면 색상이 밝아졌다. 그러나 탈기법과 초음파에 의한 세척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속 세척의 경우 1단계 세척(도구법)은 독립세척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으며, 2단계 세척인 탈기법은 수침고목재 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했다. 탈기법이 무기물의 제거에는 적절하지 않았지만, 탈기 후 수침고목재가 균일화되어 치수안정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3단계 EDTA처리는 수침고목재 내의 철분(Fe)을 제거함으로써 수침고목재의 색상이 밝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4단계 세척은 3단계 세척시 목재 내에 잔류한 약품(Na)과 미세 이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 PDF

Cellulase에 의한 폭쇄재의 가수분해에 있어서 탄수화물조성 및 효소흡착량 변화 (Changes of Carbohydrate Composition and Enzyme Adsorption on the Hydrolysis of Steam Exploded Wood by Cellulase)

  • 양재경;김철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67-78
    • /
    • 2001
  • 신갈나무와 이태리포플러 칩을 25 kg/$cm^2$의 압력에서 6분간 폭쇄처리하였다. 폭쇄재는 수산화나트륨(NaOH),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아염소산나트륨($NaClO_2$)을 사용한 단독 또는 다단의 공정으로 화학처리 하였다. 폭쇄재의 다단처리는 시료중의 리그닌 제거에 상당한 효과를 나타냈다. 대조구인 폭쇄재 기질의 효소 가수분해율은 25%였지만, 다단 화학약품 처리된 폭쇄재는 약 80%에 근접하는 가수분해율을 나타냈다. 효소에 의한 분해율은 수종간에 차이가 났다. 폭쇄재의 다단 화학약품 처리는 효소 가수분해액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함유 비율을 증가시켰다. Cellulase의 흡착은 기질의 리그닌 함량과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반면에 기질의 결정화도, 공극면적 및 비표면적은 효소흡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처리 당화공정에 따르면, 100 kg의 활엽수재로부터 약 37~40 kg의 글루코오스 생산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목질판상제품제조(木質板狀製品製造)를 위한 새로운 접착활성화(接着活性化)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Activation of Adhesion for the Manufacture of the Wood Based Panel Products)

  • 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18-26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not only the effect and the process of activation of aluminum sulfate for the manufacture of PB and MDF, but also application of the activation treatment to PB and MOF made with MDI adhes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manufacture of PB, activating effect did not take place Because the low moisture content of 30% in the process of activation treatment made probably insufficient activation. It needs to examine higher moisture content for the uniform and enough activation same as that of MOF. 2. In the case of MOF, Activating effect was excellent, it showed not only better results of MOR 48%, MOE 29%, IB 60% than those of the control but also better dimensional stability. 3. Application of alum activation to the PB and MDF made with MDI adhesive yielded no effects. Maybe it was the reson that the curing mechanism of MDI is different. 4. Modifing the wood surface was the oxidation and wettability was not the variable limiting gluelin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make a more study about activating reaction.

  • PDF

일본에 있어서 산림토목 목제구조물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1) - 목재의 이용과 특성, 조사 및 계획을 중심으로 - (Study on design indicator for wood structure of forest engineering works in Japan(1) - Focus on use and characteristic of wood, investigation and planning -)

  • 전근우;김민식;김윤진;염규진;츠지오 에자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41-49
    • /
    • 2006
  • 일본에서 2004년도에 발행된 산림토목 목제구조물 시공 매뉴얼에 실려 있는 산림토목 목제구조물 설계지침은 총설, 목재의 이용과 특성, 조사, 계획 및 설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총설, 목재의 이용과 특성, 조사 및 계획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목재의 특성은 목재의 물리 화학적 특성, 환경에의 영향, 심리 생리적인 효과 및 목재의 부후성에 대해 정리되어 있으며, 조사항목은 유수에 의한 영향의 정도, 일사의 정도, 흰개미의 생식 유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유하 상황, 계류 등에 서식하는 동식물의 상황, 물이용 상황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계획에서는 목제구조물의 구조와 설치장소, 취급방법, 해당 지역의 목재 간벌재의 이용, 방부처리 등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 PDF

콩즙 처리 방법에 따른 천연염색포의 염색성 연구 (A Study for Natural Dyeing Textiles with Bean-Juice Treatment Method)

  • 박견순;최인려;배계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92
    • /
    • 2007
  • This study focused on bean-juice treatment method which have dyeing property to indigo, yellow soil, sappan wood, cochineal and also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o mordanting. This is different from the active mordanting using chemicals. Natural mordants with development of dyeing are not harmful, also are the medicines for disease. Limestone and ash neutralize the acidic soil. bean-juice protein adhere to cellulose surface and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protein so that coloring of dye is better than before and film non-soluble in water is made. Therefore the color made from bean-juice process lasts after washing. This study try to show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current method using the heavy metal which can have bad effects for environment and human being. Bean-juice(raw bean, heated bean) treatment method can be the way to fix the natural dyeing problem of bad dyeing. Bean-juice had been treated under various condition with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raw bean, heated bean.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Indigo dyeing, pre-treatment of heated bean shows the biggest difference of color. In the case of yellow soil dyeing, pre-treatment of raw bean-juice shows the biggest gap of color. Pre-treatment of heated bean in sappan wood dyeing case and post-treatment of raw bean show bigger color difference than pre-treatment of raw bean. In cochineal dyeing, raw bean pre-treatment shows the biggest color difference.

  • PDF

수침고목재의 흑화 원인과 제거방법에 관하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Removal the Cause of Blacken Effect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 양석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413-430
    • /
    • 2007
  • 우리나라 저습지에서 출토되는 목제유물은 대부분 흑갈색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매장 환경의 주체인 토양성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주 동림동 저습지 유적과 창녕 송현동 고분군 내의 토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유적 모두 Si, AI, Fe 등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난 바가 있다. 또한 신안선과 광주 동림동 및 창녕 송현동 고분 출토 목재의 무기물 분석에서도 모두 토양의 주성분인 Si보다 Fe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성분과 함유량에 있어서도 유사함을 보였다. 출토지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Fe 함량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장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중 Fe는 목재의 열화로 생성된 타닌과 반응하여 타닌산 제I철이 되고, 산소와 결합하여 타닌산 제II철이 되므로 흑색을 띠게 된다. 이러한 목재흑화의 주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Fe은 EDTA를 사용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제거가 가능하다. EDTA를 통해 흑화된 목재에서 Fe을 제거하는 실험을 한 결과 EDTA-2Na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72시간 동안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다시 EDTA와 반응시켜 Fe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흑화현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표면마감처리에 따른 목질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dehyde Emission from Wood-Based Panels Treated with Several Surface Finishing Materials)

  • 소원택;임진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30-37
    • /
    • 2006
  • 본 연구는 각종 실내디자인에 이용되는 목질보드의 포름알데히드(HCOH) 방산 특성과 몇 가지 VOC 저감 방법에 대한 포름알데히드의 방산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측정 전 처리조건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의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다. bake-out 처리후의 목질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감소함을 나타냈다. 시편에 urethane, cashew, water stain, oil stain coating을 했을 때 각 마감재료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edge sealing 처리 후 두드러진 감소경향이 나타났다. $TiO_2$ coating은 일반광보다는 자외선 램프의 포름알데히드 저감효율이 좋았고, 자외선 램프의 조사시간이 길어지면 포름알데히드의 감소량도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