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vegetabl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4초

산마늘 생즙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Fresh Juice of Wild-Garlic, Allium victorialis L.)

  • 권정은;백운학;정인창;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1-5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급 산나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울릉도 산마늘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산마늘 생즙 및 열처리 생즙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마늘은 우수한 영양성분을 가지며, 산마늘 생즙은 $4^{\circ}C$ 저장시 10일 이상 색차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산마늘 생즙의 가열 처리시에는 brix, 환원당, total flavonoid의 변화는 미미한 반면, 총당은 25%, total polyphenol은 55% 감소하였으며, pH 감소와 함께 산도가 2배 증가되었다. 산마늘 생즙은 우수한 DPPH 소거능과 환원력을 나타내며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미약한 환원력과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무처리 및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항혈전 활성과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매우 미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마늘이 우수한 항산화력 및 항균력을 가지며, 관련 활성성분은 휘발성, 또는 열에 약한 성분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산마늘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은 비열 처리공정의 제품으로 제안한다.

한국(韓國)의 채소(菜蔬) 음식(飮食) 문화(文化)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 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01-612
    • /
    • 2003
  • 이상으로 한국의 채소음식에 대한 시대적인 변화 경향과 최근의 채소 섭취량 및 섭취형태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족국가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채소의 종류는 점차 다양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거의 현재와 비슷한 채소를 이용하였다. 상고시대 이래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로는 마늘과 쑥이 있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가지, 오이, 상추가 고려시대 이후로는 죽순, 토란, 우엉, 무, 순무, 파, 부추, 미나리, 배추, 아욱, 시금치, 쑥갓 등이 조선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고추, 호박, 토마토, 캐비지, 셀러리, 케일, 순무(turnip), 근대(beet), 등이 있다. 한편, 과거에는 섭취했으나 현재는 섭취하지 않는 채소로는 박과 마, 순채 등과 각종 식용야생초들이 있다. 2. 한국인의 채소 공급량은 일인당 연간 232.2kg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은 이러한 양은 전세계의 평균 공급량인 101.9kg과 비교해서 많은 편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비교해 보면 중국(203.5kg)이나 일본(111.6kg) 보다는 많은 양이었다. 3. 채소섭취량은 1970년 이후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1990년에 201.1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 감소하여 2000년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65년 이후 큰 변화없이 110-120kg 수준을 공급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에는 1995년 이후에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채소류의 공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나라로 나타났다. 4.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마늘, 파 등의 양념류와 배추김치, 무, 양파, 당근 등으로 종류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114종 가운데 섭취한 채소의 종류는 모두 72종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 1인 1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채소는 배추김치였고, 그 다음으로 무, 양파, 파, 깍두기, 감자, 배추, 시금치, 애호박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도 남자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애호박이 다소비식품 내에 포함되지 않았다. 5. 구황식품과 부식으로 이용되었던 산나물과 야생식물의 이용은 현재 거의 사라진 반면 새로운 외래채소와 허브류의 도입은 급증하고 있으며, 채소를 섭취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나물에 대한 기호도는 낮아지는 반면 다양한 채소를 이용한 쌈싸기와 녹즙, 생식등이 상업화되었으며, 채소전문식당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채식주의도 나타나서 채식문화가 다양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채소 음식의 소비는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우리가 과거에 섭취했던 산나물들의 효능과 함께 우리나라 전통 채소 음식의 조리방법에 대한 연구 및 보급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변화하고 있는 채소의 생산과 소비 현황에 대한 보다 정확한 통계자료의 수집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Korean Wild Leafy Vegetables: Aster scarer mild Ligularia fischeri

  • Cho, Youn-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46-15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Korean wild leafy vegetables in vivo as well as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ster scaber and Ligularia fischeri were evaluated against a reference of Spinacia oleracea Forty rats were fed either control diet or respective vegetable diets for four weeks. The level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in liver were compared.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T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and triglyceride (TG) were also compared. Korean wild leafy vegetables were assayed for $\beta$-carotene, vitamin C and vitamin E and total phenolic compound including flavonoid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using the linoleic acid model system. SOD activity in rats fed Aster scaber was significantly higher(as much as 289%) than those fed Spinacia oleracea. Compared to control animals, the Aster scaber fed animals had significantly lower TC and lower atherogenic index. Compared to Spinacia oleracea, Aster scaber and Ligularia fischeri had vitamin C concentration of 150% and 400%, flavonoid concentrations of 470% and 310%, and phenolic compound concentrations of 326% and 203%, respectively, but tended to have lower $\beta$-carotene and significantly lower vitamin E concentrations. TBA values were only 18% of the control value in Aster scarier and Ligularia fischeri and 41% of the control value in Spinacia olerac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ter scaber could have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in vivo as well as in vitro and potential vague as a functional food to improve the plasma lipid profiles. Furthermore,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may be a major contributing factor to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Korean wild leafy vegetables.

Production of the Wild Entomopathogenic Fungi, Cordyceps militari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Lee, Sang-Mong;Park, Nam-Sook;Cho, Sae-Yun;Hwang, Jae-Sam;Jin, Byung-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1호
    • /
    • pp.105-108
    • /
    • 2001
  • The wild entomopathogenic fungi, Cordyceps militaris, were collected at the Whawang mountain, Korea. The pupa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were used as infecting hosts for the production of the silkworm-mili-taris dongchunhacho, silkworm vegetable wasps and plant worms with C. militaris. Three inoculation methods in terms of injection, spray and immersion were tested against the silkworm pupae. The three inocu1ation methods revealed 100% infectivity to the silkworm pupae tested. Of the three inoculation methods, the injection method was highly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the period required for the endosclerotium and the completion of fruiting body form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lkworm pupae are very effective host insects for the production of C. militaris.

  • PDF

가례도감의궤(嘉禮都鑑儀軌)에 나타난 1600년대(年代)의 조선왕조(朝鮮王朝) 궁중(宮中) 가례상(嘉禮床)차림 고(考) -1651년(年) 현종(顯宗) 명성후(明聖后), 1696년(年) 경종(景宗) 단의후(端懿后) 가례동뢰연(家禮同牢宴)- (A Study of Wedding Feast Dishes in Gare Dogam Euigwae (1651, 1696))

  • 김상보;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58
    • /
    • 1990
  • To analyze wedding feast dishes of royal prince (1651, 1696) of Choson Dynasty, studied Gare Dogam Euigwae. Historic book 'Gare Dogam Euigwae' discribed wedding feast dishes of king‘s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Dishes were arranged in four kinds of table, the first one called the main table, the second the right side table, the third the left side table, the fourth the confronting side table. Dishes of main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and fruits (pine nuts, orange, dried persimmon, torreya nuts, dried chestnut, jujube). Dishes of the second table and the third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and small cake made of honey and rice with patterns pressed in it. Dishes of the fourth table were cooked vegetable (wild ginseng, platy-codon, radish, white gourd melon, ginger), dried slices of meat seasoned with spices (abalone, octopus, shark, pheasant), cooked meat (wild goose, fowl, egg, pheasant, abalone), and fried fish (roe deer, fish, duck, pigeon, sparrow). The main table (同牢大宴床) and the second table (右挾床) stand as a symbol for integrity. The third table (左挾床) symbolize longerity. The fourth table (面挾床) symbolize bearing many young and connubial felicity.

  • PDF

젖산균 발효를 통한 베리류 또는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erry or Vegetable Juices through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 박재범;심현수;하석진;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91-295
    • /
    • 2015
  • 베리 또는 과채류 주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항산화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측정 결과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산머루, 블랙베리, 크랜베리, 시금치 주스로부터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별된 베리 또는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를 수행하였다. 아사이베리, 블랙베리, 또는 시금치 주스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한 발효 후에 항산화 활성이 각각 943.2 µmol TE/g에서 1239.2 µmol TE/g로 110.87 µmol TE/g에서 128.04 μmol TE/g로 77.92 µmol TE/g에서 107.20 µmol TE/g로 약 16−38%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사이베리, 블랙베리, 또는 시금치 주스의 항산화 활성이 젖산균 발효를 통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Vacuum infiltration transformation of non-heading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chinensis) with the pinII gene and bioassay for diamondback moth resistance

  • Zhang, Junjie;Liu, Fan;Yao, Lei;Luo, Chen;Zhao, Qing;Huang, Yubi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3호
    • /
    • pp.217-224
    • /
    • 2011
  • Non-heading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chinensis) is a popular vegetable in Asian countries. The diamondback moth (DBM), Plutella xylostella (L.), an insect with worldwide distribution, is a main pest of Brassicaceae crops and causes enormous crop losses. Transfer of the anti-insect gene into the plant genome by transgenic technology and subsequent breeding of insect-resistant varieties will be an effective approach to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this pest. We have produced transgenic non-heading Chinese cabbage plants expressing the potato proteinase inhibitor II gene (pinII) and tested the pest resistance of these transgenic plants. Non-heading Chinese cabbages grown for 45 days on which buds had formed were used as experimental materials for Agrobacterium-mediated vacuum infiltration transformation. Forty-one resistant plants were selected from 1166 g of seed harvested from the infiltrated plants based on the resistance of the young seedlings to the herbicide Basta. The transgenic traits were further confirmed by the Chlorophenol red test, PCR, and genomic Southern blot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r and pinII genes were co-integrated into the resistant plant genome. A bioassay of insect resistance in the second generation of individual lines of the transgenic plants showed that DBM larvae fed on transgenic leaves were severely stunted and had a higher mortality than those fed on the wild-type leaves.

무 유전자원 82 계통의 유리당 함량 분석 (Analysis of Sugars Content by Genotypes in 82 Radish (Raphanus sativus L.))

  • 서미숙;정준휘;박범석;김정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53-465
    • /
    • 2018
  • 십자화과 식물에 속하는 무는 전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중요한 뿌리 채소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질을 가진 무 유전자원 82 계통을 대상으로 총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본, 독일, 그리고 한국에서 보유중인 82 계통의 유전자원은 크게5 아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야생형, 야생 근연종, 재래종 그리고 육성품종으로 구분된다. 포도당, 과당, 자당 그리고 엿당을 분석하여 총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평균 25.33 mg/g, 5.64-46.68 mg/g의 분포도를 나타내어 계통에 따라 총 유리당 함량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총 유리당 함량에 대하여 포도당이 56.92%로 가장 높은 유리당 함유율을 보였고, 과당(31.34%), 자당(10.46%), 그리고 엿당(2.25%)의 순으로 높은 함유 율을 보였다. 5 아종에서 유전형에 따른 총 유리당 함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아종에 따른 유리당 함유 율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야생종과 야생 근연종 그리고 재래종 무는 육성 품종과 비교하여 평균 총 유리당 함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의 종류별 함유 율을 비교한 결과 야생종과 재래종에서 높은 함유 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후속 연구를 통한 고품질 무의 개발 및 무의 유리당 생합성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발효기간이 산야채 발효액의 품질과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 김나미;이종원;도재호;양재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2-279
    • /
    • 2003
  • 산야채를 이용하여 추출물 발효식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발효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발효액의 성분과 품질특성, 효소활성과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circ}Bx$는 점차 낮아졌으며, 점도는 감잎 추출물 발효액을 제외하고는 3개월 경과시 현저히 낮아졌다. 색도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다라 L값과 a값은 증가되고, b값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발효액 중의 amylase 효소활성은 발효 6개월이 경과하면서 발효 전에 비하여 $167{\sim}800%$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invertase는 발효 초기에는 활성이 거의 없었으나 1개월 경과시에 $60{\sim}170$ units의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ellulase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3{\sim}4$개월시 가장 높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쑥을 제외한 모든 발효액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아카시아와 감잎 발효액에서 각각 $23.1{\sim}25.1%,\;26.8{\sim}29.2%$의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쑥은 발효 기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고, 솔잎은 발효기간이 증가되면서 맛과 냄새의 강도가 높아졌으며, 전체적인 기호도가 발효 3개월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산야채 추출물의 발효기간은 $3{\sim}4$개월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야생 잡초 참외의 방언문화 (Local Names of Weedy Melons (Cucumis melo L.) in Korea)

  • 이우승;김병수;서동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64-768
    • /
    • 2012
  • 우리나라 서남해안 연안과 제주지역에서 자생하여 온 야생참외의 호칭(방언)을 133종 수집하였다. 수집된 호칭 중 빈도가 높은 순위는 개똥참외, 주래, 줄외, 똥외, 조롱게, 주렁게, 똥외, 조랑게, 돌참외, 똥참외, 간절귀, 쥐방울참외의 순이었다. 야생참외의 자생생태에서 유래된 호칭으로는 개똥참외, 줄외, 똘외, 주렁게, 똥외, 조랑게, 돌참외, 똥참외 등이었고 놀이용으로 이용된 호칭에서 유래된 것으로는 주래, 조롱게, 까래 등이 있었다.