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survival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4초

벼 낙수시기 기준 자운영 파종적기 구명 (An Optimum Seed Planting Time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for 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and Dry Matter Production in Paddy Field)

  • 김상열;오성환;최경진;김정일;박성태;여운상;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60-264
    • /
    • 2009
  • 자운영 안전입모수 확보를 위한 벼 낙수시기를 기준 자운영 파종적기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낙수 전 5일$\sim$낙수 후 5일 사이에 파종시 자운영 종자가 발아를 할 수 있는 충분한 토양수분이 있어 월동후 평균 입모수 및 월동율은 각각 $530{\sim}670$개/$m^2$, $79.1{\sim}82.8%$로 높아 낙수 10일 이후 파종 보다 입모수 확보에 유리하였다. 2. 월동후 전생육기간 파종시기별 자운영 건물중도 낙수 전 5일$\sim$낙수후 5일에서 $573{\sim}746kg$/10a으로 높아 $17.0{\sim}20.5kg$/10a 질소를 생산할 수 있었다. 3. 자운영 종자를 너무 늦은 10월초나 낙수 10일이후에 뿌리면 자운영 종자가 출아를 하는데 온도가 낮고 수분이 부족하여 생육부진으로 월동율이 낮아 자운영 입모수가 부족하였다. 4. 낙수 10일전에 너무 일찍 파종해도 출아를 한 자운영이 습해를 받아 입모가 불량하였다. 5. 종자수량도 낙수 전 5일$\sim$낙수후 5일에 파종시 $24.2{\sim}30.8kg$/10a으로 높았으나 낙수후 10일 이후 파종은 종자 생산량도 19.4 kg/10a으로 낮았다. 따라서 자운영 안전 입모수 확보, 월동율, 건물생산성을 고려한 자운영 파종적기는 낙수전 5일(9월 20일)$\sim$낙수후 5일(9월 30일)이었다.

종자크기에 따른 참나무 4종의 발아율, 초기 생장율과 생존율 변화 (Effects of Seed Size on the Rate of Germination, Early Growth and Winter Survival in Four Oaks Species)

  • 신정훈;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274-279
    • /
    • 2011
  • 식물의 초기 생활사가 종자크기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산림군락에서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참나무 4종의 열매를 3등급의 크기(대, 중, 소)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4종의 발아율, 겨울철 생존율과 초기 생장율을 측정하였다. 평균 발아율은 종자가 큰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에서 높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갈참나무와 졸참나무에서 낮았다. 그러나 종 내 종자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굴참나무에서만 종자가 작을수록 높았고, 나머지 3종은 종자크기에 따른 경향성이 없었다. 평균 초기 생장율은 종자크기에 비례하여 상수리나무, 굴참나무>갈참나무>졸참나무 순으로 낮았다. 초기 생장율은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에서 종자가 크거나 중간인 것이 작은 것보다 높았으나, 종자가 작은 갈참나무와 졸참나무 내에서는 종자크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겨울 동안의 생존율은 4종 모두 중간 크기의 종자에서 가장 높았으나, 졸참나무나 굴참나무는 작거나 큰 종자에서는 전혀 생존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발아와 초기 생장에는 큰 종자가, 생존에는 중간크기 종자가 각각 유리하였다. 이것은 종자의 크기가 식물의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은 생장단계에 따라 서로 다름을 의미한다.

파종기와 파종량이 사료용 호밀의 생육특성 , 월동성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Time and Seeding Rate on Growth Chrcteristics, Winter Survival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Rye (SeCale cereale L.))

  • 김동암;성경일;권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4-168
    • /
    • 1986
  • 본 시험은 사초용(飼草用) 호밀의 파종기와 파종량이 사초(飼草)의 생육특성, 월동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서울대(大) 농대(農大) 사초시험포장(飼草試驗圃場)에서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서 호밀의 파종기(播種期)를 9월 8일, 9월28일, 10월18일로 하고 ha당 파종량(播種量)을 80, 130 및 180kg로 하여 9처리(處理) 3반복(反復) 난괴법으로 실시하였다. 호밀의 초장(草長)은 파종기(播種期)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9월8일 파종구에서 가을에 수확을 하였을 때와 10월18일 파종구에서 파종량(播種量)이 증가됨에 따라 초장(草長)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9월8일 파종구는 가을철 수확으로 인하여 월동률(越冬率)이 저하(低下)되었으나 총건물수량(總乾物收量)은 오히려 가을철 수확으로 증가(增加)되었다. 파종기에 따른 평균건물수량(平均乾物收量)은 9월8일 파종구가 ha당 5884kg, 9월28일 파종구가 4993kg, 10월18일 파종구가 3525kg였다. 호밀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저하(低下)되었으나 파종량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增加)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파종량에 따른 건물수량의 차이는 9월8일과 9월28일 파종구에서 보다는 10월18일 파종구에서 현저히 컸다. 본 시험결과를 종합할 때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에서 밭에 풋베기 호밀을 파종할 경우 조파(早播)하는 것이 수량(收量)이 많았으며 만파(晩播)할 경우 파종량(播種量)을 증가하는 것이 수량이 많았다.

  • PDF

제주도 노지재배 감귤원 내 귤굴나방 월동태 구명 (Study on the over-wintering stage of citrus leaf miner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Jeju, Korea)

  • 권순화;신기혜;문영일;김동순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542-549
    • /
    • 2021
  • 귤굴나방은 제주도 감귤원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이지만, 상대적으로 월동생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귤굴나방이 월동과 관련하여 다음 해초기개체군 발생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발육단계별 저온 실내실험과 야외실험 및 노지 감귤원 포장조사를 통하여 구명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한 저온 조건에서 귤굴나방의 발육단계에 따라 생존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충이 번데기보다 더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귤굴나방 성충과 번데기를 야외 감귤원에 접종한 후 생존기간을 평가한 결과, 서귀포지역에서 성충은 다음 해 3월 24일까지 생존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서귀포지역의 봄순 발아가 3월 중순에 시작된다는 사실을 고려했을 때 성충태로 월동한 귤굴나방이 다음 해 초기개체군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번데기의 경우 제주시와 서귀포에서 1월을 넘기지 못하고 모두 사망하였다. 또한, 노지 감귤원 내 귤굴나방 발육단계별 밀도조사에서 다음 해 봄까지 노지 감귤원에서 생존한 번데기는 없었던 반면 성충은 모든 과원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해 볼 때, 제주도의 노지 감귤원에서 귤굴나방은 성충태로 월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번데기의 경우 신초에 형성된 용방에서만 생존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겨울철 동해 피해를 받기 쉬운 신초에서 월동 후 다음 해 초기개체군 형성에 기여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월동전후 초지관리에 관한 연구 V. 초지조성시 3요소 시비수준이 목초의 월동과 이른 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Management in Late-Autumn and Early-Spring V. Effect of application levels NPK fertilizer at pasture establishment on witer survival, early spring growth and yield of grasses)

  • 서성;박문수;한영춘;이종경;조무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1-147
    • /
    • 1989
  • 본 시험은 草地造成時 3要素 施肥水準(標準施肥R 區와 3要素 無施肥區 등 13처리)이 목초의 월동, 이른 봄 생육과 수량 둥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하고자 水原 畜塵試驗場 草地試驗團에서 1987년 9월 3일 orchardgrass를 單播하여 1988년 6월까지 수행 하였다. 목초의 월동율은 대체로 標準肥뻐(80-200-70kg/ha) 이상의 질소시비구에서 90% 내외로 높았으며, 질소 및 3요소 무시비구에서는 각각 76%와 64% 로 낮았고, 목초의 월동에는 질소와 칼리시비의 영향이 컸다. 이른 봄 生育도 標準服 이상의 질소시비구에서 양호하여 수확당시 出穩率은 50 -70 % 였으며, 절소 및 3요소 무시비구는 각각 20-26%와 15-18%로 생육은 가장 더디었다. l차 乾物收量은 질소 및 3요소의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p<0.05), 질소 빛 3 요소 무시 비구에서는 標準肥區 收量의 60-70%로 낮았고, 이른 봉철 질소 50% 增맨區에서는 收量의 보상효과가 인정되었다. 2次 收量에서는 처리간 유의차는 없었으며, 질소 및 3요소 무시비구의 수량은 標準服區의 90% 이상을 보여 주었다. 租蛋白質含量은 질소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p< 0 0.05), 그루터기중 저장탄수화물含量은 施服水準別 차이없이 35-39%로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로서 造成當時 3要素 拖肥는 목초의 월동율향상과 이른 봄 生塵性增大에 크게 유리하였으며, 그 중 질소비료의 영향이 가장컸고, 주 성당시 부족한 施服量(특히 질소비료)은 이른 봄 충분한 追肥施用으로 어느 정도 보상이 되었으며, 草地 造成時 適正施肥水準은 標準施肥量인 ha당 질소 80, 인산 200, 칼리 70 kg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동갈돗돔, Hapalogenys nitens 난과 자치어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저염분 및 저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Low Salinity and Cold Water Temperature on the Hatching, Survival and Growth of the Offspring of Grunt, Hapalogenys nitens)

  • 강희웅;전제천;강덕영;조기채;최기호;김규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8-166
    • /
    • 2009
  • 본 연구는 동갈돗돔의 양식생물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염분의 영향과 수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분의 경우 수정란의 부화와 부상률, 자어의 부상률 및 생존율, 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온의 경우 일간 수온 변화 정도, 급성 저수온 충격, 완만한 수온 감소에 따른 생존, 먹이섭식 및 유영능력을 조사하였다. 염분의 영향에서 수정란의 부화율과 부상률 및 자어의 부상률과 생존율은 자연 해수 염분(32 psu)에 가까울수록 높게 나타났다. 치어의 성장과 생존의 경우에는 기수의 염분(5~20 psu)의 경우 해수 염분(25~32 psu)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담수의 경우만 유의하게 낮았다. 수온의 영향에 관한 3가지 실험 모두에서 급성이던 만성이던 수온의 하락폭이 클수록 생존율, 먹이섭식 및 유영활동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을 통해 동갈돗돔은 성장과 생존은 일반 해수염분에서 가장 좋았고, 월동의 임계수온은 $8^{\circ}C$로 나타났다.

중랑천의 수서동물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logical Study on the Aquatic Animals in Jungrang Stream of Seoul)

  • 배경석;박종태;조기찬;길혜경;신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7
    • /
    • 1997
  • Most of urban streams in Korea have been changed channel forms and suffered from direct inflow of domestic sewage, etc. Therefore, maintenance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those ecosystem are har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life survival maintenance ability of the stream by community analysis of aquatic animals in typical urban stream (Jungrang stream) in Seoul. The aquatic animals were composed of 31 species, 18 families, 8 orders, 5 classes in 4 phyla. Seasonal species number showed big fluctuation between 8 species in Winter and 24 species in Autumn. Major dominant species in Jungrang stream were Tubificidae sp.1, Chironomidae sp.1, Chironomidae sp.2 and Physa acuta, and above endurance species for water pollution occupied very high dominance indices. But, Cercion hieroglyphicum, Ischnura asiatica, Rantra chinensis, Herochares striatus, Agabus japonicu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a few individuals are appeared. Also, fry of Carassius auratus and Silurus asotus in fish are occurred. Therefore, we can be inferred on posibility of growth and spawning of above species in the stream. Jungrang stream has a small quantity of natural riffle areas, ponds and watergrass areas by channel form of water course. Aquatic animals in Jungrang stream has been suffered by reduction of self-purification reaction ability and have mass production of attached algae on the stream bed. For analysis of fluctuation of life survival maintenance ability in Jungrang stream, long-term survey is needed.

  • PDF

Influence of starvation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Diptera: Stratiomyidae)

  • Park, Kwanho;Lee, Heui-Sam;Goo, Tae-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100-104
    • /
    • 2018
  • The rearing of black soldier flies in Korea is affected by season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sun light; for this reason, it requires a great deal of effort to rear and maintain black soldier flies during the wint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tarvation affects larval development. After hatching the larvae, they were fed for 5 or 10 d and then starved for a certain period to see how they recovered. The length and width of larvae were estimated to be 18.18 to 21.96 mm, 5.19 to 6.04 mm, respectively. Larvae survivorship to the pupal st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nd periods of starvation. The groups of fed for 5 d then starved showed a high survival rate until 20 d starvation and then the survival of larvae rapidly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the larvae was abruptly decreased for 20 d starvation in the groups of fed for 10 d and starved,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until 60 d starvation thereafter. Our research attempted to influence larvae development through starvation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how to culture the black soldier fly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throughout the year.

자작나무 동아의 액체질소 내 초저온 보존 (Cryopreservation of winter vegetation buds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in liquid nitrogen)

  • 안영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5
    • /
    • 2002
  • 자작나무 식물유전자원의 효과적인 장기보존 방안을 구명하기 위해 동결전처리 된 겨울철 동아를 건조처리에 의해 초저온보존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작나무 동아는 내동성이 최고조에 달한 1월 20일경의 함수율이 42.4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월 20일에 채취한 동아를 10분간의 건조처리 와 5~-2$0^{\circ}C$까지 1분당 1$^{\circ}C$ 하강조건으로 완속동결 전처리하여 -196$^{\circ}C$의 액체질소에 초저온 보존한 경우의 세포생존율은 83.33%로 가장 이상적인 처리조건으로 조사되었다. 자작나무 동아의 시료조제는 동아에 약간의 목질부 조직을 붙여 초저온 보존하는 경우에 86.7%로 세포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24시간 이상 액 체질소에 초저온 보존한 자작나무 동아는 40$\pm$5$^{\circ}C$의 온수 중에서 급속 해동하는 경우가 86.6%의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60%의 식물체 재생율을 나타내어 본 실험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and Cutting Time on Growth and Dry Matter Yield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김성민;채제천;이효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31-436
    • /
    • 1994
  • 충남 예산지방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가 생육, 수량 및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 성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산지방에서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늦어지면 호밀의 출현일수가 길어지고 출현율 및 월동율이 감소하며 출수기가 지연되었다. 2. 호밀의 생장속도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고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지연됨에 따라 생육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3. 호밀의 청예 및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나 다른 지역에서보다 파종적기의 폭이 넓어서 10월 5일에서 10월 25일 사이의 파종기간 차가 크지 않았다. 청예수량은 개화기 예취시, 건물수량은 유숙기 예취시 가장 높았다. 4. 호밀의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성비율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엽신과 엽초의 비율이 감소하고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